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adipogenesis

검색결과 227건 처리시간 0.028초

뽕나무 열매 착즙 분말이 3T3-L1 지방세포의 염증 및 microRNA-132/143 조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ulberry fruit juice powder on inflammation and microRNA-132/143 regulation in 3T3-L1 adipocytes)

  • 이막순;김양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4권5호
    • /
    • pp.448-458
    • /
    • 2021
  • 본 연구는 뽕나무 열매 착즙 분말 (MJ)이 지방세포 분화과정에서 염증에 관여하는 유전자 발현 및 miR-132/143 조절에 미치는 효과에 중점을 두고 조사하였다. MJ는 3T3-L1 지방세포 분화 동안 지질축적이 억제되었고 PPAR-γ, CEBP-α 및 aP2와 같은 지방형성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였다. 또한 염증 조절 매개체인 TNF-α, IL-6, MCP-1 및 iNOS 유전자 발현이 MJ 처리에 의해 감소되었다. MJ의 지질 축적 억제 효과는 염증과 지방분화에 관여하는 miR-132/143의 발현 감소와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MJ는 염증을 동반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식품 소재로서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그러나 MJ의 주요 성분인 안토시아닌의 생체이용율은 1-2% 미만으로 추정되며 예상되는 표적 조직이나 혈류에서 미량 검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3].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생체 내 동물실험을 통한 다각적인 분석이 향후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65종 한약처방이 3T3-L1 지방전구세포의 지방 분화에 미치는 효능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Differentiation Effect of Adipogenesis in 3T3-L1 Preadipocyte by 65 Herbal Medicine Prescriptions)

  • 최혜민;유병우;김민주;김정옥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78-87
    • /
    • 2020
  • Objectives: To expand and provide information on the efficacy of herbal medicines, anti-obesity effects were evaluated. In many studies, plant-derived components with anti-obesity efficacies have been investigated for their potential inhibitory effects on 3T3-L1 preadipocyte cel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besity effects of 65 herbal medicine in 3T3-L1 preadipocyte cells. Methods: Preferentially, 3T3-L1 cells were treated with 65 herbal medicines (500 ㎍/mL) during differentiation for 8 days. Next, 3T3-L1 cells were treated with selected herbal medicines at concentrations ranging from 50 to 200 ㎍/mL during differentiation for 8 days. The accumulation of lipid droplets was determined by Oil Red O staining. The expressions of genes related to adipogenesis were measured by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Western blot analyses. Results: Among the 65 kinds of herbal medicines, 13 herbal medicines that been shown to be effective against the accumulation of lipid droplets were selected. Finally, selected Banhasasim-tang and Samhwangsasim-tang showed inhibitory activity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at 3T3-L1 preadipocytes without affecting cell toxicity. In addition, Banhasasim-tang and Samhwangsasim-tang significantly reduced the expression levels of several adipocyte marker genes including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γ and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α.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bility of Banhasasim-tang and Samhwangsasimtang has inhibited overall adipogenesis and lipid accumulation in the 3T3-L1 cells. Banhasasim-tang and Samhwangsasim-tang may be a promising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and related metabolic disorders.

천연 유래 6 종 혼합물의 지방세포 조절 효과 (The Regulatory Effect of Natural-Derived 6 Compounds Mixture on Adipocytes)

  • 김유나;장영수;박덕훈;정은선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31-342
    • /
    • 2022
  • 비만은 에너지의 섭취와 소비의 불균형으로 인해 지방조직이 과도하게 분화하여 과잉 축적이 되면서 발생하게 되는 대사질환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3T3-L1 지방세포를 이용해 천연 유래 6 종 혼합물인 SliMax의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SliMax는 지방분화 단계에서 후기 분화를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진 PPARγ와 C/EBPα의 발현 억제를 통해 지방분화를 억제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지방세포 분화 유도 후 지방세포 분해 과정에서 SliMax는 지방분해 관련 단백질인 ATGL과 HSL 발현 증가를 통해 큰 사이즈의 단방성 지방구를 작은 사이즈의 수많은 다방성 지방구로 분해하였다. 마지막으로 갈색지방으로 유도하는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UCP-1의 발현과 미토콘드리아 양을 면역형광염색법으로 확인한 결과 SliMax가 지방세포의 UCP-1의 발현과 미토콘드리아 양을 증가시켰다. 결과를 종합해볼 때, 천연 유래 혼합물인 SliMax는 지방 분화억제와 지방분해 촉진을 통해 지방구의 형성을 억제하고, 열 생산과 에너지 소비와 관련된 갈색지방화 촉진 기능을 가져 항비만 소재로의 가능성을 가진다.

단백질 아르기닌 메틸전이효소 5(PRMT5)에 의한 3T3L-1 세포의 지방세포 분화 조절 (Protein Arginine Methyltransferase 5 (PRMT5) Regulates Adipogenesis of 3T3L-1 Cells)

  • 장민준;양지혜;김은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7호
    • /
    • pp.765-771
    • /
    • 2018
  • $PPAR{\gamma}$는 지방세포의 분화를 조절하는 핵심적인 전사 인자로서 이를 조절하는 후성유전학적 조절 기전이 비만억제 연구에서 중요하게 주목 받고 있다. 선행연구에서 CACUL1이 $PPAR{\gamma}$의 전사 활성 및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corepressor로서 작용함을 밝힌 바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CACUL1의 새로운 결합 단백질로 발굴된 protein arginine methyltransferase 5 (PRMT5)의 $PPAR{\gamma}$ 조절 기능을 분석하였다. PRMT5가 CACUL1과 결합함을 immunoprecipitation assay in vivo와 GST-pull down assay in vitro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Luciferase reporter assay 결과로 두 단백질이 상호 협력하여 $PPAR{\gamma}$의 전사 활성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PRMT5가 안정적으로 과발현 또는 knockdown되는 3T3-L1 세포주를 제작하여 지방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PRMT5가 3T3-L1세포의 지방세포 분화를 억제함을 증명하였다. 같은 맥락으로 PRMT5는 $PPAR{\gamma}$의 타겟 유전자인 Lpl과 aP2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RT-qPCR로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PRMT5이 CACUL1과 결합하여 $PPAR{\gamma}$의 전사 활성을 방해, 나아가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분자적 기전을 처음으로 밝혔다. 따라서, PRMT5 효소 활성의 조절은 비만 억제를 위한 약물 개발에 단서를 제공할 것이다.

유근피 추출물의 3T3-L1지방전구세포의 분화 억제 효능에 관한 연구 (Anti-adipogenic Activity of Cortex ulmi pumilae Extract in 3T3-L1 Preadipocytes)

  • 정현영;진수정;남수완;현숙경;김성구;김병우;권현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37-147
    • /
    • 2014
  • 유근피(Cortex ulmi pumilae)는 항산화, 항염증, 항균, 항암 등 다양한 생리활성이 보고되어 있으며, 뛰어난 소염효과로 예로부터 약재로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이용하여 유근피 추출물의 지방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과 그 기전을 검토하였다. 유근피 추출물을 분화유도제와 동시에 처리한 결과, 3T3-L1 지방전구세포의 세포질 내 triglyceride 생성을 농도의존적으로 감소시켰으며, 지방세포분화 관련 전사인자인 $C/EBP{\alpha}$, $C/EBP{\beta}$$PPAR{\gamma}$의 발현을 유의적으로 저하시켰다. 다음으로 유근피 추출물을 지방세포 분화 유도 단계별로 처리한 결과, 분화유도제와 동시에 처리한 경우 즉 분화 초기에 처리한 경우가 가장 효과적인 지방세포 분화 억제효능을 보였으며, 이 때 분화초기에 발현되는 $C/EBP{\beta}$의 발현량은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또한 유근피 추출물에 의해 mitotic clonal expansion 단계의 세포증식이 농도의존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세포주기분석을 통해 G1 arrest를 유발함으로써 증식이 억제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G1 arrest는 G1/S 전이 관련 단백질인 p21의 발현 증가, cyclin E의 발현 감소 및 Rb의 인산화 감소에 의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들로부터 유근피 추출물은 지방세포 분화 초기 단계에 작용하여 지방세포 분화 관련 전사인자의 발현을 억제하고 mitotic clonal expansion을 저해하여, 지방전구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는 항비만 효능을 가지는 천연소재임을 확인하였으며,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이를 활용한 지속적인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그 가치가 매우 높을 것이라 생각된다.

곤달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Adipogenic Effect of Ligularia stenocephala Extract)

  • 서동연;천원영;김영화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292-1298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nd anti-adipogenic activities of Ligularia stenocephala (L. stenocephala) extract. The contents of the total polyphenol of the extract was 55.950 mg GAE/g residue. Antioxidant activities of L. stenocephala were evaluated by free radical scavenging ability and a reducing power test.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and ${\alpha}$-${\alpha}$-diphenyl-${\beta}$-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extract were approximately 90% and 70%, respectively. Reducing power of the extract was 258.833 mg TE/g residue. The anti-adipogenic activity of L. stenocephala extract was examined in 3T3-L1 cells. Dur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the 3T3-L1 cells were treated both with and without the extract. L. stenocephala extract suppressed the lipid accumulat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 the 3T3-L1 cells. The L. stenocephala extract inhibited the expression of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gamma}$ ($PPAR{\gamma}$) and adipocyte protein 2 (aP2) proteins, compared with control adipocyt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 stenocephala could be regarded as a potential source natural antioxidant and an anti-obesity agent.

Lactobacillus rhamnosus BHN-LAB 76로 발효한 흰목이버섯 (Tremella fuciformis Berk) 추출물의 항비만 및 항당뇨 효과 (Anti-obesity and Anti-diabetic Effects of the Fermented Ethanol Extracts from White Jelly Fungus (Tremella fuciformis Berk) with Lactobacillus rhamnosus BHN-LAB 76)

  • 윤여초;김병혁;김중규;이준형;박예은;박혜숙;황학수;권기석;이중복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323-331
    • /
    • 2019
  • 흰목이버섯(Tremella fuciformis Berk.; TF)은 흰목이과에 속하는 버섯으로 한국, 중국 및 열대지방에 분포한다. 흰목이버섯은 아시아 전통 의학에서 고혈압, 노화, 암 및 동맥 경화를 예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L. rhamnosus BHN-LAB 76로 발효된 흰목이버섯 추출물의 항 당뇨 효능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발효된 흰목이버섯 추출물은 발효하지 않은 추출물에 비해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을 증가시키고, 3T3-L1 전지방 세포에서의 지방세포 분화 유도를 통한 지방구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발효된 흰목이버섯은 지방 및 세포 분화 유도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AMPK, Akt의 유전자 발현을 촉진하고, JNK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통해 지방생성억제 및 항 당뇨 활성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L. rhamnosus BHN-LAB 76으로 발효한 흰목이버섯 추출물은 항비만 및 항당뇨 기능성 소재 및 식품 개발로의 활용이 가능할 수 있음을 제안한다.

β-catenin protein utilized by Tumour necrosis factor-α in porcine preadipocytes to suppress differentiation

  • Luo, Xiao;Li, Hui-Xia;Liu, Rong-Xin;Wu, Zong-Song;Yang, Ying-Juan;Yang, Gong-She
    • BMB Reports
    • /
    • 제42권6호
    • /
    • pp.338-343
    • /
    • 2009
  • The Wnt/$\beta$-catenin signaling pathway alters adipocyte differentiation by inhibiting adipogenic gene expression. $\beta$-catenin plays a central role in the Wnt/$\beta$-catenin signaling pathway. In this study, we revealed that tumou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a potential negative regulator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inhibits porcine adipogenesis through activation of the Wnt/$\beta$-catenin signaling pathway. Under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TNF-$\alpha$, the intracellular $\beta$-catenin protein was stabilized. Thus, the intracellular lipid accumulation of porcine preadipocyte was suppressed and the expression of important adipocyte marker genes, including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gamma$ (PPAR$\gamma$) and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alpha$ (C/EBP$\alpha$), were inhibited. However, a loss of $\beta$-catenin in porcine preadipocytes enhanced the adipogenic differentiation and attenuated TNF-$\alpha$ induced anti-adipogenesis. Taken together, this study indicated that TNF-$\alpha$ inhibits adipogenesis through stabilization of $\beta$-catenin protein in porcine preadipocytes.

Pear pomace water extract inhibits adipogenesis and induces apoptosis in 3T3-L1 adipocytes

  • Rhyu, Jin;Kim, Min Sook;You, Mi-Kyoung;Bang, Mi-Ae;Kim, Hyeon-A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8권1호
    • /
    • pp.33-39
    • /
    • 2014
  • Obesity occurs when a person's calorie intake exceeds the amount of energy burns, which may lead to pathologic growth of adipocytes and the accumulation of fat in the tissues. In this study, the effect and mechanism of pear pomace extracts on 3T3-L1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apoptosis of mature adipocytes wer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ear pomace extract on cell viability and the anti-adipogenic and proapoptotic effects were investigated via MTT assay, Oil red O staining, western blot analysis and apoptosis assay. 3T3-L1 preadipocytes were stimulated with DMEM containing 10% FBS, 0.5 mM 3-isobutyl-1-methylxanthine (IBMX), $5{\mu}g/ml$ insulin and $1{\mu}M$ dexamethasone for differentiation to adipocytes. 3T3-L1 cells were cultured with PBS or water extract of pear pomace. Water extract of pear pomace effectively inhibited lipid accumulations and expressions of PPAR-${\gamma}$ and $C/EBP{\alpha}$ in 3T3-L1 cells. It also increased expression of p-AMPK and decreased the expression of SREBP-1c and FAS in 3T3-L1 cells. The induction of apoptosis was observed in 3T3-L1 cells treated with pear poma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ear pomace water extract inhibits adipogenesis and induces apoptosis of adipocytes and thus can be used as a potential therapeutic substance as part of prevention or treatment strategy for obesity.

차전초의 에탄올추출물이 3T3-L1 지방세포의 지방축적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thanol extract of Plantago asiatica L. controls intracellular fat accumulation and lipid metabolism in 3T3-L1 Adipocytes)

  • 전서영;박지영;신인순;김성옥;안희덕;김미려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77-82
    • /
    • 2014
  • Objectives : The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Plantago asiatica L. were investgated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lipopogenesis, lipolysis and apoptosis using differnentiated 3T3-L1 adipocytes. Methods : Plantago asiatica L. was extracted with ethanol (CCE). We carried on MTT assay for cell proliferation, Oil Red O staining for determination of cell differentiation and intracelluar adipogenesis. TUNEL staining assay for cell apoptosis, and Western blot analysis for measurement of pAMPK and pACC, $C/EBP{\alpha}$, $PPAR{\gamma}$ protein expressions were performed. Results : The addition of CCE up to 0.2 mg/ml into cell culture media showed no cytotoxicity. Treatment of 0.2 mg/ml CCE significantly inhibited differentiation in 3T3-L1 preadipocytes. Lipid accumulation of the CCE treated cells was de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Induction of cell apoptosis was increased in CCE treated cells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AMPK and ACC levels of the cells with 0.2 mg/ml CCE were led to phosphorylation and also expressions of $C/EBP{\alpha}$ and $PPAR{\gamma}$, as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were suppressed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Conclusions :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provide evidence that CCE has a regulatory role in lipid metabolism that is related to differentiation into adipocytes, adipogenesis and apopt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