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obesity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1초

난소절제 흰쥐에서 Estrogen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Estrogen on Ovariectomized Rat)

  • 정수연;유태무;양지선;류항묵
    • 약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11-116
    • /
    • 1999
  • Obesity is a chronic disease that is increasing in prevalence and that poses a serious risk for the hypertension, osteoporosis, heart disease, diabetes mellitus and certains forms of canc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of obesity animal model and to assess the pharmacological assay for the rats of 8 weeks or 4 days after ovariectomization treated with estradiol for 8 weeks on the body weight. fat weight and food intake. The body weight, fat weight and food intake increased in the ovriectomized rats. In the rat of 8 weeks after ovariectomization treated with estradiol (250 mg/100 g) 8 weeks, the body weight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In the rats of 4 days after ovariectomization treated with estradiol 8 weeks, the body weight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estrogen plays a role in regulation body weight response to food intake and fat weight.

  • PDF

수술 후 갑상선기능저하가 동반된 고도비만환자의 펜터민염산염/토피라메이트의 저용량 오프라벨 사용 (Low-Dose Off-Label Use of Phentermine/Topiramate in the Individual with Morbid Obesity and Postoperative Hypothyroidism)

  • 박정하
    • 비만대사연구학술지
    • /
    • 제1권1호
    • /
    • pp.43-45
    • /
    • 2022
  • Intensive lifestyle modifications and anti-obesity medications are essential for obesity treatment. Antiobesity medications should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patient's comorbidities, symptoms, and preferences. This case report describes the treatment of a morbidly obese patient with a history of depression, who complained of tingling and numbness after total thyroidectomy for papillary thyroid cancer. Very low-dose controlled-release phentermine/topiramate was prescribed and intensive lifestyle modifications were encouraged. As a result, the patient effectively lost weight and reached a near-normal weight without adverse drug effects. This implies that even an off-label anti-obesity medication low dose may be better for some patients, and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obesity treatment is patient-tailored treatment.

FDA 승인을 받은 체중 감량과 체중관리를 위한 의료기기 (FDA-Approved Medical Devices for Weight Loss and Management)

  • 서유리
    • 비만대사연구학술지
    • /
    • 제2권1호
    • /
    • pp.17-24
    • /
    • 2023
  • Obesity is a major public health problem worldwide, with several methods having been proposed as a means of weight loss. If diet, exercise, and medication are insufficient, a healthcare professional may suggest weight loss treatments, including bariatric surgery or medical devices. Antiobesity medical devices are an option for patients who do not want to undergo bariatric surgery. Compared with bariatric surgery, medical device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reversible and easier to operate.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regulates medical devices, including those used for weight loss and weight management. This article provides an overview of the FDA-regulated weight loss and weight management devices.

C57BL/6J Mice에서 스테비아(Stevia rebaudiana bertoni) 잎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Effect of Stevia rebaudiana Bertoni Leaf Extract on Antiobesity in C57BL/6J Mice)

  • 박정은;기희진;차연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86-592
    • /
    • 2010
  • 미국의 영양사협회(32)에서는 설탕에서 얻은 열량을 전체 섭취량의 10-15%까지로 유지할 것을 권장하고 있고, WHO(33)에서는 전체 섭취 열량의 10% 이하로 권장하고 있다. 서구사회에서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설탕 섭취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데, 성인 1인 1일 당류 공급량은 1962년 4.8 g에서 1987년 41.9 g, 2003년 57.4 g으로 나타났으며(34), 2007년 한국인의 1일 평균 설탕 섭취량은 100 g, 총 섭취량의 20%로 권장량의 두 배 이상으로 점차 증가되고 있다(35). 그러나 본 실험에서 사용된 스테비아의 당도는 설탕의 200배 이상이나 칼로리는 설탕의 90분의 1에 불과하여 설탕의 대체제로서 가능성이 충분할 것으로 보여진다. 이에 본 연구는 스테비아 잎 추출물 보강이 고지방식이로 비만이 유도된 C57BL/6J mice에서 항비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동물은 정상 대조군(NC), 고지방 대조군(HC), 고지방식이+스테비아 잎 추출물 투여군(HLSV, 1 mL/kg/day), 고지방식이+스테비오사이드 투여군(HSS, 1 mL/kg/day) 4군으로 나누어 사육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체중증가량은 스테비아 잎 추출물 투여군(HLSV)에서 고지방 대조군(HC)과 비교 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스테비오사이드 투여군(HSS)은 고지방 대조군(HC)비교 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부고환지방은 스테비아 잎 추출물 투여군(HLSV)과 스테비오사이드 투여군(HSS)에서 고지방 대조군(HC) 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등지방은 스테비아 잎 추출물 투여군(HLSV)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중 및 간중 중성지방은 스테비아 잎 추출물 투여군(HLSV)이 고지방 대조군(HC)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스테비오사이드 투여군(HSS)은 고지방 대조군(HC)에 비해 혈중 중성지방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중 카르니틴 중 NEC의 농도는 고지방 대조군(HC) 보다 스테비아 잎 추출물 투여군(HLSV)과 스테비오사이드 투여군(HSS)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혈중 ASAC와 간중 acyl/free carnitine은 고지방 대조군(HC)과 비교 시 스테비아 잎 추출물 투여군(HLSV)과 스테비오사이드 투여군(HSS)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지질대사와 관련한 체내 mRAN 발현정도를 측정한 결과 ACS mRNA 발현 수준은 고지방대조군(HC)과 비교 시 스테비아 추출물 투여군(HLSV)와 스테비오사이드 투여군(HSS)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스테비오사이드 투여군(HSS)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PPAR${\alpha}$ mRNA발현 수준은 고지방대조군(HC)과 비교 시 스테비아 추출물 투여군(HLSV)와 스테비오사이드 투여군(HSS)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CPT-I mRNA 발현 수준은 고지방대조군(HC)과 비교 시 스테비아 추출물 투여군(HLSV)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ACC mRNA 발현 수준은 정상대조군(NC)과 비교 시 고지방대조군(HC)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스테비아 추출물 투여군(HLSV)은 고지방 대조군(HC)과 비교 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스테비오사이드 투여군(HSS)은 차이가 없었다. 결과적으로 스테비아 잎 추출물은 스테비오사이드에 비하여 체내 지질대사개선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보였으며 이는 스테비아의 다양한 phytochemical에 의한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스테비아가 비만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Processed Panax ginseng, sun ginseng, inhibits the differentiation and proliferation of 3T3-L1 preadipocytes and fat accumulation in Caenorhabditis elegans

  • Lee, Hyejin;Kim, Jinhee;Park, Jun Yeon;Kang, Ki Sung;Park, Joeng Hill;Hwang, Gwi Seo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1권3호
    • /
    • pp.257-267
    • /
    • 2017
  • Background: Heat-processed ginseng, sun ginseng (SG), has been reported to have improved therapeutic properties compared with raw forms, such as increased antidiabetic, anti-inflammatory, and antihyperglycemic effec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besity effects of SG through the suppression of cell differentiation and proliferation of mouse 3T3-L1 preadipocyte cells and the lipid accumulation in Caenorhabditis elegans. Method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G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levels of stained intracellular lipid droplets were quantified by measuring the oil red O signal in the lipid extracts of cells on differentiation Day 7. To study the effect of SG on fat accumulation in C. elegans, L4 stage worms were cultured on an Escherichia coli OP50 diet supplemented with $10{\mu}g/mL$ of SG, followed by Nile red staining. To determine the effect of SG on gene expression of lipid and glucose metabolism-regulation molecules, messenger RNA (mRNA) levels of genes were analyzed by real-time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analysis. In addition, the phosphorylation of Akt was examined by Western blotting. Results: SG suppressed the differentiation of 3T3-L1 cells stimulated by a mixture of 3-isobutyl-1-methylxanthine, dexamethasone, and insulin (MDI), and inhibited the proliferation of adipocytes during differentiation. Treatment of C. elegans with SG showed reductions in lipid accumulation by Nile red staining, thus directly demonstrating an antiobesity effect for SG. Furthermore, SG treatment down-regulated mRNA and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subtype ${\gamma}$ ($PPAR{\gamma}$) and CCAAT/enhancer-binding protein-alpha ($C/EBP{\alpha}$) and decreased the mRNA level of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 1c in MDI-treated adipocytes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differentiated 3T3-L1 cells, mRNA expression levels of lipid metabolism-regulating factors, such as amplifying mouse fatty acid-binding protein 2, leptin, lipoprotein lipase, fatty acid transporter protein 1, fatty acid synthase, and 3-hydroxy-3-methylglutaryl coenzyme A reductase, were increased, whereas that of the lipolytic enzyme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1 was decreased. Our data demonstrate that SG inversely regulated the expression of these genes in differentiated adipocytes. SG induced increases in the mRNA expression of glycolytic enzymes such as glucokinase and pyruvate kinase, and a decrease in the mRNA level of the glycogenic enzyme phosphoenol pyruvate carboxylase. In addition, mRNA levels of the glucose transporters GLUT1, GLUT4, and insulin receptor substrate-1 were elevated by MDI stimulation, whereas SG dose-dependently inhibited the expression of these genes in differentiated adipocytes. SG also inhibited the phosphorylation of Akt (Ser473) at an early phase of MDI stimulation. Intracellular nitric oxide (NO) production and 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 mRNA levels were markedly decreased by MDI stimulation and recovered by SG treatment of adipocytes.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SG effectively inhibits adipocyt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through the downregulation of $PPAR{\gamma}$ and $C/EBP{\alpha}$, by suppressing Akt (Ser473) phosphorylation and enhancing NO production. These results provide strong evidence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SG for antiobesity treatment.

홍마늘 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 (Antioxidant and Antiobesity Activity of Solvent Fractions from Red Garlic)

  • 황초롱;신정혜;강민정;이수정;성낙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950-957
    • /
    • 2012
  • 열처리를 통한 새로운 마늘 가공품의 개발 및 그 생리활성 규명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새로이 개발된 홍마늘의 용매별 계통 분획물을 제조하고, 항산화 활성과 항비만 활성을 중심으로 한 생리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홍마늘 계통 분획물 중 갈변물질의 함량은 chloroform 분획물에서 가장 높았고, 총 페놀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hexane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함량이었고, 다음으로 chloroform 분획물의 순이었다. DPPH와 ABTS 라디칼소거능 및 FRAP법에 의한 항산화능도 chloroform 분획물이 타 분획물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은 갈변물질의 함량이 높고, 총 페놀 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높은 hexane 및 chloroform 화합물에서 활성이 높아 홍마늘 분획물의 항산화능은 이들 물질의 상호작용에 의한 결과로 추정된다. Pancreatic lipase 저해활성은 $500{\mu}g/ml$ 미만의 농도에서는 농도 증가와 더불어 유의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가장 활성이 높았던 chloroform 분획물에서 4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 분석의 결과에서 활성이 높았던 hexane 및 chloroform 분획물의 지방세포 분화와 지방 축적 억제 활성은 여타 분획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항산화 활성과 항비만 활성이 일치하는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는데, 이는 홍마늘 중의 항산화 활성물질은 주로 비극성이며, 지방 축적 억제 활성이 있는 물질은 주로 극성에 대한 용해성이 더 높기 때문으로 추정되며, 이와 관련하여서는 향후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Ice plant (Mesembryanthemum crystallinum) 추출물의 생리 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Mesembryanthemum crystallinum (Ice plant) Extract)

  • 이상률;최현덕;유선녕;김상헌;박슬기;안순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38-645
    • /
    • 2015
  • 본 연구는 ice plant (Mesembryanthemum crystallinum)의 생리활성을 분석하여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Ice plant는 아프리카와 서유럽, 북미, 남미 그리고 호주에서 서식하는 다육식물로 항당뇨, 항산화, 지질 대사 활성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Ice plant를 methanol (MCM), ethanol (MCE), 열수(MCHW), 열수 추출 후 methanol (MCHM)로 추출하여, mushroom tyrosinase, pancreatic lipase, DPPH free radical 소거 활성, NO 생성, α-glucosidase에 대한 저해 활성을 측정 하였다. MCM, MCE, MCHW, MCHM 추출물의 추출 수율은 0.37%, 0.33%, 0.5%, 0.07%로 나타났다. MCHW 추출물은 DPPH free radical 소거능에 높은 효과를 보였고, MCM, MCE 추출물은 lipase 저해 활성, α-glucosidase 저해 활성, NO 생성 저해활성을 보였다. 그러나 mushroom tyrosinase 저해 활성은 모든 추출물에서 매우 낮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ice plant는 항산화 물질로서 비만, 당뇨, 염증 치료용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가능성이 매우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라지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비만 흰쥐 체중변화와 혈청 Lipid Profile에 대한 도라지 추출물의 영향 (Antiobesity Effec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Extract on Body Weight Changes and Serum Lipid Profiles of Obese Rats Induced High Fat Diet)

  • Byun, Boo-Hyeong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896-902
    • /
    • 2003
  • 본 연구는 도라지 추출물의 항 비만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비만 흰쥐에 도라지 추출물을 투여 한 후, 비만 흰쥐의 체중 변화와 혈청 중의 지질 프로파일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라지 추출물의 투여는 실험 시작 후 1주부터 8주까지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고지방식이로 비만을 유도하였을 때, 정상군 보다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fatty acid, total lipid의 함량이 증가되던 것이 도라지 추출물의 투여로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fatty acid, total lipid의 함량이 현저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PG군의 total cholesterol$(77.2\pm3.3mg/dl)$은 대조군에 비해 약 7.0% 감소되었으며, PG군의 triglyceride$(103.6\pm9.0 mg/dl)$은 대조군에 비해 약 21.1% 감소되었다. 아울러 PG군의 fatty acid$(630.1\pm45.9 uEq/L)$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약 19.6% 감소하였다. 또한 PC군의 경우 총 지질 함량은 $396\pm23.7mg/dl$ 이며, 이는 대조군에 비해 약 9.1%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도라지 추출물은 비만의 개선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앞으로 많은 연구가 병행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동물모델에서의 약침의 효과 (Effect of Herbal Acupuncture with Sang-hwang(Phellinus linteus) on High Fat Diet-induced Obesity in Rats)

  • 김지현;박창신;함대현;이혜정;심인섭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14
    • /
    • 2004
  • Acupuncture has fairly good weight-reducing effect in treating simple obesity due to the neuroendocrine regulation. In this study, the antiobesity effects of herbal acupuncture(HA) with Sang-hwang(phellinus linteus) at Fuai(SP16) were investigated in the rat fed on high-fat(HF) diet. Sang-hwang mushroom has been proven to have anti-carcinogenic effects and Sang-hwang extracts are highly effective in treatment and preventive treatment of AIDS, diabetes and high blood-pressure. To determine whether the Sang-hwang herbal acupuncture may have the anti-obesity effect, male Sprague-Dawley(4-wk-old) rats were fed a HF diet for 5 wk, which produced significant weight gain compared to rats were fed a normal diet, and then herbal acupuncture were treated for 3 wk in HF diet group. The body weight, food consumption, food effeciency ratio(FER), body fat mass, plasma nitric oxide(NO) were investigated in rats fed on normal diet, HF diet, and HF diet with HA(HF-diet-HA) groups. NO has been proposed to be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food intake. In addition, the expression of appetite peptides such as orexigenic peptide neuropeptide Y(NPY) and the anorectic peptide cholecystokinin(CCK) were observed in the hypothalamus. HF-HA group reduced body weight gain, FER, body fat contents and NO concentration compared to HF diet group. The expression of NPY was reduced in arcuate nucleus(ARC), and CCK was increased in the paraventricular nucleus(PVN) after treatment of HA. In conclusion, Sang-hwang HA reduced adipocity, plasma NO and hypothalamic NPY, but increased CCK expression in the HF dietinduced obesity rat, therefore HA may have anti-obesity action through regulating body weight and appetite peptide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팔각회향 dichloromethane 분획물에 의한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Illicium verum Hooker fil. Dichloromethane Fractions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 정현영;정인교;김남주;윤희정;박정하;김병우;권현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47-454
    • /
    • 2019
  • 비만은 에너지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체내 지방조직에 지방이 축적되는 대사성질환으로 심혈관계 질환, 고혈압, 2형 당뇨, 고지혈증 및 각종 암의 발생 빈도를 증가시키는 요인이다. 지방의 축적은 지방전구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과정을 의미하는 adipogenesis라는 과정을 거쳐서 일어난다. 지방세포로의 분화는 다양한 호르몬과 전사인자들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일어난다. 본 연구에서는 팔각회향이 항비만 소재로 활용 가능한지 확인하기 위해, 팔각회향 물 추출물을 분획하여 지방축적 억제 활성이 좋은 dichloromethane층을 선정하였다. 3T3-L1 지방전구세포가 성숙한 지방세포로 분화할 때 팔각회향 dichloromethane 층이 어떠한 기전으로 분화를 조절하는지 확인한 결과, 지방세포 분화에서 중요한 전사인자인 C/EBP family, $PPAR{\gamma}$의 발현이 억제되었고, 지방세포 최종 분화 마커로 알려져 있는 FAS 및 LPL의 발현 또한 감소되었다. 또한 G1기에서의 세포주기 정지를 통해 지방세포 분화 단계에서 필수적인 mitotic clonal expansion 단계를 억제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팔각회향이 항비만 효과를 가지는 천연물 소재로의 활용가능성을 보여주는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