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eurysm, thoracic aortic

검색결과 294건 처리시간 0.019초

흉부 대동맥류의 외과적 치료 (Early Results in Surgical Treatment of Thoracic Aortic Aneurysm)

  • 안병희;신성현;나국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7호
    • /
    • pp.686-692
    • /
    • 1997
  • 저자들은 1994년 2월부터 1995년 8월사이에 본 교실에서 흉부대동맥류로 외과적 치료를 받았던 15 례의 임상성적을 분석하여 수술수기 및 수술결과를 향상시키는 계기로 삼고저 한다. 남자가 9례, 여자 가 6례였으며 평균연령은 55.07$\pm$11.76세였다. 원인질환은 대동맥박리증이 9례, 죽상경화증이 4례, 외 상이 2례이었다. 9례에서 상행 대동맥 및 대동맥궁의 부분 및 완전 치환술을 시행하였으며 3례에서 하행 대동맥 및 흉복부 대동맥치 환술을 시행하였고, 1례에서는 전체 대동백치환술을 시행하였으며, 외 상성 대동맥류 2례에서는 단단문합하였는데 대동맥 박리증 환자에서는 Wheat씨 방법으로 봉합부위를 보강한 후 치환하였다. 9례에서는 정중흉골절개술을, 4례에서는 후외측 흉벽절개술을, 2례에서는 후외 측 흉부절개후 흉복부절개술을 시행하였다. 상행 대동맥 및 대동맥궁을 치환하였던 9례에서는 상대정맥을 통한 역행성 뇌관류를 평균 56.67$\pm$29.25분 동안 시행하였고 하행 대동맥 및 흉복부 대동맥을 치환하였던 3례에서도 고도의 저체온화를 시행하였는데 술후 항구적인 뇌나 척추 신경장애가 발생한 례는 없었다. 술후 외상성 복담즙에 의한 복막염, 다장기 기능부전, 악성고혈압에 의한 잔여 박리성 동 맥류파열로 3례(20%, 3/15)가 사망하였다. 술후 합병증으로는 출혈에 의한 재수술이 4례, 일시적인 의식장애 3례, 늑막삼출 등의 폐 합병증이 3례, 심낭압진 1례 있었다. 타의료기관에서 관찰중인 1례를 제외한 11례를 추적관찰중인데 사망하거나 만기 합병증을 보인 례는 없었다.

  • PDF

A Right Intercosto-Bronchial Artery Derived from the Thyrocervical Trunk: An Unusual Cause of Type II Endoleak Post Thoracic Aortic Stenting

  • Choong, Andrew Mtl;Mitchell, Ken;Jenkins, Jaso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8권2호
    • /
    • pp.139-141
    • /
    • 2015
  • The aetiology, incidence and management of type II endoleaks in standard infrarenal endovascular aortic aneurysm repair is well described. Far less data is available for thoracic stent grafting. We present a rare and interesting case of a type II endoleak post thoracic aortic stenting and highlight the aberrant anatomy that can cause this phenomenon in such cases.

Aortopulmonary Fistula Presenting without an Endoleak after Thoracic Endovascular Aortic Repair

  • Sica, Giacomo;Rea, Gaetano;Bocchini, Giorgio;Lombardi, Romilda;Muto, Massimo;Valente, Tullio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0권4호
    • /
    • pp.287-290
    • /
    • 2017
  • Herein, we report the case of a 60-year-old man, a smoker with a history of arterial hypertension and diabetes mellitus. After computed tomography (CT) for an episode of hemoptysis, the patient underwent elective thoracic endovascular aortic repair (TEVAR) because of a degenerative aneurysm of the descending thoracic aorta. The area of perianeurysmal pulmonary atelectasis reported on the CT scan was not considered. Three months later, he developed an aortopulmonary fistula without endoleaks. Although TEVAR is a relatively safe procedure, no detail should be overlooked in the preoperative evaluation in order to avoid life-threatening complications. Further, the effectiveness and modality of prolonged antibiotic prophylaxis and/or preoperative respiratory physiotherapy should be assessed in such cases.

Delayed Type III Endoleak Caused by Fabric Erosion after Endovascular Repair of an Abdominal Aortic Aneurysm

  • Lee, Jae Hang;Kim, Eung-joong;Choi, Jin-Ho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0권4호
    • /
    • pp.291-294
    • /
    • 2017
  • A 74-year-old patient presented with recurrent aneurysms in the infrarenal abdominal aorta and right common iliac artery 6 years after endovascular aortic repair using endografts in the same location. The patient underwent an aorto-bi-iliac replacement with removal of the stent graft. Two holes measuring 2 mm each were found in the removed graft, and they appeared to have been caused by wear from continuous friction between the endograft and the aortic wall.

박리성 대동맥류의 보존적 치료 1례 보 (Medical treatment of dissecting aortic aneurysm: report of a case)

  • 김병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7권4호
    • /
    • pp.687-690
    • /
    • 1984
  • Aortic dissection, a condition characterized by hemorrhage into the media and variable extension along the length of the aorta, has long been recognized as a catastrophic Cardiovascular event. Recent developments in diagnostic and therapeutic skills have improved the prognosis considerably, but there is still controversy as to how cases should be managed. We experienced a case of dissecting aortic aneurysm [DeBakey Type III ], which were managed using intensive medical treatment. The period of follow up was about 11 years. At last, patient was died by progression of dissection into proximal aorta and resulted in aortic insufficiency and congestive heart failure.

  • PDF

흉골에 접한 재발성 대동맥류에서 초저체온 순환정지하에서의 흉골재절개 (Resternotomy for Recurrent Aortic Aneurysm Adherent to the Sternum Under Deep Hypothermic Circulatory Arrest)

  • 김상헌;김영학;김혁;정원상;강정호;지행옥;이철범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호
    • /
    • pp.108-111
    • /
    • 2004
  • 흉골에 인접한 재발성 대동맥류의 재수술 시, 흉골재절개 중 발생할 수 있는 동맥류의 뜻하지 않은 천공으로 인한 대량출혈의 위험성이 당면한 문제로 남아있다. 대퇴 동, 정맥 삽관을 통한 체외순환으로 초 저체온하 완전순환정지 방법은 안전한 흉골 재절개를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체온을 떨어뜨리는 동안에 생기는 심실세동을 동반하는 심근수축력 감소는 좌심실의 팽창을 일으키기 쉽다. 따라서 중심체온 저하 시 좌심실의 팽창을 방지하기 위하여 충분한 정맥혈의 배수가 필수적이다. 저자들은 흉골재절개를 시행하기 전에 원심펌프를 이용한 적극적인 정맥혈의 배수를 통해 좌심실의 팽창없이 초 저체온하 완전순환정지에 도달한 방법을 보고하고자 한다.

Bentall 씨 수술 치험 -1례 보고- (Bentall`s Operation of Ascending Aorta Aneurysm with Aortic Regurgitation - Report of One Case -)

  • 정황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1권2호
    • /
    • pp.334-339
    • /
    • 1988
  • We have experienced one case of ascending aorta aneurysm with aortic regurgitation due to atherosclerosis. The 45 year old man had been suffered from palpitation and precordial chest pain. 2-D echocardiogram and aortogram confirmed aneurysm of ascending aorta with aortic regurgitation. Atherosclerotic change was noted in the aortic wall and there was marked dilatation of the sinuses of Valsalva as well as the aortic annulus with upward displacement of coronary ostia in the operative field. The patient underwent complete replacement of the aneurysmal ascending aorta and the aortic valve with 27mm Bjork-Shiley aortic valve composite graft. We got preclotting with heparin free blood including thrombin and then autoclave at 132` for 3 minutes. The postoperative course was uneventful and the patient was discharged with good clinical result.

  • PDF

무봉합 혈관내 인조이식혈관을 이용한 박리성 대동맥류의 수술요법 (Surgical Treatment for Dissecting Aneurysm of the Aorta using Sutureless Intraluminal graft)

  • 이재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8권2호
    • /
    • pp.305-313
    • /
    • 1985
  • Surgical therapy for dissection of the aorta has had a high mortality. One contributing factor has been hemorrhage from the prosthesis and the suture lines. Recently, a new method of treatment with an intraluminal graft that requires no end-to-end anastomosis has been developed. Of the four patients with dissecting aneurysm of the aorta treated by inserting sutureless ringed intraluminal graft at the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S.N.U.H., three were DeBakey type I [one with associated aortic insufficiency] and the other was DeBakey type III. Suspected etiology of the dissection was Marfan`s syndrome in one and hypertension in the others. Total cardiopulmonary bypass was utilized in repairing dissecting aneurysms of the ascending aorta [type A] and simple aortic crossclamping was used for the patient with dissecting aneurysm of the descending aorta. The basic technique consists of inserting the whole ringed graft into the true lumen of the dissected aorta and circumferentially ligating the aorta against the groove in the rings. The proximal ring of the graft effectively stabilized the flail aortic valve in patient with aortic insufficiency associated with dissection of the ascending aorta. There were no hospital deaths and one patient with type III dissecting aneurysm developed postoperative paraparesis and renal insufficiency which was resolved. Follow-up has been from 1 month to 16 months with no evidence of prosthetic problems, such as erosion, migration, or thrombosis.

  • PDF

하행대동맥 및 흉복부 대동맥 수술의 임상적 경험 (The Clinical Experience of The Descending Thoracic and Thoracoabdominal Aortic Surgery)

  • 조광조;우종수;성시찬;최필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8호
    • /
    • pp.584-589
    • /
    • 2002
  • 배경: 흉복부 대동맥 질환 수술은 부위에 따라 사용되는 수술법이 다양하며 각 방법마다 장단점이 있어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지금까지 여러 방법으로 흉복부 대동맥 질환을 수술한 성적과 위험 요소를 분석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6월부터 2001년 8월까지 저자들은 36명의 흉복부 대동맥 수술을 시행하였다. 이중 17명은 대동맥 박리증, 17명은 대동맥류, 1명은 대동맥 축착증에 병발한 대동맥박리증, 1명은 외상성 대동맥손상이었다. 수술은 26례에서 흉부대동맥 치환술을, 10명에서 흉복부 대동맥 치환술을 시행하였다. 흉부대동맥치환술은 11명에서 좌심방대퇴동맥간 centrifugal 펌프을 통한 우회로를 하며 수술하였고, 11명에서 대퇴동정맥 사이에, 4명은 우심방과 상행대동맥 사이에 심폐기를 가동하며 이중 6명은 극저체온순환정지하에 수술을 하였다. 흉복부대동맥 치환술은 6명에서 대퇴동정맥을 통한 심폐기를 가동시키며 수술하였고 3명은 대퇴정맥에 삽관하여 흡입한 혈액을 pump 로 주입하며 수술을 하였고 한 명은 심폐기의 도움없이 수술하였다. 결과: 수술합병증은 신부전 7례, 간기능부전 11례, 폐혈증 2례, 호흡부전 5례, 심부전 2례, 뇌경색 7례, 허혈성 척추손상 1례 등이 발생되었다. 술 후 원내 사망은 9례로 수술직후 24시간 이내 사망한 경우가 6례로 사망원인은 출혈 2례, 심부전 2례, 신부전 2례 등이었고, 수술 후 1주 뒤 원내 사망은 3례로 패혈증, 호흡부전증, 뇌경색증 등으로 사망하였다. 퇴원 후 만기 사망은 3례로 사인은 원위부 파열로 인한 쇽 와 뇌경색증 폐렴 합병증으로 사망하였다. 결론: 흉부대동맥치환술을 받은 환자 26명 중 수술사망은 5명이며 이중 3명이 극저체온 순환정지하에 수술을 시행받은 환자들이었다. 흉복부대동맥 치환술을 받은 10명 중 수술사망은 4명이었고 이중 2명이 복부동맥을 같이 광범위하게 치환한 환자들이었다.

임산부에서 발생한 대동맥 박리 (Aortic Dissection) 1례 (An Aortic Dissection in Pregnant Woman -a case report-)

  • 이형민;홍은표;이동협;이정철;한승세;신동구;김영조;심봉섭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0권1호
    • /
    • pp.253-259
    • /
    • 1993
  • 본원에서는 출산 후 지속되는 호흡곤란, 전신부종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임신과 관계된 De Bakey유형II의 대동맥해리를 진단하고 성공적으로 수술을 시행한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