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guilliformes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 제주도에서 채집된 갯물뱀(뱀장어목: 바다뱀과) 엽상자어(Leptocephalus)의 형태 및 분자동정 (Molecular and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of a Muraenichthys gymnopterus (Ophichthidae: Anguilliformes) Leptocephalus Collected on Jeju island, Korea)

  • 지환성;김진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507-512
    • /
    • 2012
  • One leptocephalus (TL 59.9 mm) from the family Ophichthidae collected from Jeju Island, Korea, was identified using morphological and molecular methods. Our ophichthid leptocephalus was identified as belonging to the genus Muraenichthys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s: 157 myomeres; the origin of the dorsal fin located a little in front of the anus; a distinct melanophore present on the opercle; and six gut swellings present. An analysis of 886 base pairs of the 12S rRNA mtDNA sequences showed that our leptocephalus must be Muraenichthys gymnopterus, because its sequences were concordant with those of an adult M. gymnopterus (d=0.001) and next to those of Muraenichthys sp. leptocephalus (d=0.034). Here, we are the first to describ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 gymnopterus leptocephalus.

한국산 Synaphobranchidae과 어류 1 미기록종, Dysomma anguillare

  • 김용호;이충렬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467-468
    • /
    • 2000
  • 우리 나라의 서해안과 남해안을 중심으로 분포하는 뱀장어 목(Anguilliformes) 어류는 현재 종 분포가 다양하게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지금까지 5과 22종, 즉 Anguillidae과(2종), Muraenidae과(4종), Ophichthyidae과(6종), Congridae과(8종), Muraenesocidae과(2종)가 보고되어 왔다(정, 1977; 김과 김, 1997). 최근 Lee and Asano(1997)는 서해 갯벌지대에 서식하는 Ophichthus rotundus를 확인하여 신종으로 보고한 바 있으나, 지금까지 본 뱀장어 목 어류에 대해서는 분류학자들의 관심이 비교적 적었던 분류군에 해당된다. 이번에 전라북도 서해안에서 채집된 뱀장어 목 어류를 분류해 본 결과, 본 종은 현재까지 우리 나라에서 보고된 적이 없었던 Synaphobranchidae과 어류의 Dysomma anguillare로 동정되었기에 본 종의 분류학적인 주요 특징을 조사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중략)

  • PDF

한국산 붕장어과 어류 2 미기록종 (First Record of Two Congrid Eels (Anguilliformes, Congridae) from Korea)

  • 이충렬;주동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3-28
    • /
    • 1999
  • 1995년 남해 거제도 부근에서 채집된 어류를 동정한 결과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서식이 알려지지 않은 Chaunax abei와 Bembrops curvatura로 확인되어 이 2종을 한국산 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C. abei는 외부형태적으로 C. fimbriatus와 유사하나 체표의 녹색 무늬 형태가 원형이고 등지느러미의 앞쪽에는 노란 반점과 그 뒤에 약간 패인 곳이 없으며, 유인돌기와의 주변에는 돌기가 없다는 점이, 그리고 B. curvatura는 B. caudimacula와 유사하나 뒷지느러미 연조수 및 측선린 수와, 측선이 깊게 내려간 점 그리고 제 1 등지느러미의 첫 번째 막이 검다는 점 등이 이들 유사종들과 잘 구별되었다. 이들의 한국명으로는 Chaunacidae "점씬벵이과", Chaunax "점씬벵이속", C. abei를 "점씬벵이"로, 그리고 B. curvatura는 "줄굽은눈퉁이"라고 명명하였다.

  • PDF

한국산 바다뱀과 어류 1 미기록종, Pisodonophis cancrivorus (First Record of a Longfin Snake-eel, Pisodonophis cancrivorus (Anguilliformes: Ophichthidae) in Korea)

  • 이충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07-310
    • /
    • 2009
  • 한국산 바다뱀과 어류에 포함되는 Pisodonophis cancrivorus(체장 862.3 mm) 1 개체가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연안에서 2008년 9월에 채집되었다. 본 종의 특징은 후비공 전후에 근육돌기가 1개씩 나 있고, 상악치를 비롯하여, 하악치와 서골치가 과립상으로 무질서하게 3~5줄로 된 치판을 형성하고 있으며, 등지느러미는 가슴지느러미의 중앙 상부에서 출발하는 점이다. 본종은 상악의 후비공 전후에 근육돌기가 있는 점을 들어 국명을 "돌기바다뱀"이라고 명명하였다.

우리나라에서 과거 Gymnothorax reticularis로 보고된 나망곰치의 학명 검토 및 재기재 (Review of the Scientific Name and Redescription of the Banded Moray Eel, Previously Reported as Gymnothorax reticularis (Muraenidae, Anguilliformes) in Korea)

  • 김성연;지환성;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92-296
    • /
    • 2012
  • 과거 우리나라에서 Gymnothorax reticularis로 보고되었던 나망곰치를 남해 거제도에서 통발로 채집된 표본 1개체(전장 469.0 mm)에 근거하여 재기재하였다. 본 표본은 19개의 암갈색 수직띠, 139개의 척추골수, 크고 강하며 약간 거친 양턱니, 1개의 간상악골치, 작고 무딘 서골치를 가지는 특징을 보였다. 여러 어류학자들에 의해 한국산 나망곰치는 Gymnothorax reticularis로 보고되어 왔으나 본 연구를 통해 한국산 나망곰치의 학명은 Gymnothorax minor로 변경되어야 한다.

제주도 남방해역에서 채집된 제주바다뱀(Ophichthus asakusae) 엽상자어(Leptocephalus)의 첫 형태기재 (First Morphological Description of Ophichthus asakusae (Ophichthidae: Anguilliformes) Leptocephali Collected from the Waters South of Jeju Island)

  • 지환성;최정화;최광호;이동우;김진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594-597
    • /
    • 2013
  • Two leptocephali [total length (TL) 68.2-80.5 mm] from the family Ophichthidae, collected from the waters south of Jeju Island, Korea, were identified using morphology. The two ophichthid leptocephali were identified as belonging to the genus Ophichthus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s: 131-132 myomeres; nine gut swellings; dorsal fin origin above the middle of the body; five postanal pigments present from the anus to the caudal margin. Ultimately, both leptocephali were identified as Ophichthus asakusae, as the total number of myomeres was consistent with those of adult O. asakusae. Here, we first describ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O. asakusae leptocephalus, and suggest diagnostic characters for leptocephali belonging to the genus Ophichthus.

한국 남해에서 채집된 동해물뱀(Scolecenchelys aoki) 성어의 첫기재 및 Scolecenchelys borealis의 동종이명에 관한 검토 (First Description of the Adult Scolecenchelys aoki (Ophichthidae, Anguilliformes) Collected from the South Sea of Korea, with Comments on the Synonym Scolecenchelys borealis)

  • 지환성;김맹진;김진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589-593
    • /
    • 2013
  • Scolecenchelys borealis was first added to the Korean fish fauna based on one leptocephalus specimen (total length (TL) 59.2 mm) collected from Dokdo, in the East Sea. Recently, however, Scolecenchelys borealis has been treated as a junior synonym of Scolecenchelys aoki, necessitating review of the scientific name S. borealis. This study describes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 aoki based on an adult specimen (TL 230.0 mm) collected from the sea south of Korea and compares its mitochondrial DNA 12S rRNA sequence with that of the S. borealis leptocephalus. The adult S. aoki is characterized by several morphological features: vertebral formula 59-55-135; preanal lateral pores 55; infraorbital pores two; teeth on upper jaw visible externally when the mouth is closed; the dorsal fin originates just behind the anus; both jaws and vomerine teeth are conical, arranged in two rows. An analysis of an 886-base paire sequence of the 12S rRNA showed that adult S. aoki was concordant with the S. borealis leptocephalus (sensu Ji et al., 2012), indicating that both are the same species.

한국산 붕장어과 어류 1 미기록종, Ariosoma meeki (New Record of Ariosoma meeki (Anguilliformes: Congridae) from Korea)

  • 여수은;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21-124
    • /
    • 2016
  • 뱀장어목 붕장어과에 속하는 Ariosoma meeki 1개체 (전장 485.2 mm)가 2015년 6월 경상남도 창원시에서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본 종은 몸 전체에 비늘이 없고,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가 꼬리지느러미와 연결되어 있으며, 후비공이 피판으로 덮여 있고, 60개의 항문 전 측선공 및 15개의 가슴지느러미 연조를 가지며, 두부에 감각공이 없고, 눈 뒤쪽에 2개의 검은 점을 가진다. 한국에서 새롭게 보고되는 A. meeki의 국명으로 "눈테붕장어"를 제안한다.

제주 근해에서 채집된 나망곰치, Gymnothorax minor (뱀장어목, 곰치과) 엽상자어의 분자동정 및 형태기재 (Molecular Identification and Morphological Description of Gymnothorax minor (Muraenidae, Anguilliformes) Leptocephali off Jeju Island)

  • 이승종;지환성;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59-64
    • /
    • 2013
  • 한국 제주도에서 채집된 곰치과(Muraenidae) 엽상자어 2개체 (전장 36.2~69.2 mm)를 대상으로 mtDNA 12S rRNA 724 base pair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한국 통영에서 채집된 나망곰치(Gymnothorax minor) 성어와 100% 일치하였다. 나망곰치 엽상자어는 전체 근절수가 137~139개, 등지느러미 앞 근절수가 32개, 항문앞 근절수가 82~86개, 전장에 대한 체고가 10% 이상인 형태적 특징을 나타내었다.

한국산 곰치과(뱀장어목) 어류 1 미기록종, Echidna nebulosa (First Record of Echidna nebulosa (Anguilliformes, Muraenidae) from Korea)

  • 강충배;이유진;김진구;한송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478-483
    • /
    • 2022
  • A single specimen (522.0 mm in total length) of the family Muraenidae, collected from the waters off south-western Jeju-do Island in November 2021, was identified as Echidna nebulosa on the basis of morphological and molecular methods (DNA barcoding). This species is characterized by several morphological traits as follows: 10 rounded molar, median intermaxillary, and vomerine teeth; 4 predorsal vertebrae, 50 preanal vertebrae and 123 total vertebrae; and a pale background color with two rows of 17-20 blackish brown starry blotches along the head and body. As this is the first record of E. nebulosa in Korea, we propose the new Korean names, "Dung-Geun-Ni-Gom-Chi-Sog" for the genus Echidna, and "Beol-Kkok-Gom-Chi" for E. nebulo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