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ch width

검색결과 241건 처리시간 0.02초

Biocreative Alveolar Molding Plate Treatment (BioAMP) for neonatal unilateral cleft lip and palate with excessively wide alveolar cleft and maxillary arch width

  • HyeRan Choo;HyoWon Ah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69-73
    • /
    • 2024
  • Since its inception in Europe in the 1950s, alveolar molding treatment for neonates with complete cleft lip and palate has undergone significant evolution in both design and application methodology, demonstrating effectiveness in normalizing the alveolar cleft and nasal shape. However, excessively wide alveolar clefts accompanied by disproportionately wide total maxillary arch pose significant challenges when utilizing conventional alveolar molding methods involving cyclical adding and grinding of acrylic on molding plates. The current report introduces a novel alveolar molding method named Biocreative Alveolar Molding Plate Treatment (BioAMP), which can normalize the maxillary alveolar cleft and arch shape without laborious conventional acrylic procedures. BioAMP sets the target arch form and provides unrestricted space for natural growth of the maxillary alveolar bones while systematically reducing the total maxillary arch width in precise increments. Two exemplary cases are presented as proof-of-concept, showcasing the clinical innovation of BioAMP.

치열궁의 성장 변화 (GROWTH AND DEVELOPMENT OF ARCH FORM)

  • 손병화;백형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7-27
    • /
    • 1998
  • 치열궁의 성장 변화에 대한 연구는 교정 진단과 치료 계획 수립시와 결과의 분석에 있어서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치열궁의 형태는 자연 인류학과 치의학 특히 보철학과 교정학 분야에서 더욱 중요한 의미가 있다. 특히 교정학 분야 에서는 상,하악 치아의 기능적인 면과 치료후의 치열과 교합의 안정성 유지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일찍 부터 연구가 진행 되어 왔다. 이에 대한 연구로는 이미 많은 선학들의 연구가 보고 되어 오고 있다. 초기에는 두개골을 직접 측정하여 치궁의 성장 변화를 설명 하였고,그 후 방사선이 소개 됨으로 방사선 사진을 이용한 계측과 또한 경석고 토형을 사용한 선계측 방법도 많이 시도 되어 왔다. 그 방법으로는 치열궁의 폭경, 치열궁 장경 및 주위경 등을 계측하여 치열궁의 성장 변화를 연구 하여 왔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지역과 서울 지역에 거주하는 교정 치료를 받지 않고, 건강한 심신과 정상적인 성장 발육을 하고 있는 정상 교합자 3세 에서 12세 까지의 남,녀 아동 600여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각 두부 측면 방사선 사진, 파노라마 사진, 그리고 치열궁 모형을 두해 연속해서 채득을 한 이후 계속 follow up 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follow up 된 두해에 걸친 각각 200여 쌍, 총 400여 쌍의 모형을 채택하여 본 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치아의 근원심 폭경, 견치간 폭경, 구치간 폭경, 견치 치열궁 장경, 구치 치열궁 장경, 그리고 치열궁 주위경을 측정하여 연령별 성별 평균과 표준 편차를 내고 도표로 표시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견치간 폭경은 계속 완만히 증가하다가 10세 이후 12세까지는 증가하지 않았다. 2. 제 1 대구치간 폭경에 대해서는 상악은 완만한 증가를 보이지만 하악의 경우는 유의성있는 변화를 보이지 않다가 9세 이후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3. 견치 치열궁 장경은 6세 이후 비교적 급격한 증가를 보였고 하악의 경우 더욱 뚜렷하다. 4. 구치 치열궁 장경은 상.하악 모두 서서히 증가하다가 10세 이후 부터는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감소 경향은 하악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5. 치열궁 주위경은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그 증가량이 점차 완만해지고 10세이후에는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러한 경향은 하악에서 약간 크고 빠르게 나타났다.

  • PDF

청소년 석고 모형 분석에 의한 하악절치 형태와 치아밀집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DENTAL CROWDING AND ITS RELATIONSHIP TO MANDIBULAR INCISOR SHAPE BY MODEL ANALYSIS IN ADOLESCENTS)

  • 서정은;백형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93-604
    • /
    • 1995
  • 하악 전치의 밀집은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부정교합의 특징중의 하나이며 교정치료후의 안정성과 재발 측면에서도 중요 관심의 대상이다. 이를 유발시킬 수 있는 원인으로 그동안 많은 요소가 연구되어 왔으며 치아의 크기도 그 중의 하나이다. 현재 교정치료의 진단과 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치아 크기 측정에서는 순설측 폭경의 의미가 간과되어 왔는데 Peck과 Peck이 이상적인 하악 전치부 배열을 가진 경우 절치의 근원심 폭경은 평균보다 작고 순설측 폭경은 평균보다 크다는 통계학적 수치를 발표하고 MD/FL index가 하악 전치부 밀집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진다고 주장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인에 있어서 하악 절치의 형태 및 크기와 하악 전치부 밀집간의 상관관계, 그들과 전악궁의 치아 밀집간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11세에서 17세에 이르는 154명의 석고 모형을 채득하여 Irregularity index 1 미만인 35명의 정상군과 Irregularity index 1 이상인 119명의 밀집군으로 분류하고 석고모형상에서 연관성 있다고 추정되는 계측항목을 측정한 후 통계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하악 절치의 근원심 폭경은 밀집군에서 큰 값을 보였으나 중절치에서만 유의성을 보였고, 순설측 폭경과 MD/FL index는 유의차가 없게 나타났다. 2. Irregularity index는 밀집군의 하악 절치의 근원심 폭경, MD/FL index와 유의성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순설측 폭경과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상하악의 Arch length discrepancy, 치관 근원심 폭경 총화와는 순상관 관계를, 하악 견치간 폭경과 제 1 소구치간 폭경과는 역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3. 상하악의 arch length discrepancy는 하악 절치의 근원심 폭경, overbite과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순설측 폭경과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악의 arch length discrepancy는 하악 절치의 MD/FL index와, 상악의 arch length discrepancy는 측절치의 MD/FL index에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4. 정상군과 밀집군의 각 계측항목의 t-검정 결과 하악의 arch length discrepancy, overbite에서만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 PDF

상하악 전치부 치열궁 형태에 대한 새로운 접근 - 한국성인 정상교합자 모델에서 (The new approach to maxillary and mandibular anterior dental arch forms - In Korean normal occlusion models)

  • 하만희;손우성;양훈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47-355
    • /
    • 2001
  • 상하악 전치부 치열은 치아의 형태 변위, 선천결손 등에 의해 종종 교합관계나 심미성에 문제점을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임상의는 전치부 비율을 진단시 이용하게 되나, 치열궁 형태, 견치간 폭경(intercanine width), 치열궁 장경(segment depth)과 치열궁 둘레(arch perimeter)에 따른 전치부 비율의 변화로 인해 이러한 비율을 전치부 교합관계 예측에 직접 적용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성인 정상교합자 모델(남자:20쌍, 여자:20쌍)에서 상하악 전치부 치열궁 형태를 least square method로 조사하였다. 한국인 정상교합자의 상하악 전치부 치열궁 형태는 다항 함수(polynomial function), 베타 함수(beta function), 하이퍼볼릭 코사인 함수(hyperbolic cosine function) 순으로 곡선 접합(curve fitting)하였으며, 이러한 곡선 접합도는 남녀, 상하악에 관계없이 일정하였다. 또한 곡선접합(curve fitting)된 치열궁 형태를 바탕으로 견치간 폭경(intercanine width), 치열궁 장경(segment depth)과 치열궁 둘레(arch perimeter)간의 상관관계를 구하였다. 이러한 상관관계는 견치간 폭경에 따른 치열궁 형태 예측과 보다 정확한 전치부 비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 PDF

한국 성인 유치악자의 하악 치열궁에 관한 조사 (A STUDY OF MANDIBULAR DENIAL ARCH OF KOREAN ADULTS)

  • 김일한;최대균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66-182
    • /
    • 1998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valuate the Korean mandibular dental arch and classify the mandibular dental arch shape and size based on the incisal angle, canine angle, inter second molar width and height. In this study the mandibular study models were fabricated using irreversible hydrocolloid impression material from 225 volunteers with a mean age 23.62 (range 19-29). And the study models were measured with 3-dimensional measuring device and the mandibular dental arch was classified by means of K-means clustering method and visual inspection, then obtained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average canine height was 5.19mm(s.d. 1.17) in both sex, 5.34mm in male, and 4.95mnm in female. And the sexual difference was significant($0). 2. The average second molar height was 39.81mm(s.d. 2.44) in both sex, 40.19mm in male, and 39.21mm in female. And the sexual difference was significant($0). 3. The average inter-canine width was 27.16mm(s.d. 1.78) in both sex, 27.41mm in male, and 26.77mm in female. And the sexual difference was significant($0). 4. The average inter-first molar width was 46.93mm(s.d. 2.67) in both sex, 47.72mm in male, and 45.7mm in female. And the sexual difference was significant($0). 5. The inter-second molar width was average 56.09mm(s.d. 3.01) in both sex, 57.24mm in male, and 54.32mn in woma. And the sexual difference was significant($0). 6. The arch form was classified into three shapes based on the incisal and canine angle. V-shape showed $124.88^{\circ}$ of incisal angle and $141.64^{\circ}$ of canine angle, U-shape showed $152.76^{\circ}\;and\;125.35^{\circ}$, and O-shape showed $138.03^{\circ}\;and \;33.66^{\circ}$ respectively. Each shape distribution was that the V-shape was 14.2%, the U-Shape was 14.7%, and the O-shape was 71.1% of the 225 study models. 7. It was thought that the use of second molar width is more reasonable than height for classifying the dental arch size. The arch size was classified into four sizes based on the second molar width. Size 1 showed range of 42.24-48.23mm, size 2 showed 48.24-54.23mm, size 3 showed 54.24-60.23mm, and size 4 showed 60.24-66.23mm respectively. Each arch size distribution was that the size 1 was 1.3%, the size 2 was 27.1%, the size 3 was 63.6%, and the size 4 was 8.0% of the 225 study models.

  • PDF

한국인에서 치아 및 악궁의 크기와 총생의 관계 (DENTAL CROWDING AND ITS RELATIONSHIP TO TOOTH SIZE AND ARCH DIMENSION IN KOREAN)

  • 이난영;홍성수;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510-521
    • /
    • 2006
  • 본 연구는 총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가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으며 총생군 50명(남녀 각 25명)과 정상 교합군 40명(남녀 각 20명)에서 상하악 모형을 제작하여 이를 3D model로 변환하였으며 컴퓨터 상에서 치아의 근원심폭경과 악궁의 길이 변연길이, 견치간 폭경, 구치간 폭경을 계측 및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아크기 분석시 상악에서는 측절치와 제1,2소구치에서 총생군의 치아가 더 크게 나타났으며(P<0.05) 나머지 치아의 크기 및 치아크기합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P>0.05). 2. 하악에서는 중절치와 견치 및 제 1,2 소구치의 크기 그리고 치아크기합계에서 군간에 차이가 관찰되었다(P<0.05). 3. 악궁에 대한 평가시 상악에서는 악궁 변연길이와 구치간 폭경은 총생군에서 더 작았고 견치간 폭경은 총생군에서 더 컸으며 (P<0.05), 악궁의 장경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었다(P>0.05). 4. 하악에서는 악궁 변연길이는 총생군에서 더 작았으나(P<0.05), 악궁의 장경 및 구치간 폭경, 견치간 폭경에서는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P>0.05). 5. ALD와 각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악에서는 악궁 변연길이와$({\gamma}=-0.348)$ 구치간 폭경 $({\gamma}=-0.343)$, 소구치크기와$({\gamma}=-0.335)$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하악에서는 치아크기합계를$({\gamma}=-0.454)$ 비롯한 모든 치아크기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6. 석고모형 계측치와 삼차원모형 계측치를 비교한 결과 석고모형에 비해 삼차원모형 계측치가 좀더 크게 계측되었으며 (P<0.05), 오차의 범위는 0.01-0.47mm이었다. 7 검사자내의 오차를 분석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시행한 결과 석고모형 계측시 보다 삼차원모형 계측치의 재현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때, 총생이 존재할 때 상악에서는 큰 치아와 좁은 악궁이 복합적으로 기여하며 하악에서는 치아 크기가 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삼차원모형은 현재 적절하게 사용가능하지만 향후 개선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Process Variation on Arch-structured Gate Stacked Array 3-D NAND Flash Memory

  • Baek, Myung-Hyun;Kim, Do-Bin;Kim, Seunghyun;Lee, Sang-Ho;Park, Byung-Gook
    • JSTS: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 /
    • 제17권2호
    • /
    • pp.260-264
    • /
    • 2017
  • Process variation effect on arch-structured gate stacked array (GSTAR) 3-D NAND flash is investigated. In case of arch-structured GSTAR, a shape of the arch channel is depending on an alignment of photo-lithography. Channel width fluctuates according to the channel hole alignment. When a shape of channel exceeds semicircle, channel width becomes longer, increasing drain current. However,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n tunnel oxide decreases because less electric flux converges into a larger surface of tunnel oxide. Therefore, program efficiency is dependent on the process variation. Meanwhile, a radius of channel holes near the bottom side become smaller due to an etch slope. It also affects program efficiency as well as channel width. Larger hole radius has an advantage of higher drain current, but causes degradation of program speed.

The proper width of the intermittent trough for tunnel enlarging

  • Tan, Yi-Zhong;Liu, Yuan-Xue;Li, Zhong-You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6권5호
    • /
    • pp.455-467
    • /
    • 2014
  • As the traffic increased, the original capacity of the tunnel has been unable to meet the needs, so it must be expanded. Based on the features of tunnel, the intermittent trough method must be supposed for tunnel enlarging. Under the situation on the buried deep of the tunnel, it could be used the reasonable arch axis model to descript the past covered rock pressure for mechanism calculating of self-bearing arch. Then establish the three-arch combination effectible model for the analysis which is relied on the tunneling enlarging to Chongqing Yu-Zhou tunnel. It has determined the proper width for the intermittent trough in shallow buried tunnel enlarging.

발치 및 비발치 치료 전후 악궁 폭경의 변화 (Change in arch width in extraction vs nonextraction treatment)

  • 전지윤;김수정;강승구;박영국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1호통권120호
    • /
    • pp.65-72
    • /
    • 2007
  • 일반적으로 네 개의 소구치 발치를 동반한 교정치료는 비발치 치료에 비하여 치열궁 폭경을 더 좁게 만들어, 미소시 구각 부위에 어두운 구강 내 공간, 소위 buccal corridor를 형성함으로써 비심미적인 결과를 낳는다는 견해가 있다. 한편 발치 치료는 오히려 하악의 견치간 폭경을 증가시키며, 비발치 치료와 비교하여 악궁 폭경의 변화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는 상반된 연구결과가 존재한다. 이 연구는 발치 치료와 비발치 치료 시 악궁 폭경의 변화를 관찰하여 실제적으로 발치 치료가 미소 시 협측 분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시행되었다. 경희대학교 치과병원 교정과에서 치료받은 환자 중 전악에 고정식 장치를 사용하여 네 개의 제1소구치 발치 치료를 받은 30명과 비발치로 치료한 30명의 치료 전후 연구 모형을 비교 분석한 결과 악궁 폭경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네 개의 제1소구치 발치 치료 시 비발치 치료와 비교하여 상악의 견치간 폭경 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하악의 견치간 폭경은 유의하게 더 많이 증가하였다. 구치간 폭경 변화는 상악과 하악 치열궁 모두에서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발치군에서 구치간 폭경이 감소한 반면에 비발치군에서는 구치간 폭경이 증가하였다. 미소시 노출되는 악궁 폭경은 비발치군보다 발치군에서 더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치열궁 폭경의 축소가 발치 치료 시 당연히 예상되는 결과가 아님을 시사한다.

Evaluating Measurements: A Comparative Study of Digital and Plaster Models for Orthodontic Applications in Mixed Dentition

  • Seo Young Shin;Yong Kwon Chae;Ko Eun Lee;Mi Sun Kim;Ok Hyung Nam;Hyo-seol Lee;Sung Chul Choi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55-65
    • /
    • 2024
  •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accuracy of tooth widths, intermolar widths, and arch lengths acquired through two intraoral scanners, including iTero Element Plus Series (Align Technology, Santa Clara, CA, USA) and Trios 4 (3Shape, Copenhagen, Denmark), specifically on mixed dentition. A total of 30 subjec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each undergoing both alginate impressions and intraoral scanning using either the iTero or Trios scanner. The plaster models were measured with a caliper, while the digital models were measured virtually. In the iTero group, all tooth width measurements exhibited differences compared to the plaster values, except for maxillary left lateral incisors (p = 0.179), mandibular right (p = 0.285), and left (p = 0.073) central incisors. The Trios group did not displa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y of the tooth width measurements. Intermolar width comparisons for both groups indicated differences, except for mandibular primary canine to primary canine values (p = 0.426) in the iTero group. Regarding arch length, the mandibular anterior, maxillary right, and left arch lengths in the iTero group demonstrated larger caliper values than those of iTero. Conversely, in the Trios group, all parameters showed smaller caliper values, especially in upper anterior, maxillary right, mandibular right, and mandibular left arch lengths with significance (p = 0.027, 0.007, 0.003, and 0.047, respectively). Despi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digital models might be clinically suitable alternatives for plaster models. Pediatric dentists should carefully assess these differences, as a comprehensive evaluation would result in precise orthodontic treatment planning and favorable outcomes for young patients with mixed dent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