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buscular mycorrhizae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4초

Occurrence and Quantification of Vesicular-Arbuscular Mycorrhizal (VAM) Fungi in Industrial Polluted Soils

  • SELVARAJ;THANGASWAMY;PADMANABHAN CHELLAPPAN;JEONG, YU-JIN;KIM, H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1호
    • /
    • pp.147-154
    • /
    • 2005
  • A survey for vesicular-arbuscular mycorrhizae (VAM) status was undertaken in three different industrially polluted sites at Uyyakondan channel of Senthanneerpuram area in Trichy, India. The soils and the effluents were acidic, and contained higher Zn (621 to 711 ppm) than the other heavy metals, such as Cu, Pb, and Ni. Eighteen plant species were collected from the rhizosphere soils, and 13 species were positive for VAM colonization. Fifteen VAM fungal species were isolated from the plant species. The number of VAM fungal spores from the soils ranged from 45 to 640 per 100 g of soil.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observed between the number of spores and percentage root colonization, as exemplified by Acalypha indica (45 and 20%, respectively) and Paspalum vaginatum (640 and 98%, respectively). Hostspecific and site-specific associations were observed in site 2; particular VAM species, Gigaspora gigantea and Glomus fasciculatum, were specific to particular host plants, Phyllanthus maderaspatensis and A. indica, respectively, even though Eclipta prostrata and Physalis minima were maximally associated with 8 VAM species. G. fasciculatum was found in 11 plant species and predominant VAM species. These results led us to conclude that VAM fungi are associated with a majority of the plants in the industrial polluted sites and support the plants to survive in the acidic soils, polluted with heavy metals of the industrial effluents.

Occurrence of Vesicular-Arbuscular Mycorrhizal (VAM) Fungi and Their Effect on Plant Growth in Endangered Vegetations

  • Selvaraj, Thangaswamy;Padmanabhan, Chellappan;Jeong, Yu-Jin;Kim, H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4호
    • /
    • pp.885-890
    • /
    • 2004
  • A survey for vesicular-arbuscular mycorrhizae (VAM) occurrence was undertaken in three endangered vegetation sites in the area of Kudankulam atomic power station. Fifteen VAM fungal species were isolated from the root-zone soils of fourteen different plant species.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observed between the number of spores and of percentage root colonization as exemplified by Phyllanthus niruri and Paspalum vaginatum (450, 95%; 60, 25%). Although VAM species are not known to be strictly site specific, the fact that Acaulospora elegans was observed only in site 1, Glomus pulvinatum in site 2 only, and Gl. intraradices in site 3 only, showed site-specificity in this study. To confirm the infection efficiency, two host plant species in the sites, P. niruri and Eclipta alba, were selected and inoculated in field with three selected VAM fungal spores. Gl. fasciculatum was found to be the most efficient VAM species in percentage root colonization, number of VAM spores, and dry matter content. When the nutrients in roots of P. niruri and E. alba were analyzed, there was higher uptake of K (4.2 and 3.4 times, respectively) and Ca (5.3 and 4.9 times, respectively), the analogues for $^{137}Cs$ and $^{90}Sr$, respectively. From the results, it might be concluded that VAM association helps the plants survive in a disturbed ecosystem and enhances uptake and cycling of radionuclides from the ecosystem.

화산회토양에서 인산 시용수준별 탱자 유묘의 공생균근 형성과 무기양분 흡수 (Arbuscular-Mycorrhizae Colonization and Mineral Nutrient Uptake of Poncirus trifoliata Seedling in Volcanic Ash Soil)

  • 강석범;문두길;정종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83-291
    • /
    • 2000
  • 공생균근은 인산을 비롯한 무기영양소의 흡수 촉진을 통하여 작물의 생육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토양 중의 유효 인산함량은 이러한 공생균근의 형성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유효인산 함량이 증가할수록 공생균근 형성율은 낮아 지는데, 제주도 화산회 토양에서 인산 시용 수준을 달리하여 탱자 유묘의 공생균근 형성율과 인산 등 무기영양소의 흡수관계를 조사하였다. 비경작지 화산회 토양에 중과석과 복합비료로 40,573, 1,106, 1,373, $1,640mg\;P\;kg^{-1}$ 수준으로 인산을 처리하였으며 탱자 유묘를 5개월 동안 온실에서 재배하였다. 공생균근 형성율은 인산 시용 수준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토양 유효 인산 함량이 $100mg\;P\;kg^{-1}$ 이상인 조건에서는 공생균근의 형성은 크게 저해되었다. 탱자 유묘의 인산 흡수와 공생균근 형성을 사이에는 토양 중의 유효 인산 함량이 낮을수록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공생균근에 의한 인산 흡수 촉진 효과 또한 유효 인산 함량이 낮을수록 증가하였다. 인산 외 질소, 칼륨, 칼슘, 마그네슘, 아연 등의 무기영양소 흡수 또한 공생균근에 의해 촉진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리에 대한 흡수 촉진 효과는 인정되지 않았다.

  • PDF

Oak Tree Canker Disease Supports Arthropod Diversity in a Natural Ecosystem

  • Lee, Yong-Bok;An, Su Jung;Park, Chung Gyoo;Kim, Jinwoo;Han, Sangjo;Kwak, Youn-Si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0권1호
    • /
    • pp.43-50
    • /
    • 2014
  • Microorganisms have many roles in nature. They may act as decomposers that obtain nutrients from dead materials, while some are pathogens that cause diseases in animals, insects, and plants. Some are symbionts that enhance plant growth, such as arbuscular mycorrhizae and nitrogen fixation bacteria. However, roles of plant pathogens and diseases in natural ecosystems are still poorly understood. Thus, the current study addressed this deficiency by investigating possible roles of plant diseases in natural ecosystems, particularly, their positive effects on arthropod diversity. In this study, the model system was the oak tree (Quercus spp.) and the canker disease caused by Annulohypoxylon truncatum, and its effects on arthropod diversity. The oak tree site contained 44 oak trees; 31 had canker disease symptoms while 13 were disease-free. A total of 370 individual arthropods were detected at the site during the survey period. The arthropods belonged to 25 species, 17 families, and seven orders. Interestingly, the cankered trees had significantly higher biodiversity and richness compared with the canker-free trees. This study clearly demonstrated that arthropod diversity was supported by the oak tree canker disease.

균근균 Glomus sp. 접종에 따른 고형배지경 오이와 방울토마토의 균근 형성과 생육 (Mycorrhizal Root Infection and Growth of Cucumber and Tomato Plants by the Inoculated with Glomus sp. In solid Medium Culture)

  • 조자용;김영주;진서영;강성구;김홍림;손보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41-349
    • /
    • 2004
  • 오이와 방울토마토에 Glomus sp.를 종자파종과 고형배지경에 정식시 각각 접종하여 생장과 수량반응 및 균근 감염 양상 등을 비교 검토하였다. 오이와 방울토마토의 초장, 엽수, 엽면적 및 건물중 등의 전반적인 생장은 무접종 < 정식시 균근균 접종 < 파종시 균근균 접종의 순으로 양호하였으며, 과실수량반응은 종자파종시에 균근균을 접종할 경우 과실의 생체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과실의 당도도 증가하였다. 균근감염은 오이와 방울토마토 모두 주로 균사에 의하여 이루어 졌고. vesicle와 arbuscule에 의한 감염은 극히 적었다. 뿌리체내 균근균 감염율은 종자파종시 균근균 접종원 처리의 경우가 정식시에 균근균 접종원을 처리한 경우보다 높았다. 균근균 접종에 따른 과실 수확을 보면 오이의 경우 주당 과실수가 증가하였고, 토마토의 경우 주당 과실의 수확 중량이 증가하였다.

우리나라의 산림토양(山林土壤)에 분포(分布)하는 포자낭과(胞子囊果)를 형성하는 아버스큘균근균(菌根菌), Glomus속(屬) (Sporocarp-forming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Glomus spp. in Forest Soils of Korea)

  • 구창덕;김태훈;이창근;이원규;강창호;이병천;이승규
    • 한국균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9-36
    • /
    • 1992
  • 한국(韓國)의 산림토양(山林土壞)에 분포(分布)하는 아버스쿨균근균(菌根菌) 중에서 균사총(菌絲叢)(hyphal plexus)를 중심으로 하여 포자(胞子)가 1개의 층으로 방사상 배열을 한 포자낭과(胞子賽囊果)를 형성 하는 Glomus속(屬)의 6개 종(種)(최근까지 Sclerocystis 속(屬)으로 분류(分類))이 단양 석회암(石灰岩) 지역(地域), 문경 탄광(炭鑛) 폐석지. 진도의 팽나무 식재지. 남해(南海)의 삼나무 조림지(造林地). 성산 일출봉 분화구(噴火口) 바닥, 서귀포 천지연 폭포 주변 찔레등 관목림(灌木林)에서 채집(採集)되었다. Glomus clavisporum의 포자(胞子)는 곤봉형으로 머리부분의 벽(壁)이 $25-33{\mu}m$으로 매우 두터우며, G. heterosporum 의 후막 포자(胞子)는 포자낭과(胞子賽囊果) 중앙부의 벽이 두터운 굵은 균사와 연결되어 있다. G. liquidambaris는 포자(胞子)사이사이에 주걱모양의 구조 (paraphysis)가 있으며, G. rubiforme는 검정색의 산딸기 모양이다. G. sinuosum 은 벽이 두터운($2-3{\mu}m$) 황금색의 균사(菌絲)가 구불구불하게 뭉쳐서 외피(peridium)를 구성한다. G. taiwanense의 포자낭과(胞子賽囊果)는 적갈색이고 포자(胞子)는 노랑색으로 머리부분의 벽(壁)이 두텁다.

  • PDF

한국(韓國)의 목본식물(木本植物)의 외생(外生) 및 내생균근(內生菌根)에 관(關)한 분류학적(分類學的) 분포(分布) 조사(調査) (Taxonomic Distribution of Ecto- and Endomycorrhizae among Woody Species in Korea)

  • 이경준;구창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37-45
    • /
    • 1983
  • 한국(韓國)에서 자생(自生)하는 목본식물(木本植物)의 외생균근(外生菌根)과 내생균근(內生菌根)의 분포(分布)를 조사(調査)하고 그 결과(結果)를 외국(外國)의 문헌(文獻)과 비교(比較)하였다. 경기도(京畿道) 광릉(光陵) 임업시험장(林業試驗場)에서 대부분의 뿌리 표본(表本)을 채취(採取)하였으며, 모두 32과(科), 63속(屬), 102종(種)을 관찰(觀察)하였다. 외생균근(外生菌根)은 소나무과(科)(Pinus, Larix, Picea, Abies), 버드나무과(科)(Populus, Salix), 자작나무과(科)(Alnus, Betula, Carpinus, Corylus), 참나무과(科)(Quercus, Castanea), 피나무과(科)(Tilia)의 13속(屬)에서 관찰(觀察)되었으며, 내생균근(內生菌根)은 위의 13속중(屬中) Populus와 나머지 49속(屬)에서 관찰(觀察)되었다. 외생(外生)이나 내생균근(內生菌根)을 전혀 가지지 않은 속(屬)은 Rhus뿐이었으나, 이 속(屬)은 좀더 자제한 관찰(觀察)을 요(要)한다. 외생(外生)과 내생(內生)을 함께 가지고 있는 속(屬)은 Populus 뿐이었으나, 외국문헌(外國文獻)에는 그밖에도 Juniperus, Cupressus, Populus, Salix, Juglans, Alnus, Ulmus, Malus, Pyrus, Tilia 등이 수록(收錄)되어 있다. 우발적(偶發的)으로 외생균근(外生菌根)을 형성(形成)한다고 하는 Juniperus, Ulmus, Pyrus, Acer 등에서는 외생균근(外生菌根)을 관찰(觀察)할 수 없었다. 몇 수종(樹種)의 내생균근(內生菌根)의 형태학적(形態學的) 특성(特性)을 현미경(顯微鏡) 사진(寫眞)과 함께 설명(說明)하였다.

  • PDF

페레니얼 라이그라스에서 Mycorrhiza 접종이 탄수화물대사와 가뭄스트레스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Mycorrhizal colonization effects on C metabolism in relation to drought-tolerance of perennial ryegrass)

  • 이복례;정우진;김대현;김길용;손보균;김태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32-242
    • /
    • 2002
  • Mycorrhiza 접종이 페레니얼 라이그라스가 가뭄 스트레스 저항성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mycorrhiza 접종구(AM)와 mycorrhiza를 접종하지 않은 비접종구 (non-AM)를 정상적 토양 수분 (-0.04Mpa) 및 가뭄 스트레스 (-0.12MPa)를 각각 처리한 후 0.14 및 28일에 잎의 수분포텐셜, 인의 함량, 작물의 성장 및 탄수화물 농도를 분석하였다. 가뭄 스트레스구에서 잎의 수분포텐셜, 클로로필, 인의 함량 및 잎의 성장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가뭄에 의한 이러한 생리적 장해요인들은 mycorrhiza 접종에 의해 완화되었다. 가뭄 스트레스하에서 잎의 soluble sugar 농도는 감소 되었으며, AM 처리구는 non-AM 처리구보다 soluble sugar 농도는 높게 나타났다. 가뭄 스트레스하에서 지상부의 starch와 fructan의 축적은 가뭄 스트레스 하에서 감소되는 반면 뿌리에서는 증가하였다. 가뭄 스트레스 하에서 뿌리에서 starch의 농도는 non-AM 처리구에서 AM처리구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가뭄 스트레스 하에서 잎의 fructan 농도는 약간 감소하였으나 뿌리에서는 현저히 증가하였다. 가뭄 스트레스 하에서 처리 후 28일째 fructan의 농도는 정상적 수분공급구와 비교해 볼 때 non-AM과 AM 잎에서 각각 18.7% 와 13.3% 낮았다. 뿌리에서 가뭄스트레스에 의한 fructan의 축적은 mycorrhiza 접종에 의해 약 14%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mycorrhiza 접종은 잎의 수분 포텐셜과 인의 함량을 더 높게 유지하게 하고, soluble sugar의 함량을 더 많이 보유하게 함으로써 작물의 가뭄에 대한 내성을 증가 시킴을 잘 보여 주었다.

VA 내생균근균, Glomus mosseae,가 뽕나무의 생장과 영양에 미치는 영향 (Responses of VA mycorrhizal Fungus, Glomus mosseae, on the Growth and Nutrition of Mulberry tree)

  • 김중채;문재곡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4
    • /
    • 1986
  • VA 내생균근이 뽕나무의 생장과 뽕잎증의 양육물질, 효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뽕나무에 알맞는 균근을 선발하기 위하여 전국 6개 잠업주산지 뽕밭과 2개소의 산뽕나무 자생지에서 VA 내생균근을 모집, Bio-assay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VA 내생균근을 접종한 뽕나무는 접종하지 않은 뽕나무에 비하여 황토에서는 97%의 생장촉진 효과가 있었고 Vermiculite에서는 35%의 생장억제가 있었다. 2. VA 내생균근의 형성은 인산 60ppm 수준에서 가장 왕성하고 30ppm과 480ppm에서는 억제 됐으며 Vesicle은 인산 240ppm 이상 수준에서만 형성되었다. 3. VA 내생균근에 접종된 뽕나무는 인산 60ppm 수준 이상에서 생장이 가장 왕성하였으며 균근의 형성도 가장 왕성하였으므로 가장 알맞는 인산수준은 60ppm으로 생각된다. 4. VA 내생균근은 토양 중의 Fe-bound phosphate를 가장 잘 흡수하고 Ca-ound phosphate도 일부 흡수하였으나 Al-bound phosphate와 Al-Fe occuded phosphate는 흡수하지 못하였다. 5. VA 내생균근은 뽕잎의 인산은 약 10%, 실소는 15% 증가시켰으며 탄수화물은 22%, 단백질은 15% 증가시켰다. 6. 단백질의 전기영동상은 접종하지 않은 것은 16개의 band가 나타났으나 접종한 것은 19개의 band가 나타났다. 7. VA 내생균근은 뽕잎의 Peroxidase와 Anylase zymogram pattern을 변화시켰으며 특히 Amylase zymogram은 균근을 처리하지 않은 것과 큰 차이가 있었다. peroxidase zymogram은 균근을 접종한 것은 접종하지 않은 것에 비하여 주요 band가 한 개 더 적었고 amylase zymogram은 균근을 접종하지 않은 것은 band가 한 개이고 (-)극에 가까운 곳에 나타났으며 접종한 것은 band가 2개이었으며 (+)에 가까운 곳에 나타났다. 8. 우리나라 잠업 주산단지와 산뽕나무 Gigaspora속 3종과 Glomus속 1종을 선발하였으며 Bioassary를 한 결과 Gigaspora tricalipta와 Gigaspora Calospora가 뽕나무 생육에 가장 큰 생장촉진효과가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