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chitectural & Interior Design Communication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18초

스트릿 몰(Street Mall)의 매장 배분계획과 영업활성화의 관계에 대한 연구 - 국내 스트릿 몰의 사례를 중심으로 -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of store unit configuration and business activation of street mall - Based on case studies of street malls in Korea -)

  • 우승현;윤혜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202-210
    • /
    • 2009
  • This research was undertaken to 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et mall activation and architectural plan design. The research methodology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analysis of data of two existing street malls in Korea (Western Dome & LaFesta) and theoretical studies of outdoor space desig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building blocks with segments in every 50m or so are ideal for detailed communication between visitors and building contents. Second, the ratio of width of main corridor and building height should be less than 1 to provide intimate feel and keep visitors' attention concentrated in the facility. Third, store unit should have more storefronts to be exposed more to passers-by and lead more pedestrian traffic. Fourth, shape of store unit would rather be wide and shallow, instead of narrow and deep, to have more exposure to the central corridor. Fifth, the building block of the busiest(most expensive) area that is usually at the main entrance area of street mall should be flexible to fit more smaller units to maximize the profitability. Sixth, the main entrance of store should face the main pedestrian corridor to induce the influx of visitors. Lastly seventh, anchor tenant that has strong name recognition is usually located on basement or higher level to induce pedestrian traffic into the mall, key tenants that are strong and familiar brand names should be located at the corner of building block with spacing to attract visitors, provide even distribution of traffic, and support wayfinding, and local tenant should be located at small units along the central corridor or remainder spaces occurred from building core layout.

부산시 교과교실제 운영 중학교의 창의환경특성 평가 연구 (An Evaluation Study of Creativity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 Middle School of Subject Classroom System in Busan)

  • 여지연;이태경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12호
    • /
    • pp.65-74
    • /
    • 2019
  • The whole world is emphasizing 'creativity' as the core competence of the future society that global talents should have in the 21st century. Korea is also actively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creative and convergent talents by recognizing these times and social needs. It is also required to improve the physical environment, which is an essential condition of education. As a result, the curriculum is being implemented as an institutional method for creative education since 2009, and there is a need for continuous research for effectiv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system in relation to the establishment of the facilities of credit school system introduced from 2022 to b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ndoor environment from the viewpoint of creative environment and to suggest the improvement direction for the improvement of the satisfaction of the education space for the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ree middle schools operated by the advanced classroom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atisfaction of autonomy and sociality was relatively high and the satisfaction of comfort was the lowest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ve environment. Second, it was found out that a priority should be given to ways to enhance sociality in space so as to support smooth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students, and students in the environmental plan for creative classroom classroom.

인터넷쇼핑몰의 VMD 구성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omponents of Visual Merchandising of Internet Shopping Mall)

  • 김광석;신종국;구동모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19-45
    • /
    • 2008
  • 본 연구는 인터넷쇼핑몰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주요차원을 고객이 쇼핑몰에 진입한 후 정보탐색과 대안평가를 거치는 등의 쇼핑과정을 토대로 AIDA모형 관점에서 점포, 제품, 촉진에 초점을 맞추었다. VMD의 주요차원(primary dimensions)으로는 점포디자인, 머천다이징, 그리고 머천다이징단서로 구분하였다.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점포다자인의 하위차원으로는 차별성, 간결성, 위치확인성을, 머천다이즈의 하위차원으로는 제품구색, 명성, 정보성을, 그리고 머천다이징단서의 하위차원으로는 제품추천 및 링크를 설정하여 VMD태도와의 관계를 탐색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이들 세 차원은 종속변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초고층빌딩의 융합적 건축형태 분류와 경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lassifications and Trends with Convergence Form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e in Tall Buildings)

  • 박상준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37권5호
    • /
    • pp.119-133
    • /
    • 2019
  • 본 연구는 초고층 건물의 치열한 높이 경쟁이 지속되면서 더 이상 높이만으로는 다른 건물과의 차별성이 부족하다는 인식이 팽배하면서 비정형적 형태에서 경쟁력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또한 비정형 초고층 건물은 높이뿐만 아니라 그 형태로도 국가, 도시, 기업의 경제적 경쟁력을 표출하는 상징성을 드러내고 있다. 디지털 미디어가 도입되기 이전에는 건축물의 구조와 형태사이에 간극이 존재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적인 매개물이 요구되었다. 1980년대 후반부터 디지털 기반의 비정형재현 과정이 실험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하였고 2000년 이전에는 사무공간의 초고층건축으로 사용하거나 산업용 굴뚝, 통신탑 등의 용도가 대부분이었다. 2000년 이후 대다수 글로벌 브랜드호텔 또는 상·주거공간으로 복합·다양한 용도의 초고층건축이 증가하는 추세에 의해 최근의 건축사례들은 이전의 한계를 벗어나고 있음을 분명하게 확인된다. 복잡한 비정형형상으로부터 직접적인 구조체계를 도출하고 사선형, 곡면형이 지닌 조형적인 표현성을 실현할 수 있는 디지털 기반의 형성을 통해 구조와 형태사의 새로운 관계설정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된다. 이에 2000년 이후 신축된 건축 가운데 국제초고층협의회(CTBUH)의 데이터를 기준에 의해 초고층 100위의 빌딩을 대상으로 정형 및 사선형, 곡면형 등으로 구분하여 조형적 형태를 인지하는 실질적인 설계가 이루어지는 설계 프로세스를 근거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복잡·다양한 비정형 건축형태를 구축하기 위한 형태의 상호관련성을 유추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합된 용도의 건물에 따른 다양한 형태구성의 고층부의 외관이 보인다. 둘째, 접힘은 내부방향으로 반복적 접힘이 적용되어 나타난다. 셋째, 2방향 곡면은 twist의 속성을 가지는 pure, helix, spiral twist 유형의 대부분 나타난다. 그러므로 향후 본 연구를 기반으로 미래 초고층건축의 형태분류 및 양상을 예측하는데 기초적 데이터로서 활용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