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giography, follow up

검색결과 226건 처리시간 0.032초

디피리다몰 부하 심근관류 SPECT의 장기예후 예측능 (Long-term Prognostic Value of Dipyridamole Stress Myocardial SPECT)

  • 이동수;천기정;장명진;강원준;정준기;이명묵;이명철;강위창;이영조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9-54
    • /
    • 2000
  • 목적: 디피리다몰 부하 심근 관류 SPECT 를 관동맥질환 환자의 예후 예측에 이용하여 장기간 추적하였을 때 정상 심근 SPECT 소견의 비례위험도가 달라지는지를 조사하여 정상 SPECT로 언제까지 예후가 양호하다고 예측할 수 있는지 보았다. 대상 및 방법: 관동맥질환이 의심되어 심근 관류 SPECT를 시행한 환자 1,169명을 대상으로 심장원인 사망이나 심근 경색이 발생한 중한 사건과 관동맥우회로술이나 관동맥성형술을 시행한 경한 사건을 합한 전체 심장사건의 발생률과 예측성능을 분석하였다. 비례위험도의 시간의존성을 분석하는 통계적 방법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추적기간에 따른 예측도 차이를 조사하였다. 결과: 다변량 Cox 비례위험도 모델에서 전체 심장 사건을 예측하는데 심근 관류 SPECT의 가역성관류 감소가 독립적인 예후 예측 성능을 보였으며 관동맥조영술 소견에 더하여 부가효용을 나타냈다. 심근 SPECT의 가역성관류감소는 중한 사건을 예측하는 독립적 예측성능을 보였으나 관동맥조영술에 더하여 부가효용을 나타내지는 않았다. SPECT 소견의 비례위험도는 추적기간이 경과하면서 증가하였다. 전체 심장사건을 예측하는 비례위험도가 심근 SPECT 정상군에서 추적기간 말기에 유의하게 달라졌으며(p<0.001) 정상심근 SPECT의 위험률의 변이점은 4.4년이었다. 결론: 심근 SPECT에 나타난 가역성 관류 감소는 전체심장 사건을 예측하는 독립적이고 부가적인 성능을 보였다. 심근 관류 SPECT에서 정상일 때 장기추적 중 4.4년 후에는 예후 예측 위험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 PDF

심한 좌심실 기능저하를 동반한 환자에서의 관상동맥 우회로 조성수술의 조기성적 (Early Results of Coronary Bypass Surgery in Patients with Severe Left Ventricular Dysfunction)

  • 정윤섭;김욱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4호
    • /
    • pp.383-389
    • /
    • 1997
  • 1992년 3월부터 1996년 3월까지 부천 세종병원에서는 총 279례의 관상동맥 우회로 조성수술을 시행 하였는 바, 이중에서 좌심실 박출계수가 35%이하인 22명의 심한 좌심실 기능저하를 동반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관상동맥 우회로 조성수술의 조기 성적을 분석해 보았다. 대상 환자들의 연령은47세에서 73 세까지로 평균 60: 5.6세였고, 이중 남자는 17명, 여자는 5명이었다. 모든 환자는 수술전 흉통을 가지고 있었는데, Canadian 분류로 class ll가 6명 class 111가 12명, class IV가 4명 이 었다. 1명을 제외하고 모두 1 차례 이상의 사전 심근경색의 병력이 있었다. 운동시 호흡곤란및 방사선상폐울혈 소견 같은 심부전 증 세를 가진 사람은 7명이었다. 혈관 조명술상에서의 area-length method를 이용한 좌심실 박출계수는 18 에서 35%사이로 평균 29.4$\pm$4:5%였고, 좌심실의 확장기말 압력은 10에서 42mmHg사이로 평균 18.7$\pm$ 8.2mmHg였다. 미국 심장학회 기준에 의한 좌심실 분절운동을 살펴보면 모든 환자가 적어도 3개 분절이 상에서 운동 저하의 소견을 보였다. 1명의 2혈관 질환 환자를 제외하고 모두 3혈관 질환 환자로 관상동 맥 침범의 정도가 심하였다. 梔珦\ulcorner모든 병변이 있는 부위에 완전 재관류를 시도하였다. 내유동맥 16 개, 대복재정 맥 60개, 요골동맥 3개등 총 79개의 이식편을 사용하여, 평균 3.5$\pm$1.1회의 원위부 문한을 시행하였다. 승모판파 폐쇄부전증을 동반한 환자 4명중 1명 에서는 승모판막윤 성형술도 함께 시 행하였 다. 수술사망은 1명에거 발생하였으며(4.5%), 사망원인은 수술 전후 심근경색에 의한 저심박출증이었다. 술후 IABP는 모두 7례에서 사용하였고, 평균사용시간은 50.3$\pm$ 16.4시간이 었다. 수술 생존자중 2명은 술 후 계속되는 심부전증과 추가 심근경색으로 술후 16개월 및 22개월째 사망하였고, 나머지 1명은 뇌 경색 증 및 패혈증으로 술후 8개월째 사망하였다. 18명의 생존자중 술후 24개월과 27개월후에 추적 도중 탈 락된 2명을 제외하고 나머지 16명은 6개월엔서 47개월사이로 평균 30.4$\pm$ 13.4개월 추적 조사를 받고 있 다. 이들중 1명 에서만 총통이 재발하였고 다른 환자에서는 흉통이 사라졌다. 이들의 기능상태를 NYHA 기준에 따라 분류하면 class I이 8명, class ll가 7명 , class 111가 1명이었다. 이 연구 결과, 관상동맥 우회로 조성수술은 심한 좌심실 기능 저하를 동반\ulcorner 환자$\circledcirc$서도 비교적 납득 할 만한 위험도로 시행될 수 있으며 협심증의 완화 및 소멸에는 효과적이나, 심부전 증세의 호전에는 크 게 기여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 PDF

말초성 동맥 질환에 있어서 $^{201}T1$을 이용한 말초혈관 관류스캔의 유용성 (Thallium-201 Perfusion Scan in Peripheral Arterial Disease)

  • 나정일;우인숙;김덕윤;고은미;김진우;김영설;김광원;최영길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92-199
    • /
    • 1991
  • Peripheral arterial disease, because of it's significant and prolonged morbidity and related mortality is a major medical and surgical problem. Contrast angiogram remains the essential standard for the anatomic demonstration of disease. It does not, however, provide data suitable for quantification or any evaluation of the microcirculation. For these reasons, radionuclide studies are playing an increasingly important role by not only confirming the diagnosis and offering objective data on the physiologic significance of anatomic lesions, but by offering prognosis of healing and prediction of therapeutic results. In addition, radionuclide procedures offer means to safely and repeatedly monitor response to therapy and long term follow up.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availability of $^{201}T1$ perfusion scan in patients with peripheral arterial diseases. We performed $^{201}T1$ perfusion scans in patients with five Buerger' s disease (10 legs), six DM gangrenes (12 legs) and classified three perfusion pattern groups. Finally we compared treatment modalities among each groups and compaired T1-201 perfusion scan findings with angiographic findings in six patients with Buerger's diseas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even legs showed increased perfusion in stress image and normal or increased perfusion in resting image (type 1). Six legs showed decreased perfusion in stress image and improved in resting image (type II). Of total 13 legs, only 1 leg needed to amputation. 2) Three legs showed decreased perfusion in stress and resting image (type III), and subsequently all cases were received surgical amputation. 3) In six Buerger's disease patients, there were disagreements in two patients (2 legs) between $^{201}T1$ scan and angiography, in which angiograms were normal but $^{201}T1$ scans showed 'type II' perfusion patterns.

  • PDF

좌주관상동맥 협착에 대한 수술적 혈관 성형술 (Surgical Angioplasty of the Left Main Coronary Artery Stenosis)

  • 정승혁;양지혁;김기봉;안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5호
    • /
    • pp.433-437
    • /
    • 1999
  • 배경: 좌주관상동맥 협착의 외과적 치료로 일반적으로는 관상동맥 우회술이 시행되지만, 정상적인 전향적 혈행을 유지시켜준다는 장점 때문에 좌주관상동맥의 성형술이 시행되기도 한다. 대상 및 방법: 저자들은 1994년 7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15례에서 좌주관상동맥 병변에 대한 혈관성형술을 시행하였다. 남자가 8명, 여자가 7명이었으며 연령은 평균 53.3$\pm$8.8 세이었다. 수술은 심낭의 비후가 있어서 복재정맥을 이용한 1례를 제외한 14례 모두에서 자가심낭편을 이용하여 협착부위를 확장하였고, 4례에서는 시야확보를 위해 폐동맥을 절단후 시행하였다. 5례에서 좌주관상동맥 성형술을 단독 시행하였고, 9례에서 관상동맥 우회술을 병행하였고, 1례에서 좌, 우 관상동맥 개구부의 동시 성형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수술사망은 없었고, 1례에서 술후 4개월째에 좌주관상동맥 성형부위의 유의한 협착으로 관상동맥 우회술을 다시 시행하였다. 재수술을 시행한 1례를 제외한 14례중 8례에서는 수술후 1년째에 관상동맥 조영술을 실시하였는데, 50%의 국소협착을 보인 1례를 제외한 7례에서는 우수한 개존성을 보였으며, 평균 추적 기간 23$\pm$11개월(7-43)동안 15례 모두 흉통의 재발을 보이지는 않았다. 결론: 좌주관상동맥 협착에 대한 혈관성형술은 향후 장기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하나, 비교적 우수한 수술 및 중기 성적을 보였다.

  • PDF

좌내흉동맥편과 복재정맥편을 좌전하행지에 동시에 문합한 관상동맥 우회로술의 임상적 결과 (Dual Grafting of Left Internal Thoracic Artery and Saphenous Vein to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 최종범;양현웅;한재오;최순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8호
    • /
    • pp.709-714
    • /
    • 1999
  • 배경: 관상동맥에 내흉동맥편과 복재정맥편을 동시에 문합할 때 두 이식편 사이에 생기는 혈압과 혈류의 차이 때문에 내경이 작은 내흉동맥편의 개존이 나빠질 수 있다. 이런 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중단기적 임상 결과를 보고 특히 상경적인 혈류의 영향을 많이 받는 내흉동맥편의 개존 상태를 알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좌전하행지에 문합된 내흉동맥의 혈류가 충분하지 못하다고 판단된 14예의 환자에서 같은 관상동맥에 좌내흉동맥편과 복재정맥편을 동시에 문합하였다. 평균 33.5개월의 추적기간동안 증상이 재발한 경우, 좌내 흉동맥편의 혈류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수술 직후에 Q파를 보인 경우 등 6예에서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 행하였다. 결과: 복재정맥편과 내흉동맥편은 모두 개존되어 있었으며, 2예에서는 양측 균등한 혈류를 보인 반면, 다른 2예에서는 상경적인 혈류를 보였고 나머지 2예에서는 내흉동맥편이 개존되어 있었으나 관상동맥 으로 가는 혈류는 거의 없었다. 결론: 좌내흉동맥편을 좌전하행지에 문합하는 수술에서 복재정맥편을 부가 적으로 좌전하행지에 문합하는 경우에 수술 후 좌전하행지의 혈류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중 문합이 내흉동맥편의 중단기적 개존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경동맥 절제술 후 재건에 사용된 복재정맥의 혈관구경 불일치를 극복하기 위한 Titanium Hemostatic Clip 봉합방법 (Titanium Hemostatic Clip Tailoring Method to Overcome Vessel Caliber Discrepancy in Interposition Saphenous Vein Graft for Carotid Artery Resection)

  • 김선호;임영창;이세영;임재열;최은창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77-180
    • /
    • 2004
  • Objectives: To completely excise a malignant tumor which invades carotid artery walls, the resection and reconstruction of the carotid artery is essentially required. In most of the cases, interposition graft using a saphenous vein has been performed, however the vessel caliber discrepancy between a common carotid artery and the saphenous vein can result in a problem on surgical technique. We have introduced and evaluated a new titanium hemoclip tailing method to overcome vessel caliber discrepancy in interposition saphenous vein graft for carotid artery resection in the treatment of head and neck cancers. Method: After carotid artery resection, the calibers of the proximal common carotid artery and the vein were compared, and an orifice of the common carotid artery was gradually reduced to a little larger than or the same size as the orifice of the vein by using the titanium hemostatic clip. Subsequently, the common carotid artery was connected to the vein through anastomosis. The same method was also applied to the distal anastomosis site. There after, the vessels were connected through the anastomosis, and a circulation was restored by releasing a vascular clamp. Then, a titanium hemostatic clip-applied redundant portion on the outside of carotid artery was sutured by the blanket edge suture method, using 6-0 Prolene. Results: We have experienced this method in two patients with recurrent squamous cell carcinoma and neuroblostoma, respectively. The interposition saphenous vein graft of these patients was found to maintain good patency on the follow up angiography after one year, and they had no specific vascular complication, such as atherosclerosis. Conclusion: This method made it possible to simply perform the interposition saphenous vein graft (ISVG) within a short time and, therefore, was very useful for shortening the duration to block circulation.

관상동맥 스텐트 삽입술 후 Clopidogrel과 Cilostazol의 비교 (Comparison of Clopidogrel versus Cilostazol in Coronary Artery Stenting)

  • 송인숙;최승기;오정미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5-117
    • /
    • 2005
  • Following intracoronary stenting, antiplatelet therapy lead to greater protection from thrombotic complication. A few data are available about the effect of clopidogrel versus cilostazol, an antiplatelet commonly used after intracoronary stenting.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clopidogrel plus aspirin compared with those of cilostazol plus aspirin in coronary stenting an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clopidogrel loading dose prior to coronary stealing in clopidogrel group. Data were retrospectively collected from medical charts of patients who had undergone coronary stenting and received either clopidogrel with or without loading 300 mg followed by 75 mg/d (n=58), or 200 mg/d cilostazol(n=72) for 1 year, between January 2000 and May 2002. All patients in both groups received aspirin 200 mg/d throughout the study. The primary endpoints at 7, 30, 180 and 365 days after stealing were the composite of death, Myocardial Infarction, stroke, angina, and revascularization in the intent to treat population and restenosis at follow up angiography. The secondary endpoints were the incidence of bleeding complications at 7, 30, and 365 days, and durg adverse effects at 365 days after stenting. At 180 and 365 days after stenting, the combined primary endpoint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clopidogrel plus aspirin group (relative risk 0.39; 95% CI 0.17 to 0.92; p=0.021, RR 0.43; 95% CI 0.22 to 0.84; p=0.0085, respectively). However, the combined primary endpoi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at 7 and 30 days (p:1.00, p=0.79, respectively). Angiographic restenosis rate was 14.3% in clopidogrel plus aspirin uoup and 32.1% in cilostazol plus aspirin group (p=0.19). 300mg of clopidogrel loading dose did not significantly reduce the combined primary endpoints at 30 days after stenting (RR 0.14; 95% CI 0.01 to 2.65; p=0.23). The rate of bleeding complications and drug adverse effect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In patients undergoing intracoronary stenting, clopidogrel plus aspirin therapy is more beneficial than cilostazol plus aspirin in reducing major adverse cardiac events with similar rate of bleeding complication. A loading dose of clopidogrel did not lead t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in major adverse cardiac events.

  • PDF

스텐트 내 재협착 병변에서 약물용출 풍선확장술 후 주요 심장사건 발생의 예측인자 (Predictive Factors of Major Adverse Cardiac Events after Drug-Eluting Balloon Angioplasty for In-Stent Restenosis Lesion)

  • 이두환;김인수;공창기;한재복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79-191
    • /
    • 2020
  • 이 연구는 스텐트 내 재협착 병변에서 약물용출 풍선 확장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주요 심장사건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인자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2년 10월부터 2017년 1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심혈관센터에서 경피적 관상동맥 삽입술 후 스텐트 내 재협착이 발생한 환자 중에서 약물용출 풍선 확장술을 시행 받은 환자 257명 (평균연령 66.1±10.1세, 남자 172명)을 대상으로 그룹 I (주요 심장사건 발생군, n=35명), 그룹 II (주요 심장사건 발생하지 않은 군, n=222명)로 나누어 분류 하였다. 약물용출 풍선 성형술 후 주요 심장사건의 독립적인 예측 인자를 보기 위한 다변량 분석에서 완전 폐쇄병변 형태의 재협착 형태 (HR=4.179, 95% C.I.=1.851-9.437 p= 0.001), 25 mm이상의 긴 병변 (HR=8.773, 95% C.I.=1.898-40.546 p= 0.005), 반복되는 스텐트 내 재협착 (HR=4.693, 95% C.I.=1.259-17.490 p= 0.021)이 독립적인 예측 인자로 판명되었다.

모야모야병과 동반된 신 동맥 협착에 따른 신성 고혈압을 보인 1례 (A Case of Renovascular Hypertension Due to Renal Artey Stenosis Related to Moyamoya Disease)

  • 김정아;김승;김효선;신재일;정일천;김동석;김명준;이도연;이재승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1권2호
    • /
    • pp.294-298
    • /
    • 2007
  • 모야모야병은 주로 뇌혈관 협착을 유발하여 측부순환을 생성하는 질환으로 최근 뇌혈관 이외의 혈관에도 침범할 수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지금까지 모야모야병에서 폐동맥, 관상동맥, 말초동맥 및 신동맥의 협착을 동반한 증례들이 발표되고 있다. 이 중 신동맥 협착을 동반한 경우 이로 인한 신성고혈압을 보이는 증례들이 보고되고 있으며 이는 모야모야병에서 지속적인 고혈압을 보여 2차적인 뇌경색이나 뇌출혈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모야모야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항상 면밀하게 평가되어야 할 부분이다. 저자들은 모야모야병으로 양측 뇌경질막동맥간접문합술을 시행 받고 경과관찰 하던 환아에서 지속되는 고혈압으로 인해 발견된 신동맥 협착 및 이로 인한 신성 고혈압을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관상동맥 질환 진단에서 ATP부하 T1-201 심근 관류 SPECT의 안전성과 유용성 (Safety and Feasibility of Thallium-201 Myocardial SPECT with Intravenous Infusion of Disodium Adenosine Triphosphate (ATP) in the Diagnosis of Coronary Artery disease)

  • 배문선;박찬희;윤석남;김원;김한수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50-258
    • /
    • 1998
  • 목적 : ATP는 작용 시간이 빠르고 반감기가 짧은 효과적인 관상동맥 확장제로 알려져 있어 이를 심근관류 SPECT의 부하 약물로 사용 할 때에 부작용의 빈도와 안전성, 그 진단적 가치에 대해 알아 보고자하였다. 대상 및 방법: 관상동맥 질환이 의심되는 31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ATP 부하(0.08 mg/kg/ min for 6min) T1-201 심근관류 SPECT를 실시하여 그 부작용을 조사하고 관상동맥 조영술과 비교하였다. 결과: 76.5%의 환자에서 부작용이 발생하였으나 일시적이고 경미하였으며, 모든 환자에서 ATP 주입을 끝낼 수 있었고 aminophylline이 필요했던 환자는 2명이었다. 관상동맥 조영술과 비교한 결과, 예민도 80%, 특이도 90% 였다. 결론: 6분간 0.08mg/kg/min의 ATP 주입 용량을 사용한 본 연구 결과에서 ATP 부하 심근관류 SPECT는 관상동맥 질환의 진단에서 adenosine이나 dipyridamole을 이용했을 때보다 부작용의 발생 빈도 및 부작용의 정도가 낮아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진단 성능도 동등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