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skin wrinkle

검색결과 311건 처리시간 0.023초

CCD-986sk 세포내에서의 노랑어리연꽃 추출물 및 분획물의 주름개선 효과 (Anti-wrinkle effects of extracts and solvent fractions from Nymphoides peltata on CCD-986sk)

  • 김유아;김동희;유재묘;박채빈;박태순;박병준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4호
    • /
    • pp.357-362
    • /
    • 2017
  • 본 연구는 새로운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해 노랑어리연꽃 추출물 및 분획물을 이용하여 섬유아세포내에서의 항노화 효과를 확인 하고자 하였다. 노랑어리연꽃 추출물 및 분획물의 CCD-986sk 세포를 이용하여 항노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EA 분획물이 UVB에 의해 증가된 ROS 발현을 50% 이상 억제하였으며, BuOH 분획물의 경우 pro-collagen mRNA 발현을 $25{\mu}g/mL$에서 50% 이상 발현을 증가시켰다. EA 분획물과 BuOH 분획물 모두 MMP-1 protein과 mRNA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시켰으며, BuOH 분획물의 경우 $10{\mu}g/mL$에서 40% 이상의 MMP-1 mRNA 발현 억제율을 확인하였다. 이는 노화 인자인 활성산소종의 생성 억제와 주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콜라겐의 합성 및 분해억제를 통해 항산화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특히 EA 와 BuOH 분획물의 높은 효능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노랑어리연꽃 EA 및 BuOH 분획물은 화장품 분야에서 항노화 소재로서의 활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개에서 Histamine으로 유발한 피부소양증에 대한 보툴리늄 톡신의 항소양 효과 (Anti-pruritic Effect of Botulinum Toxin Type A against Histamine-induced Pruritus on Canine Skin)

  • 정병한;김태완;이근우;오태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73-279
    • /
    • 2011
  • 보툴리늄 톡신(BoNT/A)은 사람에서 안전하고 효과적인 주름치료제로 적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주름치료효과 이외의 효능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개 피부에 히스타민을 피하 주입하여 소양증을 유발한 다음 보툴리늄 톡신의 항소양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총 5 마리의 비글을 이용하여 우측 배측 흉부 피부에 보툴리늄 톡신 0.05 ml (5unit)를 주입한 처치부위와 좌측 배측 흉부 피부에 0.05 ml의 생리식염수를 주입한 대조부위를 비교하였다. 보툴리늄 톡신 투여 전, 투여 후 1, 3, 7일에 Histamine 을 피내주입하여 소양증을 유발하였다. 소양증의 정도, 팽진의 지름과 두께, 홍반수치 및 피부표면 온도를 측정하여 보툴리늄 톡신 주입 효과를 평가하였다. 소양증의 정도는 처치부위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 < 0.05) 팽진의 지름과 두께도 처치부위에서 유의하게 감소했다(p < 0.05). 홍반수치는 최초 히스타민을 피내투여한 직후에 처치부위와 대조부위에서 모두 증가했으나 대조부위에 비해서 처치부위에서 적게 증가하였다. 피부표면온도는 처치부위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 0.05). 본 연구결과 보툴리늄 톡신은 개 피부에서 히스타민에 의한 소양증에 대한 항소양 효과를 보였으며 임상적으로 극심한 국소 소양증을 보이는 피부질환에 대해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산양삼(Panax ginseng C.A. Meyer) 지상부위의 미용 식품 활성 (Beauty food activities of wild-cultivated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ground part)

  • 김명욱;이은호;김예진;박태순;조영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1권1호
    • /
    • pp.33-3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산양삼 지상부(줄기, 잎)의 동결건조물 함량을 달리하여 열수 추출물과 70%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고,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활성을 측정하여 미용 식품의 원료로 사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산양삼 지상부열수, 에탄올 추출물은 $200{\mu}g/mL$ 농도에서 DPPH radical 저해율은 각각 16.69, 2.18%를 나타내었고, ABTS radical 저해율은 각각 4.04, 3.25%를 나타내었다. $200{\mu}g/mL$ 농도에서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PF가 각각 1.06, 1.09 PF를 나타내었고, TBARs는 모두 96% 정도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PF와 TBARs가 DPPH와 ABTS 보다 우수한 활성을 나타낸 것을 통하여 산양삼 지상부 추출물은 지용성 물질에 대한 항산화능이 더 뛰어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elastase와 collagenase 저해율은 $200{\mu}g/mL$ 농도에서 각각 15.71, 32.26% 그리고 20.43, 86.74%를 나타내었다. Tyrosinase 저해율은 $200{\mu}g/mL$의 농도에서 각각 10.97, 52.39%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산양삼 지상부 추출물의 주름 개선 효과가 특히나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피부의 주름을 개선시키는 새로운 미용 식품의 원료로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채취 시기 및 추출 용매에 따른 환삼덩굴의 항산화 및 기능성 화장품 활성 (Antioxidation and Functional Cosmetics Activity of Humulus japonicus Sieboid & Zucc. According to Collection Time and Extraction Solvent)

  • 채정우;조희선;염현지;이진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2호
    • /
    • pp.254-265
    • /
    • 2021
  • 채취 시기 및 추출 용매에 따른 환삼덩굴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 6월에 채취한 환삼덩굴의 열수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41.09 mg/g GAE, 같은 시기에 채취한 70% 에탄올 추출물은 56.64 mg/g GAE를 나타내었으며, 8월에 채취하여 추출한 열수 추출물은 31.56 mg/g GAE, 에탄올 추출물은 31.81 mg/g GAE의 함량을 나타내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 모두 6월에 채취하여 추출한 것이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채취 시기가 같은 경우 열수 추출물보다 70%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공여능, SOD 유사활성, ABTS radical 소거능 측정을 통하여 환삼덩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모든 실험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난 6월 채취 70%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가장 높았다. 또한 8월 채취 추출물의 경우 총 폴리페놀 함량은 비슷하였으나 모든 실험에서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높게 나타나 항산화에 관여하는 물질은 70% 에탄올로 추출하였을 때 활성이 높게 유지된다고 판단되었다. 미백활성 평가를 위한 tyrosinase 저해활성 측정 결과 환삼덩굴 열수 추출물은 6월 채취 추출물은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8월 채취 추출물은 최고농도에서의 활성이 16.18%로 나타났다.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최고농도의 활성이 6월 채취 추출물은 8.07%, 8월 추출물이 14.7%로 나타나 미백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은 6월보다는 8월에 함량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피부 주름 생성 방지 활성 평가를 위한 elastase 저해활성의 경우 에탄올 추출물은 매우 미미한 활성이 나타났으며 열수 추출물은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모든 추출물에서 수렴활성이 나타나지 않아 환삼덩굴을 주름 생성 방지를 위한 기능성 원료로 사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된다. 총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6월 채취 환삼덩굴 에탄올 추출물의 세포독성(MTT assay) 결과, 저농도인 5~10 ㎍/mL에서는 세포증식효과를 나타내었으나 50 ㎍/mL에서 64.13%의 세포 생존율을 보여 강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NO 생성 억제 능력의 경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Raw 264.7의 NO 생성이 억제되어 1,000 ㎍/mL에서의 NO 생성량이 40.7%까지 감소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가 세포 독성에 의한 것인지, 추출물의 효능에 의한 것인지는 추가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골담초(Caragana sinica) 추출물의 생리활성 탐색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y of Caragana sinica Extracts)

  • 전영숙;조분성;박혜진;강선애;조영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9호
    • /
    • pp.1211-1219
    • /
    • 2012
  • 골담초에 함유된 페놀성 물질은 70%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18시간 추출하였을 때 가장 많이 용출되었다. 항산화 효과 중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는 꽃과 잎 모두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74%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을 측정한 결과, 꽃의 경우 70~90% 에탄올 추출물에서 60% 이상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지용성 물질에 대한 항산화력으로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PF)를 측정한 결과,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1.2 이상의 PF를 나타내었다. 활성산소 중 지방산화를 일으키는 hydroxyl radical에 대한 골담초 추출물의 영향은 꽃의 물 추출물과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대조구보다 낮은 TBARS 값을 나타내었다. ACE에 대한 골담초 추출물의 저해활성은 꽃의 경우 물과 70% 에탄올 추출물 모두 80~99%의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고, Xoase 대한 저해활성은 꽃보다 잎 추출물의 저해활성이 높았다. 골담초 추출물의 주름개선과 미백효과를 확인한 결과 꽃과 잎 추출물 모두 페놀성 물질을 0.8 m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50% 이상의 elastase 저해활성과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40.24%로 가장 높은 tyrosin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고, 수렴효과는 같은 농도의 tannic acid보다 높은 수렴효과를 나타내었다.

호염 미생물(Haloarcula vallismortis) 용해물의 자외선유발 피부변화에 대한 효과 (Effect of Halophilic Bacterium, Haloarcula vallismortis, Extract on UV-induced Skin Change)

  • 김지형;신재영;황승진;김윤선;김유미;길소연;진무현;이상화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41-350
    • /
    • 2015
  • 피부는 외부 유해물질로부터 내부기관을 보호하는 장벽기능을 하는 대표적인 기관으로 자외선(ultraviolet radiation, UV), 중금속, 각종 산화 물질들과 같은 외부의 위협에 항상 노출되어 있어 손상을 받기 쉽다. 특히 자외선 B (UVB)는 진피의 상부까지 도달하여 화상이나 홍반과 같은 염증반응을 일으키며 멜라닌 생성을 촉진시켜 색소 침착을 유발한다. 지나친 자외선 B의 피부세포로의 유입은 각질세포 및 진피 섬유아세포의 DNA손상을 야기하고, 세포외기질의 합성을 방해하여 피부탄력감소, 주름생성, 진피 결합조직의 손상과 함께 피부장벽을 붕괴시켜 노화를 일으키며, 장기간 노출 시 심각한 피부 병변으로 이어져 피부세포 사멸 및 종양의 발생으로까지 이어진다. Haloarcula vallismortis는 사해로부터 분리 동정한 미생물로 호염성 고생물의 생장적 특징은 아직 자세히 연구된 바는 없다. 대게 10% 이상의 염도에서 자라는데 실제 생장염도는 평균 20 ~ 25% 염도에서 자란다. 염도가 높은 호수나 염전에서 주로 발견되기 때문에 강한 햇빛에 대한 방어기작이 존재한다. 그중 하나로 다른 ATP를 생성하기 위한 bacteriorhodopsin외에 halorhodopsin이라는 색소를 이용, 광자(photon)를 흡수하고 염화이온 채널을 개방시켜 생기는 전위차를 이용해 추가로 에너지를 생산한다. 또 carotenoid 색소로 인해 농도가 높을시 분홍색 또는 빨간색을 띄는 특징이 있는데 이것이 강한 자외선에 대한 방어기작을 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본 연구는 호염성 고세균이 자외선을 에너지 소스로 이용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방어하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이들의 피부각질세포에서 자외선에 의한 항염 효과 및 DNA 손상 방어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들을 천연 자외선 차단제의 소재로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Stratum Corneum Carbonylated Protein (SCCP)의 피부 생물학적 파라미터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tratum Corneum Carbonylated Protein (SCCP) and Skin Biophysical Parameters)

  • 이용직;남개원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31-138
    • /
    • 2019
  • Carbonylated proteins (CPs)은 단백질의 염기성 아미노산 잔기들과 지질 과산화 중 생성되는 알데히드 화합물과의 화학적 반응을 통하여 만들어진다. CP는 UVA와 청색 광선 영역의 빛을 흡수하여 흥분하며, CP의 감광 반응을 통해 superoxide anion radicals ($^{\cdot}O_2{^-}$)이 생성되고 각질층(Stratum corneum, SC)에서 reactive oxygen species (ROS) 생성을 통해 새로운 protein carbonylation이 진행되는 것이 알려졌다. 또한, superoxide anion radicals이 SC에서 CP를 생성하며 색상과 수분 기능을 포함한 피부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피부 각질층에 존재하는 stratum corneum carbonylated protein (SCCP)의 생성량과 피부 탄력 개선의 상관정도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46명의 건강한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8주간 피부임상실험을 진행하였다. 8주간 진행한 피부임상시험은 피험자를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은 아무것도 함유하지 않은 크림을 사용하고, 다른 그룹은 탄력개선 원료가 함유된 크림을 사용하였다. 임상시험 측정 항목은 DUB scanner를 이용한 진피 치밀도 측정, Primos를 이용한 주름 측정을 진행하였으며 탄력 측정은 dermal torque meter (DTM310)와 Balistometer (BLS780)를 통해 진행하였다. SCCP측정은 피험자의 뺨에서cyanoacrylate를 이용한 skin surface biopsy (SSB)방법을 이용하여 각질을 채취한 후, 비침습적인 검출 방법을 이용해 SCCP의 양을 조사하였다. 측정은 0주, 4주, 8주 총 3회에 걸쳐서 진행하였으며 각 주차의 측정값을 각각 분석하여 종합적인 결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SC에 존재하는 CP의 양은 피부 주름 및 피부 탄력성과 관련된 생물학적 인자의 수치가 개선됨에 따라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항노화 효과에 있어서 탄력 개선과 CP양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여, 차후 피부 항노화 시험방법에 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잠재적인 항노화제로 텔로머레이즈 활성화제, 서르튜언 활성화제, 세노릭틱스에 대한 최신 동향 (Recent Trends on Telomerase Activators, Sirtuin Activators, and Senolytics as a Potential Anti-aging Agent)

  • 김문무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9호
    • /
    • pp.819-825
    • /
    • 2020
  • 모든 생명체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생체 내에서 노화된 세포수가 축적되면서 피부주름 형성, 근육퇴화, 백내장 및 모발의 백발화 과정 같은 노화의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노화의 핵심적인 원인으로 알려진 세포노화는 세포가 외부 및 내부요인에 의하여 늙어서 결국 세포의 증식이 정지됨으로 생물체의 노화와 직접적으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로부터 세포노화의 원인이 텔로미어가 세포 분열에 따라 점차적으로 짧아짐으로, 텔로미어의 길이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것이다. 최근에는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히스톤 디아세틸레이즈 유전자가 효모에서 뿐만 아니라 예쁜 꼬마 선충 및 사람의 항노와 기전에 깊숙히 관여하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한편, 최근에는 늙은 세포가 노화 현상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발견하여 이러한 노화세포를 채내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젊은 세포의 증식을 촉진하여 노화를 지연 할 수 있다는 것이 보고되었다. 그러므로 향후 잠재적인 항노화제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텔로머레이즈 활성화제, 서르튜언 활성화제, 세노릭틱스에 대한 심층연구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고 판단되어, 최근에 각광 받고 있는 위와 관련된 항노화 후보물질에 대한 최근 연구에 대하여 기술한다.

Suppressive Effect of Fermented Angelica tenuissima Root Extract against Photoaging: Possible Involvement of Hemeoxygenase-1

  • Park, Yun-A;Lee, Sung Ryul;Lee, Jin Woo;Koo, Hyun Jung;Jang, Seon-A;Yun, Seung-Won;Kim, Hyun Ju;Woo, Jeong Suk;Park, Myung Rye;Kang, Se Chan;Kim, Youn Kyu;Sohn, Eun-Hw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8호
    • /
    • pp.1391-1400
    • /
    • 2018
  • Angelica tenuissima root has historically been used as a traditional medicine in Korea. Previous studies have identified the anti-melanogenic effects of the extract of A. tenuissima root fermented by Aspergillus oryzae (FA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tective effects of FAT against ultraviolet light B exposure (UVB; $30mJ/cm^2$) in HaCaT (human keratinocyte) or Hs68 (human foreskin fibroblast) skin cells. FAT treatment was able to stimulate wound healing rate at the basal condition. FAT also favored the maintenance and/or improvement of extracellular matrix impairment caused by UVB irradiation through: 1) upregulation of procollagen Type-1 synthesis and secretion; 2) suppression of MMP-1 and elastase expression. FAT was able to play a role in the attenuation of inflammatory responses caused by UVB irradiation via upregulation of photo-protective hemeoxygease-1 and sup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clooxygenase-2 expression. After further verification of the anti-photoaging potential of FAT, it could be utilized as an effective ingredient in anti-aging and anti-wrinkle cosmetics.

추출용매에 따른 단삼 추출물의 항노화 활성 (Effects of solvents on the anti-aging activity of Salvia miltiorrhiza extract)

  • 곽남;이지안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290-29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단삼 뿌리 추출물의 세포 안정성, 수렴 활성, NO 소거능, iNOS 단백질 발현량, 염증성 cytokine 분비, elastase 효소 저해능, type I pro-collagen 합성능 등을 조사하여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단삼 80% 에탄올추출물(SE)과 열수추출물(SW)을 대상으로 NHDF 및 RAW264.7 세포에서 0.05~0.5 mg/mL 농도 처리에 따른 독성을 보이지 않아 수렴, 염증, 주름 개선 효능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수렴활성 측정 결과 SE는 10 mg/mL에서 74.6%의 활성을 나타냈다. SE는 농도 의존적으로 LPS에 의해 유도된 NO, iNOS 단백질, TNF-α 및 IL-6 cytokine의 생성을 유의미하게 감소시켰다. 게다가 SE와 SW는 elastase 효소 활성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TNF-α에 의해 감소된 pro-collagen의 생성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단삼 에탄올추출물은 수렴제, 염증 관련 피부 질환, 주름 생성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천연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