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is mellifera (A. mellifera)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3초

꿀벌(Apis mellifera)의 장내 세균인 Bacillus sp. HY-20이 분비하는 Xylanase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an Extracellular Xylanase from Bacillus sp. HY-20, a Bacterium in the Gut of Apis mellifera)

  • 이란희;김도영;한미경;오현우;함수진;박두상;배경숙;석대은;신동하;손광희;박호용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32-338
    • /
    • 2009
  • 꿀벌(Apis mellifera)의 장으로부터 xylan분해능이 우수한 세균 HY-20을 분리하였고, Bacillus 속으로 동정하였다. 분리균주 HY-20의 세포 외 GH11 xylanase (XylP) 유전자 (687-bp)는 25,522 Da의 분자량과 9.33의 pI 값을 갖는 228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단백질을 인코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지금까지 특성규명이 이루어지지 않은 B. pumilus xylanase (GenBank accession no.: AY526092)의 아미노산 서열과 97%의 상동성을 보였다. pET-28a(+)/xylP를 포함하고 있는 Escherichia coli BL21 균주에서 과발현 된 His-tagged XylP (rXylP)는 cation exchange 및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를 통해 순수하게 분리 정제 되었으며, $50^{\circ}C$의 온도와 pH 6.5 조건에서 반응할 때 birchwood xylan에 대해 가장 높은 가수분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rXylP는 15분간 $55^{\circ}C$에 노출될 때 본래 활성의 약 50%를 잃어버리는 전형적인 중온성 효소의 특성을 보였으며, $Hg^{2+}$ (1mM)와 N-bromosuccinimide (5mM)에 노출될 때 완전히 불활성화 되었고, $Mn^{2+}$ (1 mM), $Fe^{2+}$ (1mM) 및 sodium azide (5 mM)에 의해서는 활성이 약 10% 증가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rXylP는 xylose유래 다당류는 효율적으로 분해하였지만 PNP-sugar 유도체 및 glucose 유래 다당류는 분해하지 못하였다.

Comparative Transcriptome Analysis of Queen, Worker, and Larva of Asian Honeybee, Apis cerana

  • Kim, Woo Jin;Lee, Seok Hee;An, Saes Byeol;Kim, Song Eun;Liu, Qin;Choi, Jae Young;Je, Yeon H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27권2호
    • /
    • pp.271-276
    • /
    • 2013
  • The Asian honeybee, Apis cerana, is a native honeybee species in Korea which is important in agriculture for pollination and honey production.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hysiology of A. cerana, high-throughput Illumina transcriptome sequencing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gene expression profiles of queen, worker, and larva. A total of 219,799,682 clean reads corresponding to 22.2 Gb of nucleotide sequences was obtained from the whole body total RNA samples. The Apis mellifera reference mRNA sequence database was used to measure the gene expression level with Bowtie2 and eXpress software, and the Illumina short reads were then mapped to 11,459 out of 11,736 A. mellifera reference genes. Total of 9,221 genes with FPKM value greater than 5 of each sample group were subjected to eggNOG with BLASTX for gene ontology analysis. The differential gene expression between queen and worker, and worker and larva were analyzed to screen the overexpressed genes in each sample group. In the queen and worker sample group, total of 1,766 genes were differentially expressed with 887 and 879 genes overexpressed over two folds in queen and worker, respectively. In the worker and larva sample group, total of 1,410 genes were differentially expressed with 1,009 and 401 genes overexpressed over two folds in worker and larva, respectively.

Fipronil의 꿀벌 (Apis mellifera)에 대한 위해성 평가 (Risk Assessment of Fipronil on Honeybee (Apis mellifera))

  • 김병석;양유정;박연기;정미혜;유아선;박경훈;안용준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9-44
    • /
    • 2009
  • 벼농사용 살충제인 fipronil의 비의도적 노출에 의한 꿀벌(Apis mellifera L.)의 피해를 확인하기 위해 급성독성시험, 엽상잔류독성시험, cage를 이용한 소규모야외시험을 실시하였다. 급성접촉독성시험에서 24시간과 48시간의 $LD_{50}$은 각각 0.008, $0.005{\mu}g$ a.i./bee 로 꿀벌에 매우 강한 급성독성을 보였으며 급성위해지수(QHc)는 12,500으로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엽상잔류독성시험에서는 피프로닐 액상수화제 살포 후 28일까지 90%이상 치사율을 보여 장기간 꿀벌에 독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때 fipronil의 표면부착잔류량(dislodgeable foliar residue)을 분석한 결과 $DT_{50}$은 9일, $DT_{90}$은 31일이었다. 야외시험의 결과에서도 28일의 치사율이 40%로 조사되어 실내 엽상잔류독성시험과 유사한 잔류독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fipronil은 꿀벌에 대한 급성독성이 매우 강하면서 장기간의 잔류독성이 있어 잎 표면의 매우 낮은 잔류량으로 꿀벌에 피해를 줄 가능성이 매우 높은 살충제이다. 따라서 재배작물뿐만 아니라 살포지역 인근의 밀원식물에 약제살포시 바람에 날려 오염될 경우 화분매개용 꿀벌과 자연생태계 유용곤충에 위해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꿀벌이 왕성한 활동을 하는 시기에는 야외살포를 금지하여야 하며, 궁극적으로 야외생태계 유용곤충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실내사용 목적으로만 사용되도록 제한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여왕봉(女王蜂)의 능력검정(能力檢定)에 관(關)한 연구(硏究) (Performance-tests of honeybee queens(Apis mellifera) in Korea)

  • 최광수;박항균;송우준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7권
    • /
    • pp.99-107
    • /
    • 1989
  • 본 연구는 여왕봉의 능력을 검정하여 우량여왕봉을 선발하고 또한 금후 우리나라의 여왕봉 능력검정체계 확립에 필요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1988년 9월부터 1989년 8월까지 1년간에 걸쳐 대구 근교 양봉장에서 사양관리중인 서양종 봉군(Apis millifera) 30군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각종 능력에 대한 검정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월동전 소상의 평균 무게는 $23.6{\pm}1.90kg$이었고 월동기간 중 봉군당 평균 $2.9{\pm}0.82kg$의 중량이 감소되었다. 봉군증식에 의한 계상설치는 4월 17일부터 5월 5일까지 행하여 졌으며 30군의 단상 봉군 가운데서 13군만이 계상이 설치되어 계상이용성이 낮았다. 화분수집 능력을 나타내는 24시간 동안의 화분수집량은 군당 평균 $14.8{\pm}2.15gr$이었으며, 분봉성의 강약을 나타내는 왕대형성수는 군당 평균이 $12.5{\pm}3.43$개이었다. 봉교생산성은 보통이었고, 외역 활동후 소상으로 돌아오는 외역봉 수는 1분간 군당 $108.7{\pm}18.31$마리이었다. 산란능력을 나타내는 봉개소비면적은 군당 평균이 $2,464{\pm}628.67cm^2$이었고 석고병 감염율은 30.8%이었다. 아카시아 유밀기에 있어서 2차에 걸친 총 채밀량은 군당 평균이 $14.5{\pm}8.49kg$이었다.

  • PDF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ajor Royal Jelly cDNAs and Proteins of the Honey Bee (Apis cerana)

  • Srisuparbh, Duangporn;Klinbunga, Sirawut;Wongsiri, Siriwat;Sittipraneed, Siriporn
    • BMB Reports
    • /
    • 제36권6호
    • /
    • pp.572-579
    • /
    • 2003
  • An expressed sequence tag (EST) library was established from the hypopharyngeal glands of Apis cerana. Sixty-six recombinant clones, possessing inserts >500 bp, were randomly selected and unidirectional sequenced. Forty-two of these (63.6%) were identified as homologues of Major Royal Jelly Proteins families 1, 2, 3, and 4 of A. mellifera (AmMRJP) for which MRJP1 was the most abundant family. The open-reading frame of the MRJP1 homologue (AcMRJP1) was 1299 nucleotides that encoded 433 deduced amino acids with three predicted N-linked glycosylation sites. The AcMRJP1 sequence showed 93% and 90% homologies with nucleotide and deduced amino acid sequences of AmMRJP1, respectively. Two complete transcripts of apisimin, and one and two partial transcripts of $\alpha$-glucosidase and glucose oxidase, were also isolated. In addition, the royal jelly proteins of A. cerana were purified and characterized using Q-Sepharose and Sephadex G-200 column chromatography. The native forms of protein peaks A1, A2, B1, and C1 were 115, 55, 50, and 300 kDa, respectively. SDS-PAGE analysis indicated that A1 and C1 were dimeric and oligomeric forms of the 80 kDa and 50 kDa subunits, respectively. The ratio of the total protein quantities of A1 : A2 : B1 : C1 were 2.52 : 4.72 : 1 : 12.21. Further characterization of each protein, using N-terminal and internal peptide sequencing, revealed that the respective proteins were homologues of MRJP3, MRJP2, MRJP1, and MRJP1 of A. mellifera.

서양종꿀벌(Apis mellifera L.) 소비매수별 시설딸기(설향) 화분매개활동 비교 (Comparison of the pollinating activities according to number of combs per honeybee (Apis mellifera) hive released in the strawberry (Seolhyang var.) vinyl-houses)

  • 이상범;윤형주;강석우;권재석;박기관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34-141
    • /
    • 2014
  • 시설딸기(설향, $825m^2$, 8,400주, 9. 10정식)에서 서양종 꿀벌 소비매수별 화분매개활동과 경제적 효과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설향' 딸기에 방사된 꿀벌 소비매수별 출봉수는 오전 11경에 가장 활발하였으며, 입봉수는 오전 11시부터 오후 1시 사이에 활발한 경향을 보였다. 입봉수 중화분단자 부착봉이 오후 1시와 3시 사이에 가장 많아서 화분매개활동은 오전 11시와 오후 3시 사이에 가장 활발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꿀벌 소비매수별 일주활동은 오전 11시경에 활동 정점에 도달하였으며, 소비매수별로 화분 매개활동수 차이를 볼 수 있었다. 꿀벌 소비매수별 방화 시간은 공히 약 6 ~ 7초 정도 머물렀으며, 꽃간 이동시간은 약 4 ~ 5초 정도 소요되었다. '설향' 딸기 포장에 방사하여 3개월 경과 후 꿀벌 소비매수별 봉군손실률은 4매봉과 5매봉이 3매봉보다 낮았다. 꿀벌 소비매수별 착과율은 공히 98% 이상으로 차이가 없었다. 소비매수별로 화분매개활동에 의한 품질조사에서 과중은 5매봉이 37.2 g으로 무거운 편이었고, 4매봉과 3매봉 순이었다. 종자수와 당도는 소비매수별로 차이가 없었다. 1회 수확을 기준으로 10a 당 생산물의 경제성을 조사하여 본 결과, 4매봉과 5매봉의 조수입이 3매봉의 조수입에 비하여 각각 9%와 13%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825m^2$의 면적의 시설딸기(설향)에서는 소비매수가 4매(8,800마리) 이상을 방사하였을 때 화분매개활동과 생산물 경제성에서 좋은 결과를 보였다.

꿀벌 계통별 로얄제리 생산성 평가 및 특성 분석 (Evaluation of Royal Jelly Productivity and Characteristics in Apis mellifera Inbred Lines)

  • 김혜경;이명렬;이만영;최용수;한상미;강아랑;이경용
    • 한국양봉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55-162
    • /
    • 2017
  • 로얄제리 생산성 우수계통 선발을 위해 국내 육성서양종꿀벌 원종 계통인 A와 C에 대한 로얄제리 생산성 및 접수율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꿀벌 계통C의 로얄제리 생산량은 $33.7{\pm}7.41g$로A 계통에 비해 높은 것으로 드러났으며, 접수율 또한 $87.8{\pm}7.5%$로 A 계통에 비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계통으로부터 생산된 로얄제리 trans-10-hydroxy-2-decenoic acid (10-HDA) 함량을 분석한 결과 꿀벌 계통 C는 4.28%(${\pm}0.3$)으로, A 계통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령에 따른 major royal jelly proteins(MRJPs) 전사체 발현량을 비교한 결과 10일령의 일벌의 경우 C 계통이 A 계통에 비해 MRJP 발현량이 큰 폭으로 증가했음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15일령의 일벌의 MRJP 발현량 또한 C계통이 A 계통에 비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육성 서양종꿀벌 기본종 계통 중 로얄제리 생산성이 가장 우수한 계통은 C 계통인 것으로 평가 되었으며, 향후 로얄제리 생산성 우수 계통 선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꿀벌과 서양뒤영벌에 대한 농약의 독성평가 (Evaluation of Toxicity of Pesticides against Honeybee (Apis mellitera) and Bumblebee (Bombus terrestris))

  • 안기수;오만균;안희근;윤창만;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82-390
    • /
    • 2008
  • 본 연구는 69종의 농약(살충제 41종, 살균제 18종, 살비제 10종)에 대한 꿀벌(A. mellifera)과 서양뒤영벌(B. terrestris)에 급성독성과 잔류독성을 평가하였으며, 국제 생물적 방제기구(IOBC)의 기준에 따라 30% 이하를 독성이 없음으로 분류하였다. 급성독성실험에서 41종의 살충제 중에 acetamiprid, chlorfenapyr, thiacloprid, milbemectin, buprofezin+amitraz 5종이 꿀벌에, methomyl, thiodicarb, acetamiprid, chlorfenapyr, thiacloprid, abamectin, spinosad, buprofezin+amitraz 8종은 서양뒤영벌에 대해서 독성이 낮아 안전하였다. 그리고 살균제 18종과 살비제 10종은 꿀벌과 서양뒤영벌에 대해 모두 안전하였다. 잔류독성실험에서 41종의 살충제 중 꿀벌에 대해서 약제처리 3일 이후부터 안전한 약제는 8종 (dichlorvos, methomyl, imidachlorprid, emamectin benzoate, spinosad, cartap hydrochloride, chlorfenapyr, endosulfan) 이고, 11일차까지도 독성이 높은 약제는 16종(dimethoate, fenitrothion, fenthion, methidathion, phenthoate, pyraclofos, fenpropathrin, clothiamdin, dinotefuran, thiamethoxam, abamectin, acetamiprid+ethofenprox, acetamiprid+indoxacarb, bifenthrin+midacloprid, ethofenprox+phenthoate, imidacloprid+methiocarb)이었다. 서양뒤영벌에 대해서는 약제처리 3일 이 후부터 안전한 약제는 8종(dimethoate, methidation, a-cypermethion, ethofenprox, indoxcarb, chlorpyrifos+a-cypennethrin, esfenvalerate+ fenitrochion)이고, 7일차까지도 높은 독성을 나타낸 약제는 8종(pyraclofos, clothianidin, thiamethoxam, fipronil, acetamiprid+ethofenprox, chlorpyrifos+bifenthrin, ethofenprox+phenthoate, imidacloprid+methiocarb)이었다.

세균을 이용한 정제봉독의 복귀돌연변이시험 (Mutagenicity Study of Purified Bee Venom (Apis mellifera L.) by the Bacterial Reverse Mutation Assay)

  • 한상미;홍인표;우순옥;김세건;장혜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28-233
    • /
    • 2017
  • 서양종 꿀벌의 일벌의 독을 채취하여 정제한 정제봉독에 대한 세균에서의 돌연변이 유발성 검색을 위하여 S. typhimurium의 히스티딘 요구성 균주 TA100, TA1535, TA98, 그리고 TA1537의 균주와 대장균 E. coli의 트립토판 요구성 균주인 WP2 uvrA를 이용해 복귀돌연변이시험을 실시하였다. 정제봉독은 부형제로 사용한 멸균생리식염수에 용해되었으며 모든 농도군의 조제물에서 침전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정제봉독 조제물을 top agar와 혼합할 때 모든 농도군에서 혼탁이나 침전이 관찰되지 않았다. 대사활성계 적용 TA100, TA1535, TA98 균주에 대해 0, 1.5, 5, 15, 50, 150 및 500 µg/plate의 범위를 설정하고 미 적용시엔 0, 0.15, 0.5, 1.5, 5, 15 및 $500{\mu}g/plate$의 범위로 설정하였다. TA1537과 WP2 uvrA균주에 대한 농도 범위은 대사활성계 적용시엔 0, 5, 15, 50, 150, 500 및 1,500를 미 적용시엔 0, 1.5, 5, 15, 50, 150 및 500 µg/plate 범위로 설정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모든 시험균주에서 대사활성계 적용 여부에 상관없이 정제봉독 처리군의 평균 집락 수는 증가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양성판정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였다. 따라서, 정제봉독은 본 시험조건 하에 사용한 시험 균주에 복귀돌연변이를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Foraging behavior and pollination efficiency of honey bees (Apis mellifera L.) and stingless bees (Tetragonula laeviceps species complex) on mango (Mangifera indica L., cv. Nam Dokmai) in Northern Thailand

  • Chuttong, Bajaree;Panyaraksa, Lakkhika;Tiyayon, Chantaluk;Kumpoun, Wilawan;Chantrasri, Parinya;Lertlakkanawat, Phurichaya;Jung, Chuleui;Burgett, Michael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6권3호
    • /
    • pp.154-160
    • /
    • 2022
  • Background: The mango is one of the essential fruit trees for the economy of Thailand. Mango pollination relies primarily on insects. Other external forces, such as wind, are less efficient since pollen is sticky and aggregating. There is only one report from Thailand on the use of bees as mango pollinators. The study of the behavior and pollination efficiency of honey bees (Apis mellifera) and stingless bees (Tetragonula laeviceps species complex) was conducted in Nam Dokmai mango plantings in Phrao and Mae Taeng districts, Chiang Mai province, between February and March 2019. Results: Our results reveal that the honey bees commenced foraging earlier than the stingless bee. The number of flowers visited within 1 minute by honey bees was higher than that visited by stingless bees. The average numbers of honey bees and stingless bees that flew out of the hive per minute from 7 a.m. and 6 p.m. in the Phrao district were 4.21 ± 1.62 and 9.88 ± 7.63 bees/min, respectively, i.e., higher than those observed in Mae Taeng, which were 3.46 ± 1.13 and 1.23 ± 1.20 bees/min, respectively. The numbers of fruits per tre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oney bee and stingless bee treatments (T1 and T2) than in the open pollination treatment (T3). The number of fruits between T1 and T2 treatments was not different. In the pollinator exclusion treatment (T4), no fruit was produced. Fruit size factor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1, T2, and T3 treatments. Conclusions: Our results showed that insect pollination is crucial for mango production, especially with the Nam Dokmai variety in Northern Thailand. As pollinator exclusion treatment showed no fruit set, and pollinator 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fruit sets compared to open access plots, a managed pollinator program would benefit the mango growers for better productivity. Both the honey bee and the stingless bee were shown to be effective as pollina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