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ero-posterior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47초

자연 두부 위치 및 안정위에서 한국 성인 환자 골격의 전.후 관계 결정 (Assessment of antero-posterior skeletal relationships in adult Korean patients in the natural head position and centric relation)

  • 안장훈;배광학;박영주;홍윤기;남정훈;김미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421-431
    • /
    • 2010
  • SN 기준선과 FH 기준선이 안모의 심미에 종종 맞지 않아서 모든 치열 교정 및 악교정 수술 증례를 이 기준선을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정확히 진단하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안정위에서 자연 두부 위치의 개인내 재현성을 확인하고 진성 수평선에 대해 SN 기준선과 FH 기준선의 개인간 다양성을 증명하는 것이다. 그러고, 상기 두 연구를 바탕으로 Na 기준 진수선에서 A점 및 B점까지의 거리가 SNA 및 SNB 각도와 상관 관계가 있는지 여부를 조사하는 것이다. 부정교합 및 악골의 부조화를 치료받기 위해 강남성심병원과 한강성심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116 명의 환자(남자 23명, 여자 93명)를 조사하였다. 중심위 왁스 바이트는 모든 대상들로부터 채득하였고 1주일 간격으로 자연 두부 위치와 중심위 상태에서 모든 대상자들의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2번 촬영하였다. 3개의 변수에서 위치 선정의 방법 오류는 다른 연구에 비해 낮은 수치를 보였다. 그리고 6개의 변수에서 군내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자연두부 위치의 개인간 재현성을 증명하였다 (p < 0.001). 각 환자에서 진성 수평선에 대한 FH 기준선간의 각도는 통계적으로 기준치 0도와 다르지 않았다 (p > 0.05). 하지만 임상적으로 다양한 수치를 보였다 (SD: $3.89^{\circ}$). 반면 각 에서 진성 수평선에 대한 SN 기준선간의 각도는 기준치 7도와 매우 다르게 나타났다 (p < 0.05). Na 기준 진수선에서 A점 및 B점까지의 거리와 SNA 및 SNB 각도와의 피어슨 상관 계수에서 유의하지만 매우 낮은 수치를 보였다 (p < 0.01). 이에 자연 두부 위치는 치열 교정 환자 및 악교정 수술 환자의 진단을 위해 재현적이고 믿을 만한 위치이며 자연두부 위치 및 중심위 상태에서 Na 기준 진수선은 SN과 FH기준선을 대신하여 한국인 성인 환자에서 상악쿨과 하악골의 전후 관계를 결정하는데 매우 유용한 기준선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악교정 수술 후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하악운동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DIBULAR MOVEMENT CHANGES AFTER ORTHOGNATHIC SURGERY IN SKELETAL CLASS III PATIENTS)

  • 남동석;서정훈;양원식;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73-282
    • /
    • 1997
  • 본 연구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악교정 수술 전후의 하악운동 양상을 관찰하여 수술에 의한 하악운동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서울대학교병원 교정과에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받고 수술 전 교정치료를 받은 후, 동 병원 악안면구강외과에서 악교정 수술을 시행한 20명(남;9명, 여;11명)을 대상으로 수술 직전과 수술 2-7개월 후에 Sirognathograph와 BioPak EGN을 이용하여 최대 개폐구 운동과 시상면, 전두면, 수평면에서의 하악한계운동을 기록하고 21개의 항목을 계측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수술 후에 가장 큰 변화를 보인 항목은 시상면상 전방 운동각도로서, 수술 전 $17.4^{\circ}$ 에서 수술 후 $38.8^{\circ}$ 로 증가하였다. 또한 전치 유도가 형성됨에 따라 전방운동 궤적도 일직선에서 상악 절치의 형태에 따른 곡선으로 변하였다. 2. 수술 전후를 비교할 때 p<0.01 수준에서 유의성을 보인 항목들은 최대 개폐구 운동시 최대 개구량과 최대 전후방 운동량, 시상면상 최대 개구량, 전두면상 좌측방 운동각도의 4항목이었다. 3. 수술 전후를 비교할 때 p<0.05 수준에서 유의성을 보인 항목들은 전두면상 최대 좌우 운동폭, 수평면상 최대 우측방 운동거리, 최대 좌측방 운동각의 3항목이었다. 4. 최대 개폐구 운동시 최대 개구량과 최대 전후방 운동량은 수술 후 측정시간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p<0.05). 즉, 2, 3개월군에서보다 5, 6, 7개월군에서 더 많은 운동량 회복을 나타내었다. 5. 수술 전 불규칙하던 개폐구시 운동 궤적은 수술 후 개구로와 폐구로가 일치하며 부드러운 곡선을 이루었는데, 이는 악교정 수술에 의해 교합장애가 제거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슬괵건 및 LA나사를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 골터널의 확장 (Widening of Bony Tunnel after ACL Reconstruction Using Hamstring Tendon with Ligament Anchor(LA) Screw)

  • 송은규;윤택림;정종욱;정광철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69-73
    • /
    • 2001
  • 목 적 : 대퇴부의 고정을 위해 새로이 고안된 Ligament Anchor(LA) 나사와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임상결과와 골터널의 확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슬괵건 4가닥과 LA 나사를 이용하여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최소 2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5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식건의 고정으로 대퇴골측은 LA나사를, 경골측은 생흡수성 간섭나사를 이용하였다 평균 추시기간은 28개월이었다. 임상적 결과로는 Lachmann 검사와 Lysholm 점수를 이용하였으며 방사선학적 결과로는 골터널의 확대정도와 $Telos^{\circledR}$ 기기(Telos stress device; Austin & Associates, Inc., Polston, US)를 이용한 전방 전위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건측과의 전방이완도 차이를 평가하였다. 결과 : Lysholm 점수는 술 전 평균 60에서 술 후 평균 94.0점으로 호전되었으며, 술 전 Lachmann 검사상 16예에서 경도의 양성, 24예에서 중등도, 18예에서 고도의 양성 소견을 보였으며, 술 후 Lachmann 검사상 50예는 음성이었으며, 8예에서만 경도의 양성소견을 보였다. $Telos^{\circledR}$ 기기를 이용한 전방전위 검사상 건측과의 차이는 술전 평균 12.9mm에서 최종 추시상 3.1mm로 호전되었다(p<0.05). 대퇴 터널은 전후방 방사선 사진상 수술직후 10.6mm에서 최종 추시상 12.7mm$(21.1\%)$로 확장되었으며, 측면 방사선 사진상 술 후 10.7mm에서 최종 추시상 12.4mm$(16.5\%)$로 확장되었다(p<0.05). 경골 터널은 전후방 방사선 사진상 술 후 9.8mm에서 최종 추시상 11.8mm$(20.7\%)$로 확장되었으며 측면 방사선 사진상 술 후 9.9mm에서 최종 추시상 11.7mm$(18.9\%)$로 확장되었다(p<0.05). 결론 : LA나사와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은 골터널의 확장이 적으며 임상 성적도 우수하여 슬관절의 전방 안정성을 회복하는데 좋은 이식물 및 내고정물이라 생각된다.

  • PDF

전 척추 전.후 방향 검사 시 AEC Mode와 Fix Mode에서 PC-Based Monte Carlo Program을 이용한 장기선량 및 유효선량 평가 (Evaluation of Organ and Effective Dose using A PC-Based Monte Carlo Program in AEC Mode and Fix Mode for the whole spine antero-posterior radiography)

  • 김정진;장성원;박장흠;이관섭;하동윤
    • 대한디지털의료영상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23-31
    • /
    • 2012
  • There are AEC mode and fix mode to exposure when the whole spine antero-posterior radiography is done by using DR equipment. This study compared the utility of fix mode to AEC mode, by evaluating organ dose and effective dose and by examining the quality of radiographic image. GE DEFINIUM 8000 and ART-200X Rando Phantom manufactured by Flukebiometical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Rando phantom was set in front of wall detector of X-rays equipment. AEC mode was set at 80kVp and Fix mode was set at 80kVp, 25mAs, 32mAs, 40mAs, and 50mAs. Whole spine AP image were aquired by combining C, T-L and L-S spine images obtained through 3 exposures. When obtaining C, T-L and L-S spine images, were checked for Air kerma (mGy) value calculated by UNFORS Xi meter attached at the phantom surface of center of radiation field. The effective and organ doses were compared by PCXMC program (PC-Based Monte Carlo Program). The quality of obtained radiographic image was evaluated visually by 3 radiologists using resolution chart. When the effective doses was calculated based on tissue weighting factor of ICRP-103, 1.278mSv was measured by AEC mode, and Fix mode measured 0.405mSv at 25mAs, 0.518mSv at 32mAs, 0.649mSv at 40mAs, and 0.810mSv at 50mAS. In addition, the organ dose measured with esposure at 25mAs by Fix mode was almost equivalent to the organ dose by AEC mode, at the esophagus, thyroid, oral mucosa, salivaly glands located at the cervical spine part, while the organ dose by Fix mode was in general lower than the organ dose by AEC mode at the other organs. When Fix mode at 32mAs, 40mAs, and 50mAs was compared to AEC mode for organ dose in 26 organs, AEC mode had higher measurement in 21 organs but not for than brain, trachea, thyroid, oral mucosa, and salivaly glands which are located at the cervical spine part. The image quality evaluated by resolution test chart was much higher with AEC mode than the quality with Fix mode at all exposure conditions. However, while the image quality of cervical spine exposured at 50mAs by Fix mode was lower than the quality of AEC mode, thoraco-lumbar spine and lumbo-sacral spine were calculated and the quality was similar to AEC mode. Scoliosis occurs mainly at thoraco-lumbar and lumbo-sacral spine, not at cervical spine. Compared to AEC mode, Using the appropriate protocol (80kVp, 50mAs) of fix mode for whole spine AP radiography was thought to be useful because the image quality of the thoraco-lumar and lumbo-sacral spine was similar on AEC mode, Also organ and effective doses can be decreased with Fix mode.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fix mode can be used properly with AEC mode for whole spine AP radiography when considering patient's body posture.

  • PDF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임상적 결과 (Clinical Results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Hamstring Tendon)

  • 송은규;이근배;신상규;김현종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1-25
    • /
    • 2002
  • 목적: 슬괵건과 대퇴부의고정을 위해새로이 고안된Ligament Anchor (LA) 나사를이용한전방십자인대재건술후 임상결과에평가하고자하였다. 대상및방법: 슬괵건4가닥과LA 나사를이용하여전방십자인대재건술후최소2년이상추시가능하였던 58예를대상으로하였다. 이식건의 고정으로 대퇴골측은 LA나사를, 경골측은 생흡수성 간섭나사를 이용하였다. 평균 추시기간은 28개월이었다. 임상적결과로는 Lachmann 검사와Lysholm 점수를이용하였으며 방사선학적 결과로는 Telos(R) 기기(Telos stress device; Austin & Associates, Inc., Polston, US)를 이용한 전방 전위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건측과의 전방이완도 차이와 골터널확대정도를평가하였다. 결과: Lysholm 점수는술전평균6 0점에서술후평균94.0점으로호전되었으며, 술전Lachmann 검사상 16예에서 경도의양성, 24예에서중등도, 18예에서 고도의 양성 소견을 보였으며, 술 후 Lachmann 검사상50예는 음성이었으며, 8예에서만 경도의 양성소견을 보였다. Telos(R) 기기를 이용한 전방전위 검사상 건측과의 차이는 술 전 평균12.9 mm에서 최종 추시상 3.1 mm로호전되었다(p<0.05). 대퇴터널은전후방방사선사진상수술직후10.6 mm에서최종추시상12.7 mm(21.1$\%$ )로확장되었으며, 측면방사선사진상술후10.7 mm에서최종추시상12.4 mm(16.5$\%$)로확장되었다(p<0.05). 경골터널은전후방방사선사진상술후9.8 mm에서최종추시상11.8 mm(20.7$\%$)로확장되었으며측면방사선사진상술후9.9 mm에서최종추시상11.7 mm(18.9$\%$)로확장되었다(p<0.05) .결론: 슬괵건과L A나사를이용한전방십자인대재건술은임상성적이우수하며, 슬관절전방동통이나골터널확장등의합병증이적어슬관절의전방안정성을회복하는데좋은이식물및내고정물이라생각된다.

  • PDF

하악전돌자에서 3차원영상을 이용한 하악지시상분할골절단술과 관련된 하악골의 해부학적 연구 (MORPHOLOGIC STUDY FOR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USING 3-D IMAGE IN MANDIBULAR PROGNATHISM)

  • 박충열;국민석;박홍주;오희균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7권4호
    • /
    • pp.350-359
    • /
    • 2005
  •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SSRO) has been commonly performed in the mandibular prognathism. The previous studies of the mandibular anatomy for SSRO have mostly been used in dry skull without consideration of age, sex or jaw relationship of patient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location of mandibular canal and the anatomy of ramus, such as the location of mandibular lingula and the ramal bone marrow, which were associated with SSRO procedures, in the patients with mandibular prognathism and normal young adults by using computerized tomographs(CT) and 3D images. The young adults at their twenties, who were considered to complete their skeletal growth, and seen in the Department of Orthodontics and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i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March 2000 and May 2003, were selected. This study was performed in 30 patients (15men, 15women) who were diagnosed as skeletal class I normal relationship, and another 30 patients (15men, 15women) who were diagnosed as skeletal class III relationship upon clinical examination and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 Class I group, the patients who had skeletal class Ⅰ normal relationship(n=30, 15men, 15women), and Class III group, the patients who had skeletal class III relationship(n=30, 15men, 15women). Facial CT was taken in all patients, and pure 3D mandibular model was constructed by V-works version 4.0. The occlusal plane was designed by three points, such as the mesiobuccal cusp of both mandibular 1st molar and the incisal edge of the right mandibular central incisor, and used as a reference plane. Distances between the tip of mandibular lingula and the occlusal plane, the sigmoid notch, the anterior and the posterior borders of ramus were measured. The height of ramal bone marrow from the occlusal plane and the distance between mid-point of mandibular canal and the buccal or lingual cortex of the mandible in the 1st and 2nd molars were measured by V-works version 4.0. Distance(Li-OP) between the occlusal plane and the tip of mandibular lingula of Class III Group was longer than that of Class I Group in men(p<0.01),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omen between both groups. Distance(Li-SN) between the sigmoid notch and the tip of mandibular ligula of Class III group was longer than that of Class I Group in men(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omen between both groups. Distance(Li-RA) between the anterior border of ramus and the tip of mandibular lingula of Class III Group was shorter than that of Class I Group in men and women(p<0.01). Distance(Li-RP) between the posterior border of ramus and the tip of mandibular lingula of Class III Group was slightly shorter than that of Class I Group in men(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omen between both groups. Distance(RA-RP) between the anterior and the posterior borders of ramus of Class III Group was shorter than that of Class I Group in men and women(p<0.01). Longer the distance(SN-AN) between the sigmoid notch and the antegonial notch was, longer the vertical ramal length above occlusal plane, higher the location of mandibular lingula, and shorter the antero-posterior ramal length were observed(p<0.01). Height of ramal bone marrow of Class III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Class I Group in men and women(p<0.01). Distance between mandibular canal and buccal cortex of Class III Group in 1st and 2nd lower molars was shorter than that of Class I Group in men and women (p<0.05 in 1st lower molar in men, p<0.01 in othe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are some anatomical differences between the normal occlusal patients and the mandibular prognathic patients, such as the anterior-posterior length of ramus, the height of ramal bone marrow, and the location of mandibular canal.

정상교합과 부정교합에서의 상${\cdot}$하악골과 제 1 대구치 위치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ABOUT THE POSITION OF UPPER AND LOWER JAWS, AND FIRST MOLARS IN NORMAL OCCLUSION AND ANGLE'S CLASS $I{\cdot}II{\cdot}III$ MALOCCLUSIONS)

  • 윤병모;안병근;이건주;김선해;박영주;한호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633-644
    • /
    • 1993
  • There has been so much controversies about the position of upper and lower jaws, and their first permanent molars in normal occlusion and Angle's class $I{\cdot}II{\cdot}III$ malocclusions.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osition of upper and lower jaws, and their first molars in normal occlusion and Angle's class $I{\cdot}II{\cdot}III$ malocclusions by lateral cephalometric analysis. The sample consisted of one hundred and twenty girls(thirty in each group) who had completed growth.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In class I malocclusion, both maxilla and mandible were slightly posterior position than normal occlusion, but they showed harmonious relationship. 2. In class II malocclusion, the mandible was greatly retruded, and the maxilla was also slightly retruded to the cranial base as compared with normal occlusion. 3. In class III malocclusion, the maxilla was significantly retruded to the cranial base,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mandibular position as compared with normal occlusion. 4. The maxillary first molar was located at posterior position in class II malocclusion, and anterior position in class III malocclusion to the cranium, so that the rotation of mandible was influenced by that. 5. The mandibular first molar showed constant relationship to the mandible in all four groups, but different position to the cranial base in direct proportion to the mandibular position. 6. On the treatment planning of class III malocclusion, it seems to be better to promote the mandibular horizontal growth by inhibiting the vertical growth of maxillary molar area, and on the treatment planning of class III malocclusion, it seems to be better to promote the antero-inferior growth of maxilla mi to promote the mandibular vertical growth by inducing the vertical growth of maxillary molar area.

  • PDF

하퇴 슬와부 및 전외측 구획을 침범한 지방육종 환자의 절제 및 재건술 - 증례보고 - (Resection and Reconstruction for Liposarcoma Involving Popliteal Fossa and Antero-lateral Compartment of Lower Leg - A Case Report -)

  • 원호현;홍윤석;전대근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9-74
    • /
    • 2009
  • 슬와부위의 연부조직육종은 사지의 연부조직 육종 중 5% 이하를 차지하는 드문 질환이다. 주요 혈관과 신경이 지나가는 슬와, 주와, 서혜부와 같은 구획외 공간에서는 사지 구제술 시 적절한 절제연을 얻으면서 절제를 시행하기가 쉽지 않으며 불가피하게 변연부 절제를 시행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슬와부 종양 절제시는 후방 도달법을 시행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크기가 작고 주변 조직에 유착이 없는 종양일 경우 후방 도달법으로 신경다발막과 혈관외막을 박리하여 종양을 쉽게 절제할 수 있다. 그러나 종양의 크기가 크고 주변조직으로 침범이 있는 경우에는 종양의 절제 자체가 어려울 수 있다. 이런 경우는 절단술의 상대적 적응증이며 종양이 전방 및 후방 구획을 동시에 침범하였을 경우에는 절단술이 불가피하다고 생각되는 경우가 많았다. 저자들은 전방 및 후방 구획을 동시에 침범한 연부조직종양을 골 외측으로 종괴를 형성한 골종양으로 간주하여 근위 경골과 비골을 종양과 함께 절제함으로써 적절한 절제연을 얻으면서 사지구제술이 가능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한국인에 있어서 알렌드로네이트 제제의 제형간 유효성 및 순응도 비교 (A Comparison of Effectiveness and Compliance among Alendronate Pharmaceutical Products in Koreans)

  • 윤지원;이병구;송영천;김재연;신혜영;이연홍;곽혜선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4-119
    • /
    • 2008
  • Alendronate is a bisphosphonate that selectively inhibits osteoclast-mediated bone resorption. Dosing convenience is an important element for the enhancement of patient compliance and the effective management of osteoporo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and compliance among alendronate pharmaceutical products (oral once-weekly alendronate 70 mg, daily alendronate 10 mg, and once-weekly alendronate 70 mg with Vitamin $D_3$ 2800 IU) in terms of the change in bone mineral density (BMD), biochemical markers, and compliance estimates.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was conducted in patients with osteoporosis who received alendronate 70 mg (Group 1), alendronate 10 mg (Group 2), or alendronate 70 mg with Vitamin D3 2800 IU (Group 3) at the endocrinology department of a hospital in Korea from Jan. 1, 1998 to Mar. 31, 2008. The primary endpoints were the increases in spine antero-posterior BMD T-score and femur trochanter BMD T-score, and the compliance of alendronate products. Secondary endpoints included changes in bone turnover-related biochemical markers including bone-specific alkaline phosphatase, urinary N-terminal telopeptides (NTX) and osteocalcin, and in serum vitamin $D_3$ concentration.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BMD increase among the three alendronate products; spine BMD T-score increased by $0.49{\pm}0.52$, $0.39{\pm}0.48$ and $0.50{\pm}0.41$, and femur trochanter BMD T-score by $0.29{\pm}0.42$, $0.21{\pm}0.53$ and $0.24{\pm}0.22$ in Group 1, 2 and 3, respectively. With respect to the increases in femur trochanter BMD T-score and the decreases in NTX and osteocalcin, 70 mg once-weekly group was remarkably superior to 10 mg daily group (p < 0.05) The compliance of 70 mg once-weekly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10 mg daily treatment group (p < 0.001). In conclusion, all three alendronate treatment groups were equivalent in effectiveness, and the compliance of 70 mg once-weekly group was better than that of 10 mg daily treatment group.

  • PDF

제 III급 부정교합 환자들의 각 치료법에 따른 측모두부방사선사진 계측치의 비교 (Cephalometric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ifferential treatment methods in Class III malocclusion;)

  • 백형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97-208
    • /
    • 1997
  • 제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치료를 위해서는 각 환자의 문제점들과 상태를 다양한 진단방법들을 동원하여 분석한 후에 가장 적절한 치료방법을 선택하여야 한다. 초진시에 치성 또는 기능성 또는 골격성인 원인들의 감별이 분명한 증례에서는 치료계획 수립이 큰 문제가 없지만, 감별이 모호한 증례에서는 많은 어려움을 경험하게 된다. 이에 저자는 각 치료방법을 적용하여 치료한 제III급 부정교합 환자 482명 (남;253,여 ;229)을 대상으로 치료방법에 따라 네 군으로 분류하였다. D군은 가철성 교정장치나 악기능장치를 사용하여 치료한 115명(남;64, 여;51), A군은 악정형장치로 치료한 210명 (남;111, 여 ;99), B군은 고정식 교정장치로 Camouflage 하여 치료한 63명 (남;30, 여 ;33), C군은 악교정 수술로 치료한 94명(남;48, 여;46)이었다. 초진시에 촬영한 측모두부방사선사진에서 전후방, 수직적, 치성, 악골의 형태학적인 계측항목들을 선정하여 각 군에서 측정한 계측치의 평균값 및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네 군간의 유의성 여부를 검정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NA각과 Nasion Perpendicular Plane에서 A점까지의 거리는 네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SNB, Wits, Nasion Perpendicular Plane에서 B점까지의 거리, Facial angle, Facial convexity, APDI의 값은 C,A,B,D군의 순이었지만 A군과 B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전안면고경, 후안면고경, 하전안면고경의 값이 남자에서는 C,B,A,D의 순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냈으며, 여자에서는 C와 B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게 나타났다. 3. 남자에서 전두개저에 대한 하악체 길이의 비율, 하악체의 길이와 Symphysis의 길이는 C,B,A,D순으로 나타났으나 B군과 A군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여자에서는 Ramus height, 하악체 길이, 전두개저에 대한 하악체 길이의 비율이 네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Symphysis의 길이는 C군과 B군 사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상악전치 치축은 C,B,A,D순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네 군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5. Nasolabial angle의 값은 C,A,B,D순으로 작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C와 A,B,D군 간에서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