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nual Peak Flow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4초

해외토사유출량 산정공식의 국내적용성 검토(II);MUSLE를 중심으로 (Applicability Examination of the RUSLE Sediment Yield Prediction Equation in Korea)

  • 손광익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4권3호
    • /
    • pp.209-216
    • /
    • 2001
  • 개발등 인위적 건설활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토사유출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국내에서는 주로 범용토양손실공식(USLE)을 주로 사용하여 왔으나 이 기법은 연평균 토사생산량을 산정하기위한 기법으로 개발되었다. 따라서 l본 연구에서는 단일호우에 대한 토사유출향 산정을 목적으로 개발된 수정범용토양손실공식(MUSLE)을 강우자료와 토사유출 실측값이 있는 국내 개발현장에 적용하여 실측치와 계산치를 비교함으로써 그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MUSLE 적용시 필요한 첨두유출량과 총유출량 산정기법 중 국내여건에 적합한 산정기법도 제시하였다. 또한 MUSLE 적용결과와 개정범용토양손실공식(RUSLE)을 이용한 토사유출량 산정 결과와도 비교하였다.

  • PDF

독립 호우사상에 대한 이변량 강우빈도해석 및 강우-유출해석 (Bivariate Rainfall Frequency Analysis and Rainfall-runoff Analysis for Independent Rainfall Events)

  • 박철순;유철상;전창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5권7호
    • /
    • pp.713-72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독립 호우사상을 이용하여 이변량 빈도해석 및 유출해석을 수행하고, 이를 기존 단변량 빈도해석 결과와 비교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규모가 다른 중랑천, 청계천, 우이천유역 등 세 유역에 대해 수행되었다. 유출모형으로 Clark 모형을 이용하였고, 유효우량은 SCS 방법을 적용하여 계산하였다. 강우의 시간분포 모형으로 교호블록 방법 및 Huff 방법을 적용하여 그 결과가 비교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연최대치 독립 호우사상계열의 이변량 빈도해석 결과, 지속기간이 짧은 경우에는 단변량 빈도해석 결과와의 차이가 매우 크나 지속기간이 길어짊에 따라서 그 차이가 현저히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지속기간이 짧은 경우, 단변량 빈도해석 결과가 이변량 빈도해석 결과보다 더욱 크게 나타났으나 특정 지속기간 이상부터 그 결과가 역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교호블록 시간분포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가 Huff 방법을 적용한 경우보다 더욱 큰 첨두유출량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교호블록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강우 지속기간의 증가에 따라서 첨두유출량이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강우 지속기간이 대략 24시간 정도 되었을 때 그 값이 거의 수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중랑천 유역에 대해 Huff 방법을 적용하여 유출해석을 수행한 결과에서는 이변량 설계강우를 적용한 경우가 단변량 설계강우를 적용한 경우보다 더욱 큰 홍수량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청계천 및 우이천 유역의 경우에는 이변량 설계강우를 적용한 경우보다 단변량 설계강우를 적용한 경우의 홍수량이 다소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호블록 방법을 적용한 경우에서는 모든 유역에 대해 이변량 설계강우를 적용한 경우가 단변량 설계강우를 적용한 경우보다 큰 홍수량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속도로 노면 강우유출 오염부하 원단위 산정 (Analysis of Unit Pollution Load on Highway runoff)

  • 강희만;이두진;배우근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5-68
    • /
    • 2012
  • Impervious surface increase due to urbanization, one of the leading causes of pavement increased the runoff coefficient, peak flow, and reducing the infiltration flow and thereby causing flooding and river erosion is occurring in aquatic ecosystems are known to impair. This study aimed to classify use type of detailed land into the road, reststop, tollgates and etc. focused on major domestic highway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rainfall runoff pollutants and to calculate applicable unit pollution load. Because of high runoff coefficient and short travel time to drainage. first flush occurred clearly. Average EMCs of runoff in the highway was investigated as TSS 108.47 mg / L, COD 28.16 mg / L, BOD 13.61 mg / L, TN 6.38 mg / L, TP 0.03 mg / L, Cu 118.17 ${\mu}g$ / L, Pb 345.3 ${\mu}g$ / L, Zn 349.47 ${\mu}g$ / L. Unit pollution loads calculated by detailed land use area of highways based on average annual rainfall, EMCs, applicable basin areas and etc. were 46.6 kg/km2/day of BOD, 1.4 kg/km2/day of TP, 8.81 kg / km2/day of TN and these were BOD 50.8%, TP 66.7%, TN 64.4%in comparison of the unit pollution loads which applies fallow land standards of the TMDL(Total Maximum Daily Load). It was considered that discharged loads can be excessively calculated in case highway non-point management plans based on unit pollution load of the current land standard.

The Production and Spatial Heterogeneity of Litterfall in the Mixed Broadleaved-Korean Pine Forest of Xiaoxing'an Mountains, China

  • Jin, Guangze;Zhao, Fengxia;Liu, Liang;Kim, Ji Hong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2호
    • /
    • pp.165-170
    • /
    • 2008
  • Litterfall has been recognized an important part of the forest ecosystem production, playing a major pathway in energy flow and nutrient cycling through the ecosystem.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quantity and components, temporal variation, and spatial heterogeneity of the litterfall in the mixed broadleaved-Korean pine forest.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9ha permanent experimental plot, of which on the center area, i.e. $150m{\times}150m$, the total number of 319 circular litterfall traps with the size of $0.5m^2$ were established to collect falling litterfal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nnual amount of litterfall was totalized 3,033.7 kg/ha, occupying broad-leaves of 39.3%, conifer-leaves of 29.5%, others of 18.5%, branches of 10.4%, and seeds of 2.3%. The peak point of the litterfall production was made at the end of September, proportionating 32.2% of total amount. The analysis of semivariogram revealed the existence of high spatial heterogeneity, calculated the scale of spatial heterogeneity ranged from 11.6 m to 29.1 m. The result of proportion (C/[Co+C]) showed that spatial heterogeneity of autocorrelation in total spatial heterogeneity were from 97.0% to 100%. The relatively heavy branches and other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tterfall production between the areas of canopy gap and closed canopy in the 95% probability level, but the other components did not show statistical differences.

도시화에 따른 유출과 비점원 오염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L-THIA/NPS (L-THIA/NPS to Assess the Impacts of Urbanization on Estimated Runoff and NPS Pollution)

  • Kyoung-Jae Lim;Bernard A. Engel;Young-Sug Kim;Joong-Dae Choi;Ki-Sung Kim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78-88
    • /
    • 2003
  • The land use changes from non-urban areas to urban areas lead to the increased impervious areas, consequently increased direct runoff and higher peak runoff. Urban areas have also been recognized as significant sources of Nonpoint Source (NPS) pollution, while agricultural activities have been known as the primary sources of NPS pollution. Many features of the L-THIA/NPS GIS, L-THIA/NPS WWW system have been enhanced to provide easy-to-use system. The L-THIA model was applied to the Little Eagle Creek (LEC) watershed in Indiana to evaluate the accuracy of the model. The L-THIA/NPS GIS estimated yearly direct runoff values match the direct runoff separated from U.S. Geological Survey stream flow data reasonably. The $R^2$ and Nash-Sutcliffe values are 0.67 and 0.60, respectively. The L-THIA estimated runoff volume and total nitrogen loading for each land use classification in the LEC watershed were computed. The estimated runoff volume and total nitrogen loading in the LEC watershed increased by 180% and 270% for the 20 years. Urbanized areas -"Commercial", "High Density Residential", and "Low Density Residential"- of the LEC watershed made up around 68% of the 1991 total land areas, however contributed more than 92% of average annual runoff and 86% of total nitrogen loading.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consider the impacts of land use change on hydrology and water quality in land use planning of urbanizing watershed.nning of urbanizing watershed.

Floods and Flood Warning in New Zealand

  • Doyle, Martin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20-25
    • /
    • 2012
  • New Zealand suffers from regular floods, these being the most common source of insurance claims for damage from natural hazard events in the country. This paper describes the origin and distribution of the largest floods in New Zealand, and describes the systems used to monitor and predict floods. In New Zealand, broad-scale heavy rainfall (and flooding), is the result of warm moist air flowing out from the tropics into the mid-latitudes. There is no monsoon in New Zealand. The terrain has a substantial influence on the distribution of rainfall, with the largest annual totals occurring near the South Island's Southern Alps, the highest mountains in the country. The orographic effect here is extreme, with 3km of elevation gained over a 20km distance from the coast. Across New Zealand, short duration high intensity rainfall from thunderstorms also causes flooding in urban areas and small catchments. Forecasts of severe weather are provided by the New Zealand MetService, a Government owned company. MetService uses global weather models and a number of limited-area weather models to provide warnings and data streams of predicted rainfall to local Councils. Flood monitoring, prediction and warning are carried out by 16 local Councils. All Councils collect their own rainfall and river flow data, and a variety of prediction methods are utilized. These range from experienced staff making intuitive decisions based on previous effects of heavy rain, to hydrological models linked to outputs from MetService weather prediction models. No operational hydrological models are linked to weather radar in New Zealand. Councils provide warnings to Civil Defence Emergency Management, and also directly to farmers and other occupiers of flood prone areas. Warnings are distributed by email, text message and automated voice systems. A nation-wide hydrological model is also operated by NIWA, a Government-owned research institute. It is linked to a single high resolution weather model which runs on a super computer. The NIWA model does not provide public forecasts. The rivers with the greatest flood flows are shown, and these are ranked in terms of peak specific discharge. It can be seen that of the largest floods occur on the West Coast of the South Island, and the greatest flows per unit area are also found in this location.

  • PDF

시뮬레이션을 통한 지열 히트펌프 시스템과 VRF 시스템의 에너지 성능비교 (Comparison of Energy Performance between Ground-Source Heat Pump System and Variable Refrigerant Flow(VRF) Systems using Simulation)

  • 손병후;임효재;강성재
    • 한국지열·수열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30-40
    • /
    • 2021
  • This paper compares the annual energy performance of four different types of air-conditioning systems in a medium-sized office building. Chiller and boiler, air-cooled VRF, ground-source VRF, and ground-source heat pump systems were selected as the systems to be compared. Specifically, the energy performance of the GSHP system and the ground-source VRF system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and also with conventional HVAC systems including the chiller and boiler system and air-cooled VRF system. In order to evaluate and compare the energy performances of four systems for the office building, EnergyPlus, a whole-building energy simulation program, was used. The EnergyPlus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both the GSHP and the ground-source VRF systems not only save more energy than the other two systems but also significantly reduce the electric peak demand. These make the GSHP and the VRF systems more desirable energy-efficient HVAC technologies for the utility companies and their client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impact of partial load performance of ground-source heat pump and ground-source VRF on the long-term (more than 20 years) performance of ground heat exchangers and entire systems.

실시간 댐 유입량 예측을 위한 인공신경망 모형의 활용성 평가 (Assessment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for real-time dam inflow prediction)

  • 허재영;배덕효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4권spc1호
    • /
    • pp.1131-114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댐 상류 유역을 대상으로 장기간 시단위 수문자료를 활용하여 실시간 댐 유입량 예측을 위한 인공신경망 모형의 선행 1, 3, 6시간별 예측유입량을 산정 및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각 유역별 15년의 시단위 강수 및 유입량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연도별 평균 유입량을 고려하여 데이터세트를 구성하였다. 각 대상유역에 대한 선행시간별 예측 성능은 NSE 0.57~0.79 이상으로써 비교적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유역면적이 클수록 이수기의 예측 성능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홍수기 예측성능과의 편차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선행 6시간 예측에 대해 입력자료의 과거길이에 따른 성능 변화는 홍수기보다 이수기에서 큰 차이를 보이며 과거길이가 증가할수록 이수기의 성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홍수 사상에 대한 예측 수문곡선은 관측과 비교하여 수문곡선의 형태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선행시간에 따라 첨두시간의 지연 및 유량의 과소 추정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천성산 밀밭늪의 강우 유출 및 지하수위 변동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Rainfall-Runoff and Groundwater Level Change at Milbot Bog located in Mt.Cheonseong)

  • 정유경;이상원;이헌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4호
    • /
    • pp.559-567
    • /
    • 2010
  • 본 연구는 천성산 밀밭늪 지역의 고속철 터널공사에 따른 지하수위의 변동과 강우 유출의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2004년 7월부터 2008년 5월에 걸쳐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밀밭늪에서 단위 강우로 인해 발생하는 직접유출량의 발생시각은 일반 산지유역에서보다 다소 늦어지는 경향이 있었으며, 또한 강우로 인해 발생하는 유출량의 장 단기수문곡선은 대부분의 경우 강우에 대응하여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았다. 연간 유출률은 2004년 0.26, 2005년 0.13, 2006년 0.16, 2007년 0.25, 2008년 0.27로 나타나 고속철 터널공사에 관계없이 매년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와 같이 밀밭늪에서 해마다 유출률이 증가함에 따라 향후 밀밭늪의 기능이 약화되어 점차 육화되어 갈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이들 각 연도의 유출률은 일반 산지유역의 유출률보다 크게 낮은 값으로 나타났으며, 4년간 평균 연간 유출률은 0.19으로 계산되었다. 단기수문곡선에서 직접유출의 감수계수는 0.89~0.97의 범위로 관측되어 일반 산지소유역의 값인 0.2~0.8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기저유출의 감수계수는 0.93~0.99의 범위로 관측되어 일반 산지 소유역의 값과 비슷하게 관측되었다. 밀밭늪의 지하수위는 강우강도에 비례하여 증감하였으며, 특히 지하수위가 정점(피크)에 도달한 후 하강 시에는 아주 완만하게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선행강우가 있었을 때의 지하수위의 변화는 비교적 높은 값을 유지하면서 증감하였다. 강우량이 많은 여름에 지하수위가 가장 높았으며, 겨울에는 아주 낮은 지하수위 값을 나타내었다. 연도별 평균 지하수위값은 2004년 -8.48 cm, 2005년 -14.60 cm, 2006년 -20.46 cm, 2007년 -20.11 cm, 2008년 -28.59 cm로 관측되어, 매년 평균 지하수위값이 점차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량검지기자료를 이용한 고속도로 설계시간계수 산정 연구 (Design Hourly Factor Estimation with Vehicle Detection System)

  • 백승걸;김범진;이정희;손영태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79-88
    • /
    • 2007
  • 설계시간교통량(DHV: Design Hourly Volume)은 도로설계의 기본이 되는 장래시간 교통량으로, 계획목표년도에 대상 도로구간을 통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한 시간 교통량을 말한다. 설계시간계수(K)는 "계획목표연도의 연평균 일교통량에 대한 설계시간 교통량의 비율(DHV/AADT)"로 정의되며, 30번째 시간 교통량을 이용할 경우 설계시간계수는 $K_{30}$으로 나타낸다. 적정규모의 도로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합리적인 교통량의 예측 및 도로의 지역특성과 교통특성을 반영한 설계시간계수(DHF : Design Hour Factor)를 산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를 지역적 특성별로 유형분류한 후, 서해안 고속도로 차량검지기자료의 연간 시간대별 교통량자료를 이용하여 고속도로 설계시간계수를 구하였다. 분석결과 정기교통량조사 자료와 차량검지기자료에서 연평균일교통량은 유사한 반면, 첨두시간교통량은 특히 관광부에서 상당한 차이를 나타냈다. 정기교통량조사 자료는 실제 시간교통량 특성을 반영하기가 어려워 정기교통량조사 자료를 이용한 평균설계시간계수는 기존 지침이나 연구에서 제시되었던 결과와 다르게 산출되었으며, 기존 지침과 상반되게 도시부가 지방부와 관광부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반면 차량검지기자료를 이용하여 구한 설계시간계수는 기존 지침에서 제시되고 있는 설계시간계수와 비교하여 도시부는 유사하게, 지방부는 약간 높게 산출되었다. 따라서 서해안고속도로에 대한 분석결과만을 이용하여 해석할 때 정기교통량 자료를 이용하는 것보다 차량검지기 자료를 이용하여 산정한 설계시간계수가 기존 관련지침에 제시된 값들과 비교적 유사하며, 합리적인 결과를 도출하여 신뢰성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