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bacterial study

검색결과 1,679건 처리시간 0.032초

비브리오 패혈증균에 대한 매실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Maesil (Prunus mume) Extract against Vibrio vulnificus)

  • 하태만;전두영;임현철;윤연희;신미영;윤기복;김중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63-169
    • /
    • 2017
  • V. vulnificus에 대한 매실 추출액의 항균활성을 측정함으로서 다소비 식품인 수산물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실험에서 사용한 균주는 수산물, 수족관수, 해수, 갯벌에서 분리된 V. vulnificus 28주를 대상으로 하였다. V. vulnificus 28주 모두에서 vvhA 유전자가 검출되고 good identification 이상의 생화학 동정 결과를 나타내어 V. vulnificus임이 확인되었다. 실험에 사용된 V. vulnificus는 tetracycline과 chloramphenicol 항생제에 감수성을 나타내어 환자 발생 시 이 두 종류의 항생제가 치료에 용이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V. cholerae NCCP 13589와 V. parahemolyticus NCCP 11143 표준균주 모두 매실 추출물 2.5%와 5%에서 생육 저지환을 나타내었다. 또한 V. vulnificus 분리균주와 V. vulnificus NCCP 11135 표준균주 모두 매실 추출물 1.25%, 2.5%, 5%에서 생육 저지환을 나타내어 V. cholerae와 V. parahemolyticus에 비해 V. vulnificus에 대한 매실 추출물의 항균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V. vulnificus에 대한 매실 추출액 최소살균농도가 1.6%로 나타나 수산물 중 V. vulnificus 생육억제에 매실 추출물이 매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산물과 관련된 비브리오균 중 패혈증을 일으키는 V. vulnificus균은 국내에서 매년 지속적으로 환자와 사망자를 발생시키고 있다. 수산물 생식 시 발생할 수 있는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매실 추출물 활용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피부미용 관련 천연 자외선 차단 소재 연구동향 분석 (A Study on the Trends of the Natural UV Protection Materials Related to Skin Beauty)

  • 김현숙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07-11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천연 소재를 이용한 자외선 차단 제품 개발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피부미용 관련 자외선 차단제의 국내외 산업 현황과 천연 소재 연구 동향, 그리고 특허 현황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자외선 차단제는 미국 시장이 전 세계의 약 21%를 차지하는 가장 큰 시장이며 중국 시장이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다. 기능성 화장품 주요 4종의 국내 생산실적 1위는 복합기능제품이며, 주름개선과 자외선 차단제, 미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세계시장 및 국내시장 모두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최근 10년간 천연 자외선 차단 소재 연구동향을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 황금, 홉, 감초, 핑거루트, 녹차, 야관문 추출물 등이 효능이 있으며 그 이외에도 광노화, 항산화, 항염, 항균, 미백, 주름개선 등의 효능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 등록 현황은 건수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식물이나 해조류에서 성분을 확보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향후 세계적 트렌드에 맞춰 안전하고 효능이 증명된 천연 자외선 차단 소재들을 개발해 간다면 다기능 천연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충분히 활용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The Chronic and Acute Toxicity of Traditional Medicines Containing Terminalia chebula

  • ARONGQIQIGE ARONGQIQIGE;Gerelmaa Enebish;Wang Song;Wei Cheng Xi;Anuujin Gantumur;Oyunbaatar Altanbayar;Hirofumi Shimomura;Battogtokh Chimeddorj;Batnairamdal Chuluun;Avarzed Amgalanbaatar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8-26
    • /
    • 2023
  • Objectives: Terminalia chebula, the main ingredient of Altan Arur 5, has been used for many years in traditional medicine. This medicine is more effective than other drugs and is used to treat chronic gastritis and gastrointestinal disorders such as peptic ulcers and esophageal reflux. Other ingredients of Altan Arur 5 are Punica granatum (pomegranate), tulip seeds, black balm, and excreta of Trogopterus xanthipes. The main ingredients of T. chebula are antibacterial and analgesic in traditional medicine. Despite having been used for many years and although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beneficial effects of this medicine and its ingredients, the toxicity of Altan Arur 5 has not yet been elucidated. Therefore, we aimed to study the toxicity of Altan Arur 5 to ensure that it is safe to use. Methods: Acute and chronic toxicity of Altan Arur 5 were assessed in 10 Kunming mice and 8 Sprague-Dawley rats, respectively, in different doses. In the acute toxicity study, Altan Arur 5 was orally administered to Kunming mice in doses of 12 g/kg, 24 g/kg, and 48 g/kg for 14 days. In the chronic toxicity study, it was orally administered to Sprague-Dawley rats in doses of 1.25 g/kg, 2.5 g/kg, and 5 g/kg for 12 weeks.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relative organ weights for mice treated with Altan Arur 5 compared with those in the control group. Furthermore, no macro- or microstructural changes were noted in the organs of any group. Conclusion: Our toxicity testing revealed that the traditional medicine Altan Arur 5 has no toxic effects in vivo.

상표권 정보를 활용한 코로나19 전후의 트렌드 변화 연구 (A Study on the Trend Change using Trademark Information before and after COVID-19)

  • 나명선;박인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16-126
    • /
    • 2022
  • 그동안 상표정보 활용과 관련한 여러 연구가 진행되었고 상표정보가 비즈니스 트렌드를 볼 수 있는 좋은 데이터임을 증명하였다. 본 연구는 상표정보를 활용하여 코로나-19 전후의 트렌드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상표정보로 상품류, 유사군 코드, 지정상품정보를 활용하여 코로나-19 전후의 변화를 비교하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활용한 상표정보 중에 코로나-19 전후로 지정상품명을 활용한 트렌드의 변화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결과의 검증을 위해 코로나-19 전후의 지정상품명에 사용된 키워드의 변화를 구글 트렌드의 키워드의 검색 노출빈도와 비교하였다. 지정상품명칭에서 추출된 상위 8개 키워드 중 '온라인, 항균, 방역, 밀키트, 가상'의 구글 트렌드 검색 노출 빈도는 증가추세이고, '마스크, 비말' 은 증가추세는 아니지만, 코로나-19시점에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코로나-19 이후에도 이전에 비해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무인' 의 노출 빈도는 코로나-19 전후로 큰 차이는 없지만 꾸준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여 코로나 이전부터 관련 비즈니스가 활발하였으며, 대중의 관심이 높은 키워드로 해석할 수있다. 본 연구는 세가지 상표정보를 활용하여 비즈니스 트렌드에 활용 가능성이 있는 정보를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점에서 학문적 성과가 있다.

감국꽃 열수 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Chrysanthemum indicum Flower Extracts Using the Hydrothermal Water Extraction Method)

  • 하지성;강유리;김운중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3호
    • /
    • pp.77-85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감국꽃 열수 추출물의 분석을 통하여 기능성 소재 가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GC-MS를 통한 성분분석 결과 다양한 방향족 화합물이 검출되었으며, 항산화 분석을 통하여 추출물의 높은 항산화 효능을 확인하였다. 가장 높은 활성이 나타난 에탄올 함량 70% 추출물을 대상으로 TIME KILL TEST를 이용한 시험에서 높은 향균력을 확인하였고, 세포 내 멜라닌 생성 저해 시험 결과 추출물을 1%, 1.2%, 1.5%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각각의 농도에서 α-MSH 처리군 대비 115.77 ± 6.67%, 112.42 ± 1.64%, 67.12 ± 3.89%로 확인되었다. Collagenage 활성 저해 분석 결과 1.5%, 3%, 5%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56.57 ± 2.28%, 58.64 ± 2.99, 29.53 ± 1.03%의 Collagenase 억제율을 확인하였다. 추출물에 대한 세포독성 시험 결과 추출물의 농도가 1.5%, 3%, 5%일 때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감국꽃의 열수 추출물이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가치로 유용할 것으로 예측한다.

꿀벌 Apis mellifera에서 유래 한 특성화 되지 않은 항균성 펩티드의 동정 (Identification of Uncharacterized Anti-microbial Peptides Derived from the European Honeybee)

  • 박희근;김동원;이만영;최용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4-69
    • /
    • 2020
  • 꿀벌(Apis mellifera)에는 많은 항균성 펩티드가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 많은 종류의 펩티드를 기능을 알려지지 않았다. 따라서, 알려지지 않은 기능성 펩티드의 특성화가 필요하다. 그래서 우리는 새로운 항균성 펩티드(AMP)를 분석 하였다. 우리는 Apis mellifera에서 total RNA를 분리하고 Illumina HiSeq 2500 차세대 시퀀싱(NGS) 기술을 사용하여 15,314 개의 펩티드 서열을 생성하여 새로운 AMP를 선발 하였다. AMP로서 기능을 가지는 AMP를 선발 하기 위해 AMP 서열의 특성 과 특징을 분석을 기초로 하여 알려지지 않은 펩티드 및 알려진 44 개의 펩티드가 확인 되었다. 그 중에서도 AMP5라는 특성화 되지 않은 펩티드를 선발 하였다. AMP5는 표피, 지방체, 독낭에서 발현된다. 항균 활성을 분석하기 위해 Gram-negative bacteria Escherichia coli KACC 10005 및 Bacillus thuringiensis KACC 10168에 대한 항균 활성을 합성한 AMP5 처리하여 시험 하였다. AMP5는 Gram-negative bacteria Escherichia coli에 대한 항균 활성을 나타냈다(MIC50 = 22.04±0.66 μM). 일벌에 Escherichia coli을 주사했을 때 AMP5는 체내에서 항균성 펩티드로 발현이 높아졌다. 이러한 결과는 Escherichia coli에 대한 항균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한인진 분획물의 항염증, 항균 효과 (Anti-inflammatory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Artemisia iwayomogi Kitamura Extract Fractions)

  • 신승미;정원민;길영숙;이동열;김상곤;구영민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0-44
    • /
    • 2020
  • 한인진의 용매별 분획물에 관한 항염증, 항균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용매별로 추출하여 그 수율을 조사하여 본 결과, H2O 층에서는 64.20%로 가장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으며, Hexane층(16.05%), Chloroform, Ethyl acetate 층(각각 11.11%)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한 DPPH와 ABTs 소거활성을 분석한 결과 Ethyl acetate층에서 각각 12.32 ppm, 7.058 ppm로 가장 높은 소거능을 나타내었고 페놀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결과 역시 Ethyl acetate 674.13 mg GA/g, Ethyl acetate 232.5 mg GA/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항균 테스트 결과 황색포도상구균인 Staphylococcus aureus 에서 한인진의 Hexane 층은 모든 농도에서 13-18 mm의 Inhibition zone을 보이며 메탄올 추출물에서 16-10 mm 나타냈고, Chloroform층에서도 1,000 ppm에서 15 mm로 나타났다. 염증세포인 RAW 264.7 세포에서 염증억제효과 및 독성을 확인 한 결과 물층을 제외하고 나머지 분획층에서는 염증유발 물질인 LPS를 처리한 군보다 2-9배 이상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Ethyl acetate층에서 대조군 보다 9배 이상의 높은 항염증효과를 보였으나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녹차 결명자 추출물의 교정용 브라켓과 치면 사이의 경계부에서 분리된 mutans streptococci에 대한 항균작용 (Effect of Leaf-Extract from Camellia sinensis and Seed-Extract from Casia tora on Viability of Mutans Streptococci isolated from the interface between orthodontic brackets and tooth surfaces)

  • 임성훈;서정순;윤영주;김광원;유소영;김화숙;국중기;이병래;차종희;박재윤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81-389
    • /
    • 2003
  • 본 연구는 치아우식증에 관련된 Hutans streptococci 표준균주 및 임상분리 균주의 성장억제를 유도할 수 있는 천연생약추출물을 검색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녹차추출물은 CHMC-2032를 사용하였으며, 결명자 추출물은 $50\%$ 에탄올을 이용하여얻었다. 이들 추출물의 Mutans streptococci표준균주 및 교정환자들에서 브라켓과 치면 사이의 경계부에서 분리된 각각 10 균주씩의 S. mutans 및 S. sobrinus에 대한 최소성장억제농도를 액체배지 희석법으로 구하였다. 그 결과 CHMC-2032의 S. mutans 및 S. sobrinus의 표준 균주, S. sobrinus의 대부분 임상분리 균주에 대한 최소성장 억제농도는 5mg/ml이었다 그러나 결명자 추출물에 의한 S. mutans 및 S. sobrinus에 대한 세균 성장억제 효과는 미미하였다. 본 연구 결과 치아우식증의 예방적 측면에서 결명자차보다는 녹차를 마시는 것이 유리하며, CHMC-2032를 이용하여 구강양치용액을 제조하여 사용할 경우 교정환자를 포함하여 대부분의 사람에게서 치아우식증 예방 효과가 있으리고 추정된다.

Effect of (-)-epigallocatechin-3-gallate on maintaining the periodontal ligament cell viability of avulsed teeth: a preliminary study

  • Jung, Im-Hee;Yun, Jeong-Ho;Cho, Ah-Ran;Kim, Chang-Sung;Chung, Won-Gyun;Choi, Seong-Ho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1권1호
    • /
    • pp.10-16
    • /
    • 2011
  • Purpose: Avulsed tooth can be completely recovered, if sound periodontal ligament (PDL) of tooth is maintained. Although a lot of storage solutions have been explored for the better storage of avulsed tooth, there is a shortcoming that the preservation time is much short. On the other hand, there has been studies that (-)-epigallocatechin-3-gallate (EGCG), the most abundant polyphenol in green tea, which is related to the anti inflammatory, antioxygenic, and antibacterial effects, allows the successful preservations of tissues and cells.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EGCG on avulsed-teeth preservation of Beagle dogs for a period of time. Methods: The atraumatically extracted teeth of Beagle dogs were washed and preserved with 0/10/$100\;{\mu}M$ of EGCG at the time of immediate, period 1 (4 days in EGCG-contained media and additional 1 day in EGCG-free media), period 2 (8 days in EGCG-contained media and additional 2 days in EGCG-free media) and period 3 (12 days in EGCG-contained media and additional 2 days in EGCG-free media). Then, the cell viabilities of preserved teeth was calculated by dividing optical density (OD) of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with OD of eosin assay to eliminate the measurement errors caused by the different tissue volumes. Results: From the results, the immediately analyzed group presented the highest cell viability, and the rate of living cells on teeth surface decreased dependent on the preservation period. However, the $100\;{\mu}M$ of EGCG-treated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ell activity than EGCG-free groups throughout preservation periods. Conclusions: Our findings showed that $100\;{\mu}M$ EGCG could maintain PDL cell viability of extracted tooth. These results suggest that although EGCG could not be a perfect additive for tooth preservation, it is able to postpone the period of tooth storage. However, further in-depth studies are required for more plausible use of EGCG.

산마늘 생즙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y of Fresh Juice of Wild-Garlic, Allium victorialis L.)

  • 권정은;백운학;정인창;손호용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41-54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고급 산나물로 수요가 증가되고 있는 울릉도 산마늘의 생리활성을 확인하고, 이를 이용한 가공식품 개발을 위해 산마늘 생즙 및 열처리 생즙의 이화학적인 특성과 다양한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산마늘은 우수한 영양성분을 가지며, 산마늘 생즙은 $4^{\circ}C$ 저장시 10일 이상 색차변화 없이 안정하게 유지되었다. 그러나 산마늘 생즙의 가열 처리시에는 brix, 환원당, total flavonoid의 변화는 미미한 반면, 총당은 25%, total polyphenol은 55% 감소하였으며, pH 감소와 함께 산도가 2배 증가되었다. 산마늘 생즙은 우수한 DPPH 소거능과 환원력을 나타내며 강력한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나, 가열처리된 산마늘 생즙은 미약한 환원력과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무처리 및 가열처리된 산마늘 생즙은 항혈전 활성과 $\alpha$-amylase 및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은 매우 미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산마늘이 우수한 항산화력 및 항균력을 가지며, 관련 활성성분은 휘발성, 또는 열에 약한 성분으로 추측되었다. 따라서 산마늘을 이용한 가공식품 개발은 비열 처리공정의 제품으로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