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bacterial study

검색결과 1,679건 처리시간 0.029초

오배자 추출물 유래 친환경제제의 세균성과실썩음병균에 대한 항세균활성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Eco-friendly Farming Material based on Chinese Nut-gall Extraction on Acidovorax citrulli)

  • 서태진;양수정;이봉춘;김강민;이귀재;주호종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571-582
    • /
    • 2016
  • 세균성과실썩음병(BFB)은 Acidovorax citrulli가 원인균으로서 전 세계적으로 박과채소에 큰 손실을 야기하며 고온다습한 조건에서 급속도로 진전되는 종자 병이다. 요즘 친환경재배가 인기를 얻어가고 있으나 BFB를 효율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적당한 방제제가 없는 실정에서 오배자 추출물 기반 약제의 A. citrulli에 대한 황세균활성을 시험하였다. 먼저 식물마다 다른 다양한 BFB 증상이 나타났다. 오배자 추출물 기반 약제의 액상 형태의 방제제는 높은 항세균활성을 보였으며, 온실내 포트실험 또한 오배자 추출물 기반 약제의 BFB 방제에 대한 잠재적 효과성을 보였다. 오배자 추출물 기반 약제 처리는 수박 유묘의 생존율과 오이의 유묘 길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사용한 오배자 추출물 기반 약제에 대하여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박과채소인 BFB를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아주 높은 물질로 생각이 된다.

오플록사신 및 리도카인 함유 수분 감응성 구강점막 패취제의 제조 및 방출 특성 (Preparation and Release Properties of Oromucosal Moisture-activated Patches Containing Lidocaine or Ofloxacin)

  • 곽혜선;송연화;전인구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5권6호
    • /
    • pp.417-422
    • /
    • 2005
  • This study was aimed to design and formulate the moisture-activated patches containing ofloxacin and lidocaine for antibacterial and local anesthetic action. The solubility of lidocaine at $32^{\circ}C$ in various vehicles decreased in the rank order of PG $759.5{\pm}44.5\;mg/mL$ > PGL > IPM > PEG 300 > PEG 400 > Ethanol > PGMC > DGME > PGML > OA > $Captex^{\circledR}\;300$ > $Captex^{\circledR}\;200$ > water $(4.0{\pm}0.1\;mg/mL)$. Ofloxacin revealed very low solubility, which the highest solubility was obtained from PEG 400 $(18.7{\pm}6.3\;mg/mL)$ among the vehicles used. The addition of lactic acid increased the solubility of ofloxacin dramatically; the solubility at 5% lactic acid was $133.7{\pm}9.7\;mg/mL$. As $2-hydroxypropyl-{\beta}-cyclodextrin$ was added at the concentrations of 40, 80, 120, 160 and 200 mM, the solubilities of lidocaine and ofloxacin were enhanced up to three and two times, respectively, with concentration-dependent pattern. Gel intermediates for filmtype patches were prepared with mucoadhesive polymer, viscosity builders, lidocaine or ofloxacin at pH values from 5 to 7. Gels were cast onto a release liner and dried at room temperature. Dried patch was attached onto an adhesive backing layer, thus forming a patch system. Patches containing a single drug component were characterized by in vitro measurement of drug release rates through a cellulose barrier membrane. The release study was carried out at $37^{\circ}C$ using a Franz-type cell. Receptor solutions were isotonic phosphate buffers (pH 7.4). Samples $(100\;{\mu}L)$ were taken over 24 hours and quantitated by a verified HPLC method. The releases from all tested were proportional to the square root of time. The release rates were 0.9, 157.3 and $281.7\;{\mu}g/cm^{2}/min^{1/2}$ for the lidocaine patches and 19.8,37.2 and $50.7\;{\mu}g/cm^{2}/min^{1/2}$ for the ofloxacin patches at the concentrations of 0.3, 0.5 and 1 %, respectively. The release rates were dose dependent in both drug patches $(R^{2}\;=\;0.9077\;for\;lidocaine;\;R^{2}\;=\;0.9949\;for\;ofloxacin)$ and those were also thickness-dependent $(R^{2}\;=\;0.9246\;for\;lidocaine;\;R^{2}\;=\;0.9512\;for\;ofloxacin)$.

유한세프라딘 캅셀(세프라딘 500 mg)에 대한 브로드세프 캅셀의 생물학적 동등성 (Bioequivalence of Broadcef Capsule to Cefradine Yuhan Capsule (Cephradine 500 mg))

  • 조혜영;이석;강현아;오인준;임동구;문재동;이용복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2권3호
    • /
    • pp.215-221
    • /
    • 2002
  • Cephradine is a first generation cephalosporin and has broad spectrum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gram-positive and gram-negative microorganisms, through inhibition of bacterial cell wall synthesis. Cephradine is useful for treatment of infections of the urinary and respiratory tract, skin and soft tissu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bioequivalence of two cephradine capsules, Cefradine Yuhan (YuHan Corporation) and Broadcef (Ilsung Pharmaceuticals Co. Lt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of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The cephradine release from the two cephradine capsules in vitro was tested using KP VII Apparatus II method with various different kinds of dissolution media (pH 1.2, 4.0, 6.8 buffer solution and water). Twenty normal male volunteers, $23.10{\pm}2.90$ years in age and $67.69{\pm}8.04\;kg$ in body weight,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a randomized $2{\times}2$ cross-over study was employed. After one capsule containing 500 mg as cephradine was orally administered, blood was taken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the concentrations of cephradine in serum were determined using HPLC method with UV detector. The dissolution profiles of two cephradine capsules were very similar at all dissolution media. Besides,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s such as $AVC_t,\;C_{max}\;and\;T_{max}$ were calculated and ANOVA test was utiliz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parameters using logarithmically transformed $AVC_t\;and\;C_{max}$ and untransformed $T_{max}$.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fferences in $AVC_t,\;C_{max}\;and\;T_{max}$ between two capsules based on the Cefradine Yuhan were -2.87%, -0.96% and -4.85%, respectively. There were no sequence effects between two capsules in these parameters. The 90% confidence intervals using logarithmically transformed data were within the acceptance range of 1og(0.8) to log(1.25) $(e.g.,\;log(0.93){\sim}log(1.02)\;and\;log(0.88){\sim}log(1.13)\;for \;AVC_t\;and\;C_{max},\;respectively)$. The 90% confidence interval using untransformed data was within ${\pm}20%$ $(e.g., \;-17.54{\sim}7.78\;for\;T_{max})$. All parameters met the criteria of KFDA guideline for bioequivalence, indicating that Broadcef capsule is bioequivalent to Cefradine Yuhan capsule.

가자, 오배자, 계피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제형에서의 방부효과 (Antimicrobial Plant Extracts as an Alternative of Chemical Preservative: Preservative Efficacy of Terminalia chebula, Rhus japonica (gallut) and Cinnmomum cassia Extract in the Cosmetic Formular)

  • 조은미;배준태;표형배;이근수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25-331
    • /
    • 2008
  • 본 연구는 천연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화장품 제형 내에서 천연 방부제로서 효능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선별된 15종의 천연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병원성 세균(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 Escherichia coli)과 효모균(Candida albicans), 곰팡이균(Aspergillus niger)에 대한 paper disc법(disc diffusion method)과 최소저해농도측정법(MIC)을 이용하여 항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가자, 오배자 추출물은 그람 양성인 S. aureus와 그람 음성균인 P. aeruginosa, E. coli 에 대한 항세균 활성이 우수하였고, 계피 추출물은 효모균인 C. albicans와 곰팡이균인 A. niger에 대해 우수한 항진균 활성을 나타냈다. 최종 선별된 3종 외 식물추출물은 효과가 없었다. 항균 활성 효과가 우수한 최적 조합비로 구성된 가자, 오배자, 계피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화장품 제형에 첨가하여 제형 내 방부 활성을 측정한 결과 상업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파라벤 혼합 방부제와 유사한 정도의 방부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화학 방부제를 대신하여 천연 식물 추출물로만 이루어진 넓은 항균 스펙트럼을 갖춘 방부 시스템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며 최근 다양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화학 방부제의 단점을 극복한 천연 방부제를 함유한 화장료의 개발에 응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crylic Resin에 혼합된 Polyphosphate가 미생물의 부착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LYPHOSPHATE MIXED IN ACRYLIC RESIN ON THE ATTACHMENT AND GROWTH OF ORAL BACTERIA)

  • 홍선희;최영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9-79
    • /
    • 2003
  • 자가중합형 아크릴릭 레진에 polyp를 혼합하지 않은 대조군, 그리고 레진 분말에 대한 polyP(사슬길이 13과 18의 혼합물인 Calgon)의 무게비를 1%로 혼합한 polyP 1%군, 2% 혼합한 polyP 2%군 및 3% 혼합한 polyP 3%군으로 분류하여 경화시킨 후, 경화된 각각의 레진과 실험균주 S. mutans GS5, S. sobrinus 6715, S. gordonii G9B및 Challis, 그리고 P. gingivalis 2561과 Candida albicans ATCC90027을 대상으로 레진표면에 대한 미생물들의 부착의 정도, 성장 억제효과 및 접촉각의 변화를 관찰하여 그 결과로 미루어 아크릴릭 레진에 포함된 polyP는 구강 미생물에 대해 직접적으로 강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지는 않는 것으로 판단되나 미생물의 부착 특히 우식원인균인 mutans streptococci의 부착을 방해하는 것으로 가늠되며, 이는 polyP의 첨가에 의한 아크릴릭 레진 표면에서 일어난 소수성의 변화가 일부 관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PolyP가 혼합된 아크릴릭 레진의 장착은 일반적인 아크릴릭 레진으로 제작된 가철성 장치를 장착한 후 나타날 수 있는 우식 이환의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임상적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고 여겨진다.

  • PDF

유용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유산균의 분리와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Bacteriocin-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 홍성욱;배효주;장진희;김소영;최은영;박범영;정건섭;오미화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2호
    • /
    • pp.153-159
    • /
    • 2013
  • 유아 분변, 우분, 염소 분변, 개 분변, 돼지 분변, vaginal tract 채취물, 채소류, 부패한 과일류, 김치, 젓갈, 발효 소세지, 원유, 치즈, 발효유, 청국장, 메주, 막걸리 등 다양한 시료로부터 3,000주의 미생물을 분리하였다. 분리미생물은 L. monocytogenes, E. coli O157:H7, S. enterica serovar Enteritidis에 대해 항균활성을 측정하여 박테리오신 생산 미생물 26주를 최종 선발하였다. 16S rDNA gene sequencing 분석을 통하여 동정한 결과, Enterococcus faecalis(7주), E. faecium(8주), E. hirae(5주), Lactobacillus acidophilus(1주), L. amylovorus(1주), L. curvatus(2주), L. plantarum(1주), Pediococcus acidilactici(1주)와 같이 8종의 미생물이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미생물이 생산한 박테리오신은 대부분이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성 물질이어서 인간 또는 동물의 소화효소에 의해 분해되므로 식품에서 안전한 천연보존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OrthoMTA와 ProRoot MTA의 항미생물 효과 비교 (COMPARISON OF ANTIMICROBIAL EFFECTS OF ORTHOMTA AND PROROOT MTA)

  • 김수영;최남기;박지일;김선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66-372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ProRoot MTA (Dentsply Tulsa, USA)와 최근 국내에서 새로 개발된 OrthoMTA (Bio MTA, Korea)의 감염된 근관에서 주로 발견되는 3개의 미생물에 대한 효과를 다양한 농도와 시간에서 비교하는 것이다. 50, 25, 12.5 mg/mL의 농도로 준비된 ProRoot MTA와 OrthoMTA에 Enterococcus faecalis, Fusobacterium nucleatum 그리고 Staphylococcus epidermidis를 접종 후 24, 48, 72시간에 항미생물 효과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E. faecalis의 경우 ProRoot MTA와 OrthoMTA 50, 25, 12.5 mg/mL 농도의 모든 시간대에서 세균을 완전히 억제하지는 못했지만 양성 대조군에 비해 성장이 조금 감소한 양상을 보였다(p < 0.05). F. nucleatum의 경우 ProRoot MTA 50 mg/mL 농도의 24시간에서 미생물을 억제하였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세균의 성장을 보인 반면 OrthoMTA의 경우 같은 농도에서 시간이 지나도 계속 세균을 억제하였다(p < 0.05). S. epidermidis의 경우 ProRoot MTA 50 mg/mL, OrthoMTA 50, 25 mg/mL 농도의 24시간에서 억제 효과를 보였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세균이 조금씩 성장하였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모든 농도와 시간에서 양성 대조군에 비해서는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p < 0.05). 본 연구를 통해 국내에서 새로 개발된 OrthoMTA는 기존의 ProRoot MTA보다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robiotic Characterization of Acid- and Bile-tolerant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varius from Korean Faeces

  • Bae, H.C.;Nam, M.S.;Lee, J.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12호
    • /
    • pp.1798-1807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varius having probiotic properties to be used as the health adjuncts with fermented milk products. Acid- and bile-tolerant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varius was isolated with lactobacilli MRS broth from faeces of 80 healthy persons (infants, children and adults). It was used as a probiotic strain in fermented milk products. The pH of fermented milk decreased from pH 6.7 to 5.0 and titratable acidity increased from 0.3% to 1.0% by L. salivarius subsp. salivarius (isolation strain 20, 35, and 37), when incubated for 36 h at 37$^{\circ}C$. The number of viable cell counts of fermented milk was maximized at this incubation condition. The SDS-PAGE evidenced no significant change of casein but distinct changes of whey protein were observed by isolated L. salivarius subsp. salivarius for titratable acidity being incubated by 0.9-1.0% at 37$^{\circ}C$. All of the strains produced 83.43 to 131.96 mM of lactic acid and 5.39 to 26.85 mM of isobutyric acid in fermented products. The in vitro culture experiment was performed to evaluate ability to reduce cholesterol levels and antimicrobial activity in the growth medium. The selected L. salivarius subsp. salivarius reduced 23-38% of cholesterol content in lactobacilli MRS broth during bacterial growth for 24 h at 37$^{\circ}C$. All of the isolated L. salivarius subsp. salivarius had an excellent antibacterial activity with 15-25 mm of inhibition zone to E. coli KCTC1039, S. enteritidis KCCM3313, S. typhimurium M-15, and S. typhimurium KCCM40253 when its pH had not been adjusted. Also, all of the isolated L. salivarius subsp. salivarius had partial inhibition zone to E. coli KCTC1039, E. coli KCTC0115 and S. enteritidis KCCM3313 when it had been adjusted to pH 5.7. The selected strains were determined to have resistances of twelve antibiotic. Strains 27 and 35 among the L. salivarius subsp. salivarius showed the highest resistance to the antibiotic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some of the L. salivarius subsp. salivarius (strain 27 and 35) are considered as effective probiotic strains with a potential for industrial applications, but the further study is needed to establish their use as probiotics in vivo.

꽃송이버섯 추출물의 화장품소재로서의 가능성 평가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extracts from Sparassis crispa for cosmetic ingredients)

  • 장영아;김한나;양재찬;이지원;김보애;이진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731-739
    • /
    • 2015
  • 본 연구는 꽃송이버섯 추출물의 화장품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꽃송이버섯 에탄올 추출물의 Straphylococcus epidermidis, Str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Candida albicans 균주로부터 항균효능을 확인하였으며 항산화효과 및 염증관련인자인 NO저해율을 확인하였다. 또한 꽃송이버섯 에탄올 추출물을 함유한 에멀션 제형의 물리적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pH, 점도, 에멀션 입자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paper disc 실험의 경우 Straphylococcus aureus, Candida albicans 균주로부터 항균효능을 나타내었으며, 에멀션 제형 평가의 경우 안정한 점도와 pH를 나타내었다. 현미경으로 유화물 입자 관찰 시 추출물의 유무와 상관없이 제형 분리 현상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꽃송이버섯 추출물의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치를 제안할 수 있다.

출토복식의 보수방법에 관한 연구: 대전 목달동 출토 여산송씨 출토복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storation Methods of the Excavated Costume: Focus on Excavated Costumes of Yeosan Song's Family at Mokdal-dong in Daejeon)

  • 하신혜;권영숙
    • 보존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61-170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실질적인 출토복식의 보수를 통해서 보수방법의 합리적인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출토복식의 경우 유기물이라는 특징으로 인해 출토되는 순간 이미 위약한 상태이므로 출토복식에 대한 상태를 철저히 조사한 후 가능한 물리적 힘을 가하지 않는 방법으로 최소한의 보수만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보수하였다. 보수는 출토복식의 상태에 따라 보수 가능한 것을 분류하여 출토복식 직물의 상태를 고려하여 최대한 안정하게 적용시켰다. 보수용 실의 경우는 강도가 약한 정련한 얇은 주아사의 실을 뽑아서 사용하거나 광열화시킨 명주실을 사용하였다. 보수용 직물은 직물의 종류에 따라 셀룰로오스 계 직물은 면직물을 견직물은 주아사나 명주를 정련하여 사용하였으며 일부는 비슷한 색을 내기위해 오리나무 염색과 감 염색을 하였고 방충 방균 처리를 위해 정향으로 염색한 천을 사용하여 보수하였다. 보수의 방법은 손상형태 및 복식의 구성양식에 따라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보수의 바느질법은 시침질, 홈질, 박음질, 공그르기, 감침질의 방법을 사용하여 훼손 부위와 상태에 적합한 바느질법을 선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