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biotic therapy

검색결과 405건 처리시간 0.044초

Seven-Day Bismuth-based Quadruple Therapy as an Initial Treatment for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a High Metronidazole Resistant Area

  • Vilaichone, Ratha-korn;Prapitpaiboon, Hatainuch;Gamnarai, Pornpen;Namtanee, Juraiwan;Wongcha-um, Arti;Chaithongrat, Supakarn;Mahachai, Varoch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4호
    • /
    • pp.6089-6092
    • /
    • 2015
  • Background: The prevalence of metronidazole-resistant H. pylori is almost 50% in Thailand which severely limits the use of this drug for eradication therapy.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profiles of 7-day bismuth-based quadruple therapy including metronidazole as an initial treatment for H. pylori infection in a high metronidazole resistance area.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was performed at Thammasat University Hospital and King Chulalongkorn Memorial Hospital during January 2009 to October 2010. Patients with non-ulcer dyspepsia (NUD) with active H. pylori infection were assigned to receive seven days of quadruple therapy (pantoprazole 40 mg bid, bismuth subsalicylate 1,048 mg bid, amoxicillin 1 gm bid and metronidazole 400 mg tid). H. pylori infection was defined as positive H. pylori culture or two positive tests (rapid urease test and histology).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 for metronidazole by Epsilometer test (E-test) was performed in all positive cultures. At least four weeks after treatment, $^{13}C$ urea breath test ($^{13}C-UBT$) was performed to confirm H. pylori eradication. Results: A total of 114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50 males and 64 females with a mean age of 49.8 years. All 114 patients had a diagnosis of NUD. Overall eradication as confirmed by negative $^{13}C-UBT$ was achieved in 94 out of 114 patients (82.5%). 44 patients had positive cultures and success for E-test. In vitro metronidazole resistance was observed in 22/44 (50%) patients. Eradication rate in patients with metronidazole resistant strains was 16/22 (72.7%) and 20/22 (90.1%) with metronidazole sensitive strains (72.7% vs 90.1%, p-value=0.12; OR=3.75 [95%CI=0.6-31.5]). Minor adverse reactions included nausea, bitter taste, diarrhea and black stools but none of the patients dropped out from the study. Conclusions: Initial treatment with 7-day bismuth-based quadruple therapy including metronidazole, amoxycillin and pantoprazole is highly effective and well tolerated for metronidazole-sensitive H. pylori infections. However, the efficacy markedly decline with metronidazole resistance. Longer duration of this regimen might be required to improve the eradication rate and larger multi-center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this hypothesis.

대동맥판막재치환술 후 발생한 발살바동 파열을 동반한 심박조율도관 심내막염 (Pacemaker Lead Endocarditis Combined with Rupture of Sinus Valsalva after Redo Aortic Valve Replacement)

  • 백만종;나찬영;오삼세;김웅한;황성욱;이철;강창현;장윤희;조원민;김재현;서홍주;김종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10호
    • /
    • pp.780-783
    • /
    • 2003
  • 심박조율도관 관련 심내막염은 드물지만 치명적인 합병증이다. 과거 기계판막을 이용한 이중판막치환술 및 영구 심박조율기 삽입 후 발생한 발살바동 파열이 있었던 45세 남자로 간헐적인 고열을 주소로 입원하였다. 혈액균배양 검사에서 streptococcus viridans 배양 및 경식도초음파 검사에서 조율도관 및 삼첨판막에 유동성이 있는 큰 증식물이 관찰되어 심박조율도관 관련 심내막염으로 진단하였다. 항생제 치료 후 조율도관의 제거술과 증식물 및 감염조직의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술 후 4주 동안 항생제 투여를 지속하였으며 경과는 양호하였다. 퇴원 후 심내막염의 재발 소견이나 증상없이 외래통원 치료중이다.

항생제 치료 후 호전을 보여 진단이 늦어진 폐선암/세기관지폐포암 1예 (Consolidative Bronchioloalveolar Carcinoma Presenting as Pneumonia, and This Led to a Late Diagnosis due to the Improvement after Antibiotic Therapy)

  • 정인아;허은영;이재석;윤호일;이재호;이춘택;강영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5권2호
    • /
    • pp.147-151
    • /
    • 2008
  • 고령의 폐렴 환자들에게 적절한 치료를 하였는데도 방사선 검사상, 호전되지 않고, 병변이 남아있는 '호전되지 않는 폐렴(non-resolving pneumonia)' 환자들을 종종 볼 수 있다. 여러 가지 원인들에 따라 환자들마다 방사선학적 호전을 보이는 기간이 매우 다양하다. 흔하지는 않지만, '호전되지 않는 폐렴'의 원인이 경화성 폐암으로 뒤늦게 진단되는 경우도 있다. 경화성 병변으로 나타나는 세기관지폐포암의 경우 다양한 임상 증상과 영상 소견을 보일 수 있고, 폐렴과 구분이 어려워 주의를 요한다. 경화성 폐암의 경우, 조기진단을 하면 근치적 절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신속하고 정확한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폐렴 환자들에서 처음 검사에서 악성 세포가 없었다고 하더라도, 경화성 병변이 지속된다면 세기관지폐포암을 염두에 두고 신중하게 추가 검사를 고려해야 한다.

하악 제3대구치가 하악 우각부골절 정복술후 감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THIRD MOLAR ON POSTOPERATIVE INFECTION AFTER REDUCTION OF THE MANDIBULAR ANGLE FRACTURE)

  • 최문기;민승기;이동근;오승환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3권3호
    • /
    • pp.217-225
    • /
    • 2001
  • Any fracture passing through the socket of a teeth is compounded intraorally, even if the fracture is not displaced and the tooth is firm in its socket. Before the advent of antibiotic therapy the danger of infection in a compounded fracture posed severe problems in treatment. Infection is reduced by antibiotic therapy but prolonged use of antibiotics is not justified in an attempt to save a tooth which might eventually be sacrificed. There is still controversy in the management of third molar in mandibualr angle fracture, particulary in regard to their retention or removal at the time of fracture treatment. So we surveyed the 159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open reduction of mandibular angle fracture containing third molar in fracture line, and compared with the postoperative infection rate depending on time intervals between injury and operation, eruption state of third molar, non-extraction or extraction of third molar related to eruption state, non-extraction or extraction of third molar related to condiition of third molar and its surrounding periodontium and were to propose treatment guidline of third molar in mandibular angle fracture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time from injury to operation and postoperative infection. 2.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eruption state of third molar and postoperative infection. 3. In case of retention of the third molar,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eruption state of third molar and postoperative infection, but in case of extraction, postoperative infection was high rate in complete impacted cases. 4.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non-extraction or extraction of third molar and postoperative infection depending on condition of third molar. There are no difference in infection rate statistically according to the time from injury to operation, eruption state and condition of third molar, but retention of third molar revealed lowered infection rate in completely impacted cases. By terms of the manegement of third molar, we should extract or preserve third molar in the line of the mandibular angle fracture according to possibility of infection.

  • PDF

폐렴간균 폐렴에 의해 유발된 상대정맥 증후군 1예 (A Case of Superior Vena Cava Syndrome Caused by Klebsiella Pneumonia)

  • 김주영;임채만;김선희;추윤호;고윤석;김우성;김원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1권1호
    • /
    • pp.58-62
    • /
    • 1994
  • 저자들은 폐렴간균 폐렴에 의한 우상엽의 용적 증가로 인하여 유발된 상대정맥 증후군 1예를 임상 경험한후 medline검색상 SVCS의 유발 원인으로서 폐렴간균 폐렴은 최초의 증례로 사료되므로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임플란트 근단 병소의 임상적 접근 방법: 5 - 12년간의 증례 보고 (Clinical managements of implant periapical lesions: a report of three cases with five to twelve years of follow-up)

  • 김현주;박세환;장범석;엄흥식;이재관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1권2호
    • /
    • pp.150-157
    • /
    • 2015
  • 이 증례 보고의 목적은 임플란트 근단병소를 가진 임플란트를 다양한 임상적 치료 적용 후 5 - 12년간 관찰하여 효과적인 임상적 접근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세 명의 환자 중 한 명은 병적 증상이 관찰되지 않아 비활성형(inactive form)으로 진단하고, 부가적인 치료 없이 주기적 관찰을 시행하였다. 두 명의 환자는 통증을 호소하여 감염형(infected form)으로 진단하고, 2 - 3주간 전신적인 항생제를 처방하였다. 한 명은 증상이 개선되어 주기적인 관찰을 시행하고 있으나, 다른 한 명에서는 임플란트 근단병소의 크기가 증가하고 통증의 개선도 보이지 않아 임플란트를 제거한 후 재식립 후 보철치료를 완료하였다. 세 환자 모두 현재까지 기능적 이상 없이 임플란트를 사용하고 있다. 임플란트 근단병소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수술 과정 중 골 괴사를 유발할 수 있는 과열 등의 수술적 외상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며, 임플란트 근단병소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조기 진단을 통해 적절한 전신적 항생제 처방이나 필요한 경우 외과적 처치를 통해 임플란트의 성공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Etiology of Bacteremia in Children With Hemato-Oncologic Diseases From 2013 to 2023: A Single Center Study

  • Sun Woo Park;Ji Young Park;Hyoung Soo Choi;Hyunju Lee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31권1호
    • /
    • pp.46-54
    • /
    • 2024
  • 목적: 본 연구는 2013년부터 2023년까지 최근 10년간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소아 혈액종양 환자들에게 발생한 균혈증 발생 숫자를 확인하고, 원인균 발생 빈도 및 분포와 이들의 항생제 감수성을 분석하면서 경험적 항생제를 선택하는 데에 필요한 치료 지침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2013년 1월부터 2023년 7월까지 분당서울대학교병원에 입원한 환자 중 기저혈액종양질환이 있으면서 혈류감염이 발생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의무기록 분석을 하였다. 결과: 10년의 연구 기간동안 총 74명의 환자에게서 98례의 혈류감염이 확인되었고, 이 중 그람 양성균, 그람 음성균, 진균이 각각 57.1% (n=56), 38.8% (n=38), 4.1% (n=4)이었다. 가장 흔한 그람 양성균은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n=21, 21.4%) 와 Staphylococcus aureus (n=14, 14.3%) 였고, 가장 흔한 그람 음성균은 Klebsiella species (n=16, 16.3%) 와 Escherichia coli (n=10, 10.2%) 였다. 전체 사망한 환자들 중 균혈증 발생으로부터 30일 이내로 사망한 사례는 총 6건 (6.1%) 이었다. 결론: 본 연구는 혈액종양질환을 진단받은 소아 환아들에게서 발생한 균혈증의 원인균 분포 및 각 원인균의 항생제 분포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자들은 현재 사용하는 경험적 항생제 가이드라인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소아 혈액종양질환 환아들에게서 발생한 균혈증에서 사용해야 할 적절한 경험적 항생제는 각 기관별로 조사한 항생제 감수성 양상에 기초하여 결정되어야 하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소아 환자에서의 뇌실-복강 단락 감염의 역학적 고찰: 15년 간의 단일 기관 연구 (A Fifteen-year Epidemiological Study of Ventriculoperitoneal Shunt Infections in Pediatric Patients: A Single Center Experience)

  • 김연경;신형진;김예진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9권3호
    • /
    • pp.141-148
    • /
    • 2012
  • 목 적 : 뇌실-복강 단락 수술은 수두증이 있는 소아 환자에서 중요한 치료 방법 중 하나이다. 뇌실-복강 단락에서 단락 감염은 중요한 합병증이며 수술의 예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이 연구는 소아 환자에서의 뇌실-복강 단락 감염의 역학적 특성과 임상 증상, 치료와 예후를 파악하고 진단 및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5년 4월부터 2010년 6월까지 뇌실-복강 단락 수술을 시행 받은 18세 이하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후향적으로 의무 기록을 분석하였다. 결 과 : 총 190명(여자 82명, 남자 107명)의 환자에서 327건의 뇌실-복강 단락 수술을 시행하였다. 중위 연령은 2.4세이며(0.02-17.9세) 뇌실-복강 단락 수술의 가장 흔한 원인은 악성 뇌종양이었다. 수술 1건 당 감염률은 6.7% (22/327건), 환자 1명 당 감염률은 9.5% (18/190명)이며 100건의 수술-년 당 감염은 0.45건 이었다. 가장 흔한 원인 균은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us (7건) 이며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에 의한 감염은 1건 이었다. 10건의 감염에서 vancomycin과 beta-lactam antibiotics (cephalosporin or carbapenem)의 복합 정주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7건의 감염에서 vancomycin 단독 정주 치료를 시행하였다. 치료 기간의 중앙값은 26일(7-58일)이었으며 수술적 치료는 18건에서 시행하였다(18/22건, 81.8%). 결 론 : 본 연구는 단일 기관에서 15년 동안의 뇌실-복강 단락 감염의 역학을 요약한 연구로 소아 환자에서의 뇌실-복강 단락 감염의 역학적 정보는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향후 단락 감염의 발생과 관련한 위험 인자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30일 이상 90일 미만의 발열 영아에서 경험적 항생제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The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Empirical Antibiotics in Febrile Infants from 1 Month to Less than 3 Months)

  • 변정희;송보경;김영아;고훈;유석동;임택진;박수은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5권2호
    • /
    • pp.91-100
    • /
    • 2018
  • 목적: 본 연구는 30일 이상 90일 미만의 발열이 있는 영아에서 경험적 항생제 사용에 미치는 요소를 조사하였다.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부산대학교 어린이병원에 발열이 있는 이전에 건강했던 영아를 대상으로 임상양상, 검사소견, 항생제 사용에 대해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호흡기 바이러스는 다중 역전사 중합 연쇄반응검사로 검출하여 1-3일 후 보고되었고, enterovirus는 중합 연쇄반응검사로 검출하여 수시간 만에 보고되었다. 결과: 366명의 대상자 중 129명은 경험적 항생제를 사용하였고 237명은 경험적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았다. 입원 전 발열기간이 긴 경우와 호흡기 증상이 있을 때, 아파보일 때, CRP 상승 시 경험적 항생제 사용이 많았다. 경험적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은 환자의 재입원율이 낮았다. Enterovirus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이 검출된 대부분의 환자는 경험적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았다. Respiratory virus multiplex reverse transcriptase (RT)-PCR 결과는 경험적 항생제 사용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 respiratory virus multiplex RT-PCR은 항생제 처방에 영향을 주지 않았고 enterovirus PCR은 항생제 처방에 영향을 주었다. Respiratory virus multiplex RT-PCR 결과가 신속하게 보고된다면 항생제 사용에 영향을 줄 것이다.

임상검체로부터 분리된 Methicillin 내성 Staphylococcus aureus의 유전자형 분석 (Genotype Analyses of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clinical specimens)

  • 김진수;박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315-3322
    • /
    • 2015
  • 황색포도상구균은 임상에서 중요한 병원체로 원내감염의 주 원인균이다. methicillin에 내성인 황색포도상구균(MRSA) 출현은 특히 전 세계적으로 임상과 역학의 주요 문제가 되고 있으며 다른 병원성 세균과 차별되는 특징으로 독성인자를 가지면서 항생제 내성을 빠르게 획득해 가고 있다. 본 연구는 한 종합병원 임상 검체로부터 얻어진 MRSA 101균주의 독소유전자(enterotoxin(se), toxic shock syndrome toxin-1(tst), exfoliative toxin(et), Panton Valentine leukocidin(pvl)) 보유 분포와 이들 독소 유전자 보유 균주들간의 항생제 내성과의 상관성을 비교 분석 하고자 하였다. 독소유전자중 가장 많이 분리된 seg 유전자가 59균주(58.4%)에서 검출되었으며 70균주(69.3%)에서 두개 이상의 독소 유전자가 검출되었다. 독소유전자 보유조합으로 seb, sec, seg, sei, tst가 19균주(18.8%)에서 발견되었으며 다음으로 빈번한 조합은 sec, seg, sei로 11균주(10.9%)로 나타났다. seb, sec, seg, sei, tst 동일한 독소유전자 조합을 갖고 있는 19균주(18.8%)들은 Ampicillin, Benzylpenicillin, Ciprofloxacin, Clindamycin, Gentamicin, Erythromycin, Telithromycin, Tetracycline 항생제 내성이 100% 였다. 독소유전자 보유수가 많은 균주들은 항생제 내성이 높은 상관성을 확인하였다. 향후 MRSA 균주의 내성이 확산되지 않도록 효과적인 치료와 철저한 감염관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