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k shell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17초

피조개 항망의 써레에 의한 어획 선택성에 관하여 (On the tooth selectivity of ark shell dedge)

  • 조봉곤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3권1호
    • /
    • pp.1-8
    • /
    • 1997
  • To find the tooth selectivity of the dredge for catching the ark shell Scapharca broughtonii, the probabilities of the ark shells which are not sifting through the gaps between teeth were calculated for the various shell lengths. Considering that these probabilities are in proportion to the relative catching efficiencies, selectivity curves for the ark shell dredge were estimated for the various gaps between teeth. The ratio of the shell length of ark shell to the distance between teeth indicating the relative catching efficiencies of 0%, 50%, 100% respectively, were calculated by using these selectivity curves, and the values were 1.00, 1.32, 1.54 in the distance of 4.0cm between teeth and then, the ratios showed a slight tendency to decrease as the distance between teeth increased in the relative catching efficiency of 100%, In addition, the range of shell length for catching, that is, the range of selective shell length by the distance between teeth was 0.54 in the distance of 4.0cm between teeth.

  • PDF

피조개 항망의 어획선택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tching Selectivity of the Ark Shell(Scapharca Broughtonii)Dredge)

  • 조봉곤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5권4호
    • /
    • pp.366-376
    • /
    • 1999
  • In order to examine the catching selectivity of the ark shell(Scapharca broughtonii) dredge, the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selective action of the dredge are analyzed, and the probabilities of the ark shell not shifting through the gaps between the teeth, and the mesh of the netting bag, are calculated for the various shell lengths, using the relation between the posture and the length when the shell passes through these parts.Considering that the probability of making catch is the product of the both probabilities described above, and that this probability is proportional to the relative catching efficiency, the selectivity curves for the ark shell dredge were estimated for various gaps between the teeth and for the various mesh sizes of the netting bag. The obtained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atios of the shell length of ark shell to the distance between teeth indicating the relative catching efficiency of 0%, 50, 100% respectively were 1.0, 1.26~1.28, 1.47~1.44, and that the selection ranges of selective shell length by the distance between teeth were 0.47~0.44, where the distances between teeth were 3.2cm, 3.6cm, 4.0cm, 4.4cm and 4.8cm. 2. The ratios of the shell length of ark shell to the mesh size indicating the relative catching efficiency of 0%, 50%, 100% respectively were 0.67, 0.84, 0.97 and that the selection range of shell length for catching, that in the range of selective shell length by the mesh size was 0.31, where the distance of 4.0cm between teeth, mesh size of 6.0 cm and the smaller mesh angle of $60^{\circ}$3. Where the distance between teeth is 4.0 cm and the smaller mesh angle is $60^{\circ}$, the selection range of shell length for catching of the ark shell dredge is decreased according to the mesh size, and it is minimized by 0.20 in the mesh size of 9.0~10.0 cm, but increased in the mesh size of over 11.0 cm. 4. Where the distance between teeth is 4.0 cm, the selective action by the mesh size of netting bag is begun with the mesh size of over 10.0 cm.

  • PDF

새고막(Scapharca subcrenata) 가식부 일반성분의 계절변동 (Seasonal Variation of Proximate Composition in Edible Portion or Ark Shell (Scapharca subcrenata))

  • 박춘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226-1229
    • /
    • 1999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harvest time for the production of high value added ark shell(Scapharca subcrenata) cultured at the south coast of Korea, the seasonal variations of proximate composition(mois ture, protein, fat, ash and glycogen) in the edible portions of ark shell were measured from December 1994 to December 1995. Moisture contents were the lowest in spring, but the highest in summer season being the spawning season of the S. subcrenata. The other hand, protein contents were a maximum in spring and minimum in summer. In June, just before the spawning season, fat and glycogen content was the highest, and ash content was little changed through a year. After spawning season, glycogen contents, showed decrement. In evaluating the seasonal variation of protein, moisture, and glycogen content in ark shell, the relationships of moisture protein content, moisture glycogen content and glycogen protein content show to be reverse.

  • PDF

새꼬막(Scapharca subcrenata) 추출물의 혈관신생 억제활성과 특성 (Anti-angiogenesis Activity and Characterization of Extract of Ark Shell Scapharca subcrenata)

  • 임치원;박희연;심길보;윤나영;김연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03-306
    • /
    • 2012
  • Anti-angiogenesis therapy is one of the most promising strategie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We investigated the anti-angiogenesis activity of an extract from the ark shell Scapharca subcrenata and attempted to purify the active compounds. The crude extract of the ark shell inhibited the proliferation of human vein endothelial cells (HUVEC-1) and tube formation by human dermal microvascular endothelial cells (HMEC-1). The methanol extract of the viscera of the ark shell showed activity. The ark shell extract acts as an angiogenesis inhibitor and could be developed further as a health substance, functional food, and anticancer agent.

고막 및 새고막의 부위별 식품성분 특성 (Characteristics of Food Components in Granular Ark and Ark Shell)

  • 김귀식;임정훈;배태진;박춘규;김명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512-518
    • /
    • 2002
  • 전남의 남해안 지방에서 주로 생산되고 있는 고막과 새고막의 생시료와 자숙 시료를 육과 내장 부위로 나누어 이들의 식품학적 품질을 구명하기 위하여 일반성분, 지질 및 지방산 조성, 유리아미노산, 핵산관련물질 및 무기성분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수분은 새고막이 고막에 비해 많았고, 조단백질은 적었으며, 다른 성분은 비슷하였다. 고막과 새고막의 비극성지질의 주성분은 triglyceride이었고, 두 시료 모두 내장이 육에 비해 그 조성이 높았다. 극성지질의 주성분은 phosphatidyl choline과 phosphatidyl ethanolamine이었고, 각 시료간에는 phosphatidyl choline은 내장에, phosohatidyl ethanolamine은 근육에 함유율이 높았다. 주요지방산은 16:0, 20:5n-3, 18:1n-9, 16:1n-7, 18:0 및 U:6n-3이었다. 핵산관련물질은 AMP와 ADP가 주체를 이루고 있었으며, 이들은 내장보다 근육에 그리고 생시료보다 자숙시료에 다소 많았다. 또한 자숙함에 따라 ATP는 다소 감소하였으나 그외는 다소 증가하였다. 고막과 새고막의 주요 아미노산은 taurine, glycine, ala-nine, glutamic acid, phenylalanine 및 aspartic acid이었다. 고막생육은 자숙육에 비해 glycine, alanine 및 $\alpha$-amino-iso-butyric acid의 함량은 많았고, glutamic acid, aspartic acid 및 phenylala-nine의 함량은 적었다. 새고막 생육은 자숙육에 비해 taurine과 $\alpha$-amino-iso-butyric acid의 함량은 많았고,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의 함량은 적었다. 무기성분은 인, 나트륨, 마그네슘, 철 및 칼슘이 주체를 이루고 있었고, 고막 자숙육은 생육에 비해 나트륨과 마그네슘의 함량이 많았으며, 인과 철의 함량은 적었다. 새고막 자숙육은 생육에 비해 나트륨, 마그네슘 및 칼슘의 함량이 많았다.

득량만의 피조개 자원량 추정을 위한 예비조사 (THE RESOURCES OF THE ARK-SHELL, ANADARA BROUGHTONII IN DEUK RYANG BAY)

  • 최규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04-208
    • /
    • 1974
  • 1974년 1월 10일부터 동월 17일까지에 전라남도 보성군 회천면 서당리 앞바다 어장에서 피조개 자원량 추정을 위한 예비조사를 실시했다. 1. 조사대상 전수역내(112ha)에 있어서의 피조개 추정 현존양(어획대상이 되는것)은 약 $3.4\~8.3\;M/T$, 개체수로는 약 $11,000\~37,000$개이다. 2. 어획된 피조개는 3년생 이상의 것이 약 $93\%$를 차지하고 있다.

  • PDF

3종의 해산 무척추동물의 지방산 조성 (Fatty Acid Compositions of Three Species of Marine Invertebrates)

  • Jeong, Bo-Young;Moon, Soo-Kyung;Jeong, Woo-Geon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91-299
    • /
    • 1993
  • The lipid components of the gonad of sea urchin Hemicentrotus pulcherrimus, ark shell Scapharca bro-ughtonii and "Gaebul" (Korea name, a worm) Urechis unicinctus were investigated. The total lipid (TL) contents of the sea urchin, the ark shell and the "Gaebul" were 6.10, 0.67 and 0.79%, respectively. The percentages of phospholipid (PL) in TL were higher in the "Gaebul"(72.4%) and ark shell(64.9%) compared to the sea urchin (41.7%). The major lipid classes of PL were phosphatidylcholine and phosphatidylethanolamine, and the former was rich in the sea urchin (56.2%) and the latter in the "Gaebul"(34.4%). In the class of non-polar lipid (NL), the major lipid classes were different from species ; the sea urchin was rich in triglyceride(TG, 89.0%), the ark shell rich in TG (69.2%) and cholesterol (ST 26.8%) and the "Gaebul"rich in ST (70.7%). The prominent fatty acids of the sea urchin were 16 : 0, 14 : 0, 20 : 5n-3, 20 : 4n-6 and 20 : 4n-6 and 20 : 2NMID(non-methylene interupted dien). The percentage of 20 : 4n-6 was the highest of the investigated invertebrates, accounting for 19.8% in PL, but 22 : 6n-3 was not detected in the sea urchin. In case of the ark shell, the prominent fatty acids were 16 : 0, 18 : 0, 20 : 5n-3, 22 : 6n-3 and 22 : 2NMID, especially 22 : 6n-3(9.58%) was richer compared to that of the "Gaebul". The prominent fatty acids of the "Gaebul"were 20 : 5n-3, 16 : 0, 18 : 0 20 : 1n-9, 16 : 1n-7 and 14 : 0. The percentage of 20 : 5n-3 (22.0%) was highest in the PL of the "Gaebul"among the three invertebrates. These differences in the lipid components of all the sample is considered to be due to the different food habits and environmental condition of the invertebrates.

  • PDF

피조개의 항산화 활성과 Acetylcholinesterase 저해 활성 (Antioxidant Activity and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y of Ark shell (Scapharca broughtonii))

  • 김정빈;김재민;이영민;백인석;이승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12-218
    • /
    • 2014
  • 국내 연안에서 널리 양식되고 있는 피조개의 생리적 기능성을 발굴하기 위하여 항산화능과 acetylcholinesterase 저해능을 측정하였다. 피조개 분말로부터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로부터 극성에 따라 hexane, diethyl ether, ethyl acetate, 그리고 물 분획물을 얻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으로 항산화능을 분석한 결과, 각 활성은 한 분획물에 치중되지 않았지만 물 분획물에서 비교적 높았다. 그러나 acetylcholinesterase 저해능은 diethyl ether 분획물에서 높게 측정되었다. 이로서 항산화능과 acetylcholinesterase 저해능에 관여하는 다양한 물질들이 피조개에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우리나라 꼬막양식업의 발상과 발달과정 (Origin and Developing Process of Ark-shell Culture Industry in Korea)

  • 배수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2-82
    • /
    • 1986
  • 우리나라에는 옛부터 천해간석지에서 김, 굴과 함께 꼬막의 세가지 품종이 양식되어 왔다. 따라서 우리나라 꼬막양식업의 발상여건과 산업적인 추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고전의 자료에서 부터 최근의 자료까지를 조사${\cdot}$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꼬막의 명칭(호칭)을 조사한 결과 중국에는 9종의 이름이 있으나 저이 대표적인 이름이고, 일본에는 하이가이. 첸미의 두가지 이름이 있으나 하이가이가 대표적인 이름이고, 영명에는 Ark shell. Cockle shell의 두가지 이름이 있으나 모두 유사종에 공통으로 쓰이는 이름이라 애매하고, 우리나라에는 고막, 소합, 안다미조개의 세가지 이름이 전해져 왔으나 개화기 이후에는 고막이라는 통일된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으며 현재는 꼬막이라 부르게 되었다. 한때 강요주라는 이름으로 불려지기도 했으나 그것은 가리비에 붙은 이름이고, 두 종류가 모두 껍데기의 표면에 기와지붕과 같은 도랑무늬가 있는 점에서 일부 지식인들이 가리비와 혼동한 이름이다. 또 고막이라는 이름의 발상지는 전라남도의 남해안이고 이름의 발상년대는 1800년대에 들기 이전이다. 2. 우리나라산 꼬막의 산지는 남해안과 서해안의 전역이라 할 수 있으며, 풍파가 잔잔한 내해로서 담수의 영향을 다소 받는 깊은 펄의 고조대 간석지다. 3. 우리국민은 꼬막무리의 이용에 있어서 단순한 식품이라기 보다는 약식의 개념이 강하며 생식하는 경우가 많고, 동의보감에 의하면 살이나 껍데기가 모두 약리적인 효과를 갖는데, 살은 소화를 돕고 장기를 돋구며, 껍데기는 응어리진 핏덩이나 쌓인 담을 제거한다. 4. 우리나라 꼬막양식업의 발상은 19 세기 전반기로 상정되며, 발상지는 전라남도의 남해안이었다. 5. 우리나라 꼬막양식업은 농가나 어가의 부업으로 계승되어 왔는데 6.25동란 정전후부터 정부의 개발정책에 힘입어 생산량이 크게 증가 하였으며, 최근에는 $5,000\fra{M}{T}$이상의 안정된 생산량을 유지해 왔고, 모두 어촌계단위의 협업화 형태로 양식되고있다.

  • PDF

새고막의 통조림 가공 적성 (Processing Suitability of Canned Ark Shell)

  • 배태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37-242
    • /
    • 1998
  • 새고막 육의 일반성분은 수분함량 76.9%, 조단백질함량 18.1%, 조지방함량 1.8%, 당함량 1.3% 및 조회분함량은 1.6%로 나타났으며, 총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0.67~1.02mg%이었고, 적색 체액의 양은 1.32~1.58mg%범위였으며, 이 중에서 Homoglobin 함량은 0.98~1.64g/dl 범위로서 개체간의 차이가 심하게 나타났다. 살아있는 상태의 새고막에서 개펄을 제거하기 위하여 2% 염분농도의 물에 침지한 것이 개펄배설에 가장 효과가 좋아 수침 10시간만에 89% 정도의 배설율을 보였고, 해수의 염분농도에 가까운 3% 염분농도의 물에 수침한 것은 10시간 후 대략 70%의 배설율을 보였다. 그리고 가장 배설효과가 뛰어난 pH는 7.5로 수침 10시간만에 91% 이상의 배설율을 보였고 20시간 후는 97%의 배설율을 보였다. 새고막 색소성분의 ether 추출물의 흡수 스펙트럼은 정체적으로 두 개의 peak로 나타났으며 각각의 흡수대는 452nm과 687nm였고 최대 흡광점은 452nm였다. 통조림 살균 공정 중 새고막 육색소의 변화로서 95$^{\circ}C$, 111$^{\circ}C$, 116$^{\circ}C$ 및 121$^{\circ}C$에서 가열처리 하였을 때 60분 후 carotenoid 색소의 잔존율은 각각 71.8%, 66.8%, 46.4% 및 36.5%로 가열온도가 높을수록 carotenoid 파괴가 극심하게 일어났다. 그리고 120분 후에는 각각 56.6%, 30.6%, 30.3% 및 17.2%였다. 95$^{\circ}C$, 111$^{\circ}C$, 116$^{\circ}C$ 및 121$^{\circ}C$에서 시간별로 가열처리한 새고막육에서 지용성 및 수용성 갈변물질의 생성은 가열온도가 높을수록, 또한 가열시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였고, 그리고 수용성 갈변물질의 생성은 지용성 갈변물질량에 비하여 훨씬 적게 나타나서, 새고막 통조림 가공 중 열처리 과정에서 일어나는 갈변은 carotenoid 성분의 변퇴색에 크게 기여하는 지용성 성분 등에 의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