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rboretum

Search Result 1,131,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The Vascular Plants of Bigeumdo and Dochodo Island (비금·도초도의 식물상)

  • Jang, Young-Jong;Jung, Su Young;Kang, Eun Su;Lee, Kang-Hyup;Lee, Jung Sim;Son, Dong Chan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35 no.5
    • /
    • pp.614-640
    • /
    • 2022
  • We investigated vascular plants of Bigeumdo and Dochodo Island in Shinan-gun, Jeollanam-do, Korea. By referring to 4 field surveys between June and September in 2021, a total of 490 taxa were identified and grouped into 113 families, 332 genera, 452 species, 6 subspecies, 27 varieties, and 3 forms. Among those observed, 232 taxa comprising 84 families, 189 genera, 220 species, 4 subspecies, 8 varieties, 4 forms were observed in Bigeumdo, 428 taxa comprising 107 families, 305 genera, 397 species, 5 subspecies, 23 varieties and 3 forms were observed in Dochodo. Among them, 7 taxa were Korean endemic plants. Protected specie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2 taxa of level II. In terms of threated plants according to the IUCN Red List Categoty, there were 5 taxa, consisting of 1 endangered species (EN), 3 vulnerable species (VU), 1 Near Threatened (NT). In total, there are 36 taxa of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including 1 level V taxa, 5 level IV taxa, 28 level III taxa. In Korea, 3 taxa were the northern distributional limit to Bigeumdo and Dochodo. Alien plants were 58 taxa.

The Vascular Plants of Forested Wetland in Daegu-Gyeongbuk, Korea - Focused on Daegu, Cheongdo, Gyeongju and Pohang - (대구, 경북지역 산림습원 일대의 관속식물상 - 대구, 청도, 경주, 포항을 중심으로 -)

  • Myung Hoon Yi;Sung Tae Yoo;Byung Do Kim;Jung Won Yoon;Jong Bin An;Hye Yeon Kwon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36 no.1
    • /
    • pp.32-61
    • /
    • 2023
  •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growing at Wetland in Daegu·Gyeongbook, we surveyed from June 2020 to October in 2021. The flora of wetland was classified as a total of 459 taxa comprising of 104 families, 286 genus, 406 species, 12 subspecies, 34 varieties, 6 forma, 1 hybrid. Among them, the rare plants species 5 taxa, endemic plants 11 taxa,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57 taxa, naturalized plants 27 taxa and wetland plants 74 taxa were recorded. The percentage of urbanization index was 8.44%, the naturalized ratio was 5.88%, respectively.

Characteristics of Seedling Quality of Rhus javanica L. 1-year-old Container Seedling by Fertilization Level (붉나무 1년생 용기묘의 시비수준별 묘목품질 특성)

  • Yang Soo Kim;Sang Geun Kim;Jung Suk Um;Geun Sik Kim;Ki Seon Song;Jae Sun Yi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74-74
    • /
    • 2022
  • 본 연구는 붉나무의 기능성 성분의 산업화 활용을 위한 고품질의 붉나무 1년생 용기묘 대량생산을 위해 실시되었다. 붉나무 1년생 용기묘의 묘목품질의 향상을 위해 다양한 농도의 시비처리하여 우량묘 생산에 적합한 시비수준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시비실험은 무시비구 포함하여 수용성 복합비료 (N:P:K=20:20:20, v/v)를 1,000mg·L-1, 2,000mg·L-1, 3,000mg·L-1 수준으로 실시하였다. 시비처리는 붉나무 용기묘의 간장과 근원경 생장은 1,000mg·L-1 시비처리구에서 생장이 가장 좋게 나타났으며 시비수준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뿌리형태 특성분석에서도 전체뿌리길이, 투영단면적, 표면적 및 뿌리부피가 간장과 근원경 생장과 동일한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건물 생산량은 부위별 잎, 줄기, 뿌리 및 전체가 모두 1,000mg·L-1 시비처리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그 이상의 시비수준에서는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H/D(Hight/Root collar diameter)율은 전체가 3.82(무시비구) ~ 4.90, T/R(Top/Root)율은 전체가 0.56(1,000mg·L-1 시비처리구) ~ 0.82로 조사되었다. 시비처리 에 의한 붉나무의 LWR(Leaf dry weight ratio)은 무시비구, SWR(Shoot dry weight ratio)은 3,000mg·L-1 시비처리구, 그리고 RWR(Root dry weight ratio)은 1,000mg·L-1 시비처리구에서 유의적 차이를 보이며 높게 나타났다. 묘목품질지수(QI)의 경우 1,000mg·L-1 시비처리구에서 12.13으로 다른 시비수준들보다 월등히 높았다. 본 실험의 결과를 종합하면, 뿌리발달이 좋은 우량한 붉나무 생산에 적절한 시비수준은 1,000mg·L-1 정도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rediction Model for Flowering date of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using a Plant Phenology Model (생물계절모형을 이용한 진달래 개화 예상시기 모형 연구)

  • Sung-Tae Yu;Byung-Do Kim;Hyeon-Ho Park;Jin-Yeong Baek;Hye-Yeon Kwon;Myung-Hoon Yi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31-31
    • /
    • 2020
  • 본 연구는 대표적인 봄 꽃 식물인 진달래(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의 개화시기를 예측하기 위해 지난 9년간(2011년-2019년) 주왕산 지역에 생육하는 진달래의 식물계절자료(파열·개화·개엽·만개·낙엽)와 기상자료(일평균기온·일최고기온·일최저기온)를 토대로 이탈리아 생물기상연구소(IBMET)의 Chill Day 개화 예측모형인 생물계절모형을 실시하였다. 생물계절모형에 의한 예상 발아일간 편차의 제곱을 최소로 하는 조합은 기준온도 5℃, 저온요구량과 가온요구량은 97.94로 나타났다. 즉, 휴면해제일로부터 기준온도 5℃로 Chill Day를 누적시켜 97.94에 도달하는 날짜가 낙엽~내생휴면해제일이자 내생휴면해제일~발아기간까지의 값이며, 내생휴면해제일을 기점으로 개화일까지 102.93이 개화에 필요한 가온량으로 나타났다. 2011년부터 2019년까지 개화예상일을 기상청 회귀모형을 실관측기온에 적용한 결과 오차는 MAE=1.44이며, 생물계절모형을 적용할 경우 오차는 MAE=1.39, 기준온도 5℃일 경우 MAE=4.23, 기준온도 6℃일 경우 MAE=5.47, 기준온도 7℃일 경우 MAE=5.05로 나타나 생물계절에 의한 관측과 기상청의 회귀모형이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최근인 2018년과 2019년의 기상청 회귀모형와 생물계절모형의 개화 예측일을 비교한 결과, 2018년의 경우 청송지역의 진달래는 기상청 회귀모형에서 3월 30일 전후로 개화를 예상하였고 생물계절모형은 기준온도 5℃에 적용할 경우 내생휴면일에 가장 근접한 날은 3월 26일이였으며 이를 기준으로 가온량의 합이 102.93에 가깝게 되는 날인 4월 2일을 전후로 개화를 예측하였다. 실제 청송 주왕산의 진달래는 4월 3일에 개화를 시작하여 생물계절모형과 매우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2019년의 경우 청송지역의 진달래는 기상청 회귀모형에서 3월 25일 전후로 개화를 예상하였고 생물계절모형은 기준온도 5℃에 적용할 경우 내생휴면일에 가장 근접한 날은 3월 8일이였으며 이를 기준으로 가온량의 합이 102.93에 가깝게 되는 날인 3월 29일을 전후로 개화를 예측하였다. 실제 청송 주왕산의 진달래는 4월 5일에 개화를 시작하여 오히려 생물계절모형과 더욱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 PDF

The Flora of Mt. Toemo·Hyeolgu (Incheon Metropolitan City) in Western DMZ Area (서부 DMZ 일원 퇴모·혈구산(인천광역시) 일대의 관속식물상)

  • Jong-Won Lee;Jin-Heon Song;Young Min Choi;Jae Sang Jeong;Kyong Youl Byun;Hee Young Gil;Shin-Ho Ka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1.04a
    • /
    • pp.31-31
    • /
    • 2021
  • 본 연구는 서부 DMZ 및 접경지역에 속하고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에 위치한 퇴모·혈구산(466m) 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강화군은 우리나라에서 4번째로 넓은 면적의 섬으로 알려져있고, 인천광역시 서북부 경기만의 한강 하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쪽으로는 석모도 등 부속섬과 서해안, 북쪽으로는 북 한의 황해도 연백시, 동쪽으로는 김포시와 강화대교와 강화초지대교가 육지로 연결되어 있다. 2019년 4 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7회에 걸쳐 계절별로 식물상 조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해명산 일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의 현황은 92과 257속 353속 4아종 41변종 4품종 총 402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양치식물은 6과 9속 10종 2변종 12분류군, 나자식물은 3과 4속 8종 총 8분류군, 쌍자엽식물은 74과 198속 268종 4아종 30변종 3품종 등 305분류군, 단자엽식물은 9과 46속 67종 9변종 1품종 등 77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IV급은 등 1분류군, III급은 물박달나무, 병아리꽃나무 등 6분 류군, II급은 갯장구채, 꼬리조팝나무 등 8분류군, I급은 야산고비, 일엽초 등 20분류군으로 파악되었 다. 희귀식물은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취약종(VU)에 속하는 산들깨와 약관심종(LC)에 속하는 쥐방울덩굴 등 총 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특산식물은 백운산원추리 및 병꽃나무 등 4분류이 파악되었다. 침입외래식물은 애기수영 및 유럽점나무도물 등 39분류군으로 확인되었고, 생태계교란식은 가시박 등 4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주변의 신산저수지 및 고비고개에 큰 공사가 진행되고있어 침입외래식물의 개체수는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었다. 따라서 장기적인 생태계 보전대책 수립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A New Species of Epitetracnemus(Hymenoptera, Encyrtidae) from Korea (무늬날개깡충좀벌속 (벌목, 깡충좀벌과)의 1신종)

  • Li, Cheng-De;Byun, Bong-Kyu;Park, Young-Cheol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v.18 no.1
    • /
    • pp.85-89
    • /
    • 2002
  • The genus Epitetracnemus Girault, 1915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A new species, E. kosef Li et Byun sp. norm. is described. The species is internal parasitoid wasp on Pseudaulacaspis cockerelli(Cooley) which infests on Taxus cuspidata S. et Z.

Six Species of the Family Noctuidae (Lepidoptera) New to China

  • Han, Hui-Lin;Kononenko, V.;Byun, Bong-Kyu;Park, Kyu-Tek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v.22 no.2
    • /
    • pp.139-143
    • /
    • 2006
  •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for the materials collected in Mt. Changbai-shan, six species of the family Noctuidae, Pangrapta marmorata Staudinger, P. griseola Staudinger, Ctenostola sparganoides (Bang-Haas), Cucullia amota Alpheraky, Xestia albonigra (Kononenko), and X. speciosa $(H\ddot{u}bner)$,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China.

Vegetation Structure of Pedicularis ishidoyana Koidz. & Ohwi in South Korea Natural Habitats (한국 내 애기송이풀 자생지역의 식생구조)

  • Byun, Jun Gi;Cheon, Kwang Il;Oh, Seung Hwan;Lee, You Mi;Jang, Jeong Won;Joo, Sung Hyun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26 no.2
    • /
    • pp.214-226
    • /
    • 2013
  • The habitats characteristics of Pedicularis ishidoyana were investiga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The altitude ranged from 107m to 494m, with inclinations of $5{\sim}20^{\circ}$. As a result of vegetation survey within natural populations, a total of 243 taxa were identified 18 quadrates in 6 natural habitats. The importance value of Pedicularis ishidoyana is 13.2% based on the coverage and frequency of the herb layer with in the populations. NMS analysis, environmental impact of Pedicularis ishidoyana a decisive impact on the habitat factors, the species composition of the woody layer, rather than the species composition of the herb layer can say is more dominant. Preservation of habitat conditions is important for stable maintenance the flora, and the surrounding area including habitats has to be desegnated a protection area for habitats preservation.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Korean Folk Plants (민속식물의 항균활성 및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 효과)

  • Choi, Jung Ran;Lee, Dong Gu;Ku, Jajung;Lee, Sang Yong;Kim, Hyun Ji;Park, Kwang-Woo;Cho, Eun Ju;Lee, Sanghyun
    •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 /
    • v.44 no.2
    • /
    • pp.193-199
    • /
    • 2013
  •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methanol extracts from Korean folk plants (MKs) in Chungcheong Province. Among 30 MKs, 16 plants at $100{\mu}g/ml$ showed over 90% scavenging activity of 1,1-diphenyl-2-picrylhydrazy (DPPH) and 30 plants exerted the hydroxyl radical scavenging effect over 55%. Fourteen plants at the concentration $50{\mu}g/30{\mu}l$ showed strong microbial inhibition activity against Escherichia coli and Staphylococcus aureus, with clear zone greater than 11 mm in disc assays. Furthermore, the protective effect against anti-inflammatory system using RAW 264.7 macrophage cell was also studied. The treatment of LPS & INF-${\gamma}$ to RAW 264.7 cell induced nitric oxide (NO), however inhibit the formation of NO less than 50% of 5 plants. The present result indicates that the 30 species of MKs exerts protective effect of oxidative stress,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anti-inflammatory. In particular, Rhus javanica and Cornus controversa showed stronger effect on not only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inhibits growth of S. aureus but also highest protective effects from inflammation.

A new record for Korean flora: Drosera spathulata Labill. (Droseraceae) (한국 미기록 식물: 좀끈끈이주걱(끈끈이귀개과))

  • Son, Sung-Won;Lee, Byung-Chun;Chung, Jae-Min;Yang, Hyung-Ho;Lee, Seong-Won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2 no.1
    • /
    • pp.64-67
    • /
    • 2012
  • Drosera spathulata Labill., belonging to the family Droseraceae, was recently recorded for the first time in a forest wetland in Busan-si, Gijang-gun, Cheolma-myeon. This plant is distributed from eastern Australia throughout South East Asian, Japan, China, Taiwan, and now, Korea. This species, related by taxa to D. rotundifolia, is distinguished by possessing a smaller leaf size (10-20 mm long, 2.5-4.5 mm wide), racemes that are glandular-hairy, and pinkish petals. The newly given Korean name, 'Jom-kkeun-kkeun-yi-ju-geok' reflects the small size as compared to related taxa. A description of the key characteristics, an illustration, and photographs of the habitats of this plant are provided in this re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