• 제목/요약/키워드: Aromatic plant

검색결과 195건 처리시간 0.023초

Linkage Between Biodegradation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and Phospholipid Profiles in Soil Isolates

  • Nam, Kyoung-Phile;Moon, Hee-Sun;Kim, Jae-Young;Kukor, Jerome-J.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2권1호
    • /
    • pp.77-83
    • /
    • 2002
  • A bacterial consortium capable of utilizing a variety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has been isolated from a former manufactured gas plant site. The consortium consisted of four members including Arthrobacter sp., Burkholderia sp., Ochrobacterium sp., and Alcaligenes sp., which were identified and characterized by the patterns of fatty acid methyl esters (FAME analysis) and carbon source utilization (BIOLOG system). With the individual members, the biodegradation characteristics of aromatic hydrocarbons depending on different growth substrates were determined. FAME analyses demonstrated that microbial fatty acid profiles changed to significant extents in response to different carbon sources, and hence, such shift profiles may be informative to characterize the biodegradation potential of a bacterium or microbial community.

진범 전초의 새로운 aromatic amides 성분 (New Aromatic Amides from Aconitum pseudo-laeve var. erectum)

  • 김대근;곽종환;권학철;송기원;지옥표;이강노
    • 약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18-421
    • /
    • 1996
  • From the ethanol extract of the whole plant of Aconitum pseudo-laeve var. erectum Nakai, three new aromatic amides, methyl-N-acetyl anthranilate, methyl-N-(3-ethox ycarbonylpropionyl)anthranilate, methyl-N-(3-methoxycarbonylpropionyl) anthranilate were isolated and characterized on the basis of spectral data.

  • PDF

미생물을 이용한 L-트립토판 유래 방향족 화합물 생산 최근 연구 (Recent Research Progress in the Microbial Production of Aromatic Compounds Derived from L-Tryptophan)

  • 이지영;이진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0호
    • /
    • pp.919-929
    • /
    • 2020
  • 방향족 화합물은 화학, 식품, 고분자, 화장품, 의약 산업 등에 이용되는 중요한 물질로, 현재까지 대부분 화학 합성법 또는 식물 추출법으로 만들어진다. 그러나, 화석 연료의 고갈, 지구 온난화, 환경규제의 강화, 식물자원의 과다한 채취 등의 많은 위협요인에 직면하면서 재생 가능한 생물자원을 이용한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공학적 방법으로 방향족 화합물을 생산하는 것은 매우 유망한 대안이다. 대사공학이 합성생물학과 접목되면서, L-트립토판 생합성 경로 유래의 인공 생합성 경로가 재 구축되어 5-히드록시트립토판, 세로토닌, 멜라토닌, 7-염화-L-트립토판, 7-브로모-L-트립토판, 인디고, 인디루빈, 인돌-3-초산, 바이오라세인, 데옥시바이오라세인과 같은 다양한 고부가 화합물을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총설은 이러한 방향족 화합물의 특성, 용도, 생합성 경로를 요약하였다. 또한 방향족 화합물을 미생물을 이용하여 생산하기 위한 최신의 대사공학 전략과 생산 농도를 올리는데 제기되는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한 해결방안 등을 정리하여 보고한다. 시스템 대사 공학에 기반한 균주 개발과 재생 가능한 생물자원을 사용한 배지 및 생물공정의 최적화가 이루어지면 방향족 화합물의 미생물 생산을 위한 상업적으로 실행 가능한 기술 개발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예상된다.

식물에서 shikimate 및 방향족 아미노산 생합성 경로와 이의 대사공학적 응용 (Biosynthetic pathway of shikimate and aromatic amino acid and its metabolic engineering in plants)

  • 임선형;박상규;하선화;최민지;김다혜;이종렬;김영미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2권3호
    • /
    • pp.135-153
    • /
    • 2015
  • 식물의 페닐알라닌, 티로신, 그리고 트립토판과 같은 방향족 아미노산은 단백질 합성의 구성 성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이차 대사물질들의 전구물질들이다. 이러한 방향족 아미노산 유래의 화합물들은 식물의 색소와 세포벽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다양한 페놀릭 화합물들의 구성성분이자, 옥신과 살리실산과 같은 식물 호르몬으로써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이들은 인간의 영양과 건강을 증진하는 높은 잠재력을 지니는 알칼로이드 및 글루코시놀레이트와 같은 천연산물로써 역할을 한다. 방향족 아미노산의 생합성경로는 shikimate 경로로부터 유래되는 공통의 중간기질인 chorismate를 공유한다. 트립토판은 중간기질로 anthranilate를 통해 합성되고, 페닐알라닌 및 티로신은 중간기질인 prephenate를 통해 합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방향족 아미노산 생합성경로에 관련한 모든 단계의 효소와 전사/전사후 수준에서의 그들의 유전자 조절에 대한 최근 연구들에 대해 종합적으로 되짚어 보면서, 추가적으로 식물의 방향족 아미노산 유래의 천연물질 생산을 증진시키기 위해 그 동안 시도되어온 대사 공학적 노력들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향끽미종 잎담배 유전에 관한 연구 (Heritabilities, Genotypic and Phenotypic Correlations, and Selection Indices in Aromatic Tobacco Varieties(Nicotiana tabacum L.)

  • 김준철;황주광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9-57
    • /
    • 1981
  • To obtain genetic information for breeding aromatic tobacco, broad sense heritabilities, phenotypic, and genotypic correlations were obtained for the following characters : days to frowert, plant height, number of leaves, leaf shape and nicotine. Six pure line varieties and the first and second generations of 5 crosses among them were employed in this study. The heritabilities for number of leaves and nicotine were very high in pure line varieties. However, the heritabilities for days to flower and yield were low in six varieties as well as in F2. Genotypic correlations had higher values than phenotypic did. Heritabilities calculated from segregating generations were lower than those from pure varieties, regardless of crosses involved. Positive phenotypic correlations between yield and plant height were observed in all crosses. Same phenomenon was observed with correlations between days to flower and number of leaves. The genotypic and phenotypic variances and covariances entering into the computation of correlations were used to construct the seletion indices for yield. The use and limitation of selection index was also discussed.

  • PDF

Evaluation of Bacterial Blight Resistance Using SNP and STS Marker-assisted Selection in Aromatic Rice Germplasm

  • Kim, Jeong-Soon;Gwang, Jae-Gyun;Park, Ki-Hun;Shim, Chang-Ki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5권4호
    • /
    • pp.408-416
    • /
    • 2009
  • A molecular surve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resence of the bacterial blight resistance genes (Xa1, Xa4, xa5, xa13 and Xa21) in 86 accessions of aromatic rice obtained from germplasm.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resistance gene Xa4 (32.5%), Xa21 (17%), and xa5 (16%) were widely observed in tested rice germplasm. Among tested rice germplasm, 49 accessions showed the presence of more than one of five R genes, and 37 accessions possessed none of the R gene. TALLi and 05-IRRi-M-46 showed the presence of Xa4, xa5, xa13 and Xa21. Rice race $415{\times}Ir352$ exhibited positive amplicon for the Xa1, Xa4, xa5 and Xa21. Hyangmibyeo1hos, Ir841-85-1-1-2 and Jasmine85 showed the positive amplicon for the Xa1, Xa4 and xa5 genes. Yekywin Yinkya Hmwe and Khao Dawk Mali105 showed the presence of Xa1, Xa4 and Xa21 gene. Masino Basmati showed the presence of xa5, xa13, Xa21 genes. Xa1 and Xa21 genes were noticed in Mihayngbyeo, Tarana Deshi, Mayataung and AZUCENA. Hyangmibyeo2ho, Basmati 6311 and Basmati405 possessed only two R genes such as Xa4 and xa5, and xa5 and xa13, respectively. The evaluation results of bacterial blight resistance genes in aromatic rice germplasm will help in breeding of multi disease resistant varieties.

유색미와 향미 품종의 지방질함량 및 지방질의 조성 (Contents of Total Lipids and Their Composition in Colored and Aromatic Rices Cultivars)

  • 이종철;김영회;김창영;변종영;신철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92-197
    • /
    • 1999
  • 유색미인 흑진주벼 등 5종, 일반미인 동진벼, 향미인 향남벼을 대상으로 이들 품종의 현미 중에 함유된 지방질의 함량과 지방질의 조성을 비교 연구하였다. 1. 총지방질 함량은 건물기준으로 2.04 - 4.68%로 Tohoku 149호, 한산흑미, 상해향혈라 순으로 많았고 흑남벼, 향남벼와 동진벼에서는 비교적 적었으며 그들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2. 총지방질의 조성은 sterol ester & hydrocarbon, triglyceride, free fatty acid, diglyceride, free sterol 등 5종이 동정되었다. 그중 triglyceride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diglyceride 와 free sterol의 비율이 높았다. 일반미와 유색미 및 향미간에 비교했을때 triglyceride의 비율은 향미와 유색미가 일반미보다 낮은 반면 diglyceride의 비율은 향미와 유색미에서 일반미인 동진벼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3. 총지방질 중 지방산 조성은 모든 품종 다같이 linoleic acid, oleic acid 및 palmitic acid가 주된 지방산이었고 linolenic, stearic acid은 소량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erucic acid는 일반미인 동진벼에는 함유되어 있지 않았다. 양적으로 많은 지방산을 품종별로 비교해 보면 oleic acid는 한산흑미가 41%로 가장 많았고, 그외 품종은 32-37% 범위이었다. 또한 linoleic adid 향남벼와 상해향혈라는 각각 37%그외 품종은 32 - 36%의 범위이었다.

  • PDF

Mechanism and regulation of body malodor generation (1) -Effect of iron in axillary malodor and using an antioxidant as a deodorant-

  • Ichinose, N.;lida, S.;Gomi, T.;Someya, K.;Hirano, K.;Ogura, M.;Yamazaki, S.;Sakurai, K.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2003년도 IFSCC Conference Proceeding Book II
    • /
    • pp.139-144
    • /
    • 2003
  • Using GC/MS and GC/Olfactmetry analysis, we identified two vinyl ketones such as 1-Octen-3-one (OEO) and cis-1, 5-Octadien-3-one (ODO) as key materials in axillary odor. OEO and ODO showed a strong metallic odor and low odor threshold. These two materials were occurred from the reaction of unsaturated long fatty acids in lipids and the iron ion in our body's metabolism. Then, it was recognized that Morus alba (Japanese name, Kuwa) extract, one of the plant extract, showed a very good effect to control the generation of these vinyl ketones due to its remarkable anti-oxidization effec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