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esthesia local

검색결과 629건 처리시간 0.029초

Histopathology and ultrastructural findings of pediatric sialolithiasis: a brief communication

  • Mustakim, Kezia Rachellea;Nguyen, Truc Thi Hoang;Eo, Mi Young;Kim, Soung Mi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8권2호
    • /
    • pp.125-129
    • /
    • 2022
  • Sialolithiasis is a condition in which the salivary gland excretory duct is obstructed due to the formation of calcareous deposits and is uncommon in children compared to adults. The treatment modalities range from a conservative approach involving hydration to a surgical approach. Though several studies have analyzed the sialolith micromorphology structures, studies on pediatric sialoliths remain scarce. This brief communication aims to describe the sialolith micromorphology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mineralization and growth of pediatric sialoliths. A 6-year-old Korean female presented with swelling under her tongue. The intraoral examination revealed a painless yellowish hard mass beneath the tongue near the Wharton's duct which was suspected as a sialolith. After receiving the informed consent, the sialolithotomy was performed under local anesthesia. The obtained stone was analyzed through histopathology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examinations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mineralization and growth of pediatric sialolith. The micromorphology and growth processes of pediatric sialolith remain undescribed. More comprehensive microscopic studies are needed regarding their distinctive characteristics. By expanding knowledge about sialoliths micromorphology, development of new preventive, diagnostic and patient-tailored treatment methods of pediatric sialolithiasis will be enhanced.

Primary cutaneous CD4+ small/medium T-cell lymphoma: a case report

  • Kim, Jeenam;Jeong, Minkyoung;Jun, Dongkeun;Lee, Myungchul;Shin, Donghyeok;Kim, Wookyoun;Choi, Hyungo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99-203
    • /
    • 2021
  • Primary cutaneous CD4+ small/medium T-cell lymphoproliferative disorder is a rare disease characterized by a single mass on the face or upper part of the trunk. It usually presents an asymptomatic and favorable progression, and its histopathologic findings include small and medium-sized lymphoid cells. The authors report a case of primary cutaneous CD4+ small/medium T-cell lymphoproliferative disorder on the forehead. A 51-year-old man presented with a protruding mass on his forehead that the patient had noted 1 month previously. Surgical excision and a permanent biopsy were performed under local anesthesia. Based on the biopsy results, the mass was diagnosed as a primary cutaneous CD4+ small/medium T-cell lymphoproliferative disorder. There was no evidence of recurrence at a 15-month follow-up visit.

A case report of complete cricotracheal separation: an experience from the east coast of Malaysia

  • Atikah, Rozhan;Adam, Mohamad;Khairul Azhar M., Rajet;Mohd Zaki, Ahmad;Suhaimi Bin, Yusof;Wan Emelda Wan, Mohamed;Bathma Devi, Susibalan;Nik Mohd Syukra Nik Abd, Ghani;Zamzil Amin Bin, Asha'ari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35권4호
    • /
    • pp.282-286
    • /
    • 2022
  • Complete cricotracheal separation, which is the most severe type of laryngeal trauma, is an uncommonly seen injury that clinicians have limited experience in managing. However, it is potentially fatal. Due to limited exposure to this condition, mismanagement can occur, which may further aggravate the patient's condition. The most crucial part of managing this injury is to establish a secure airway. Tracheostomy under local anesthesia is the preferred method of airway stabilization, in order to avoid further injuries to the airway caused by endotracheal intubation. Here, we discuss the management of complete cricotracheal separation based on a case experienced in the east coast region of Malaysia, where this type of injury is rarely encountered.

Granuloma Formation, a Rare Complication after PDO Threads Lifting, and Adjuvant Treatment Using Dual-Frequency Ultrasound (LDM®-MED)

  • Hong, Seok Won;Park, Eun Soo
    • Medical Lasers
    • /
    • 제8권1호
    • /
    • pp.35-38
    • /
    • 2019
  • Thread-lifting is a minimally invasive procedure that shows good results and fewer complications as compared with those results and complications of standard surgery. Many procedures and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to create a younger appearance of facial/neck skin for aging people, and the demand for an improved aesthetic appearance is increasing. Since the incidence of side effects is much less than that of non-absorbable threads, which can lead to complications such as foreign body reactions, polydioxanone (PDO) threads are predominantly used for face lift procedures. A 66-year-old woman presented to our clinic with inflamed palpable masses. She had undergone a face lift with absorbable threads in our clinic 5 months previously. Excisional biopsy was performed with the patient under local anesthesia. During the operation, any threads were not detected and there was both fibrotic scar tissue and granulomatous tissue. For effectively promoting healing and managing the scars, treatment with LDM®-MED was performed on the day after surgery. The treatment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author's protocol. Although foreign body granuloma as a complication after using non-absorbable thread types have been previously reported, it is relatively rare to find this type of complication after using absorbable thread. In this report, we present a case in which a 66-year-old female with foreign body granuloma after undergoing a face lift using absorbable threads was treated with the application of dual-frequency ultrasound, which promoted wound healing.

Ensuring Patient Safety in Pediatric Dental Care

  • Daewoo Lee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09-131
    • /
    • 2024
  • This review aims to examine safety concerns in pediatric dental care and underscore the need for comprehensive patient safety initiatives within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Drawing insights from the prevailing patient safety policie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case reports, and systematic reviews, this review elucidates issues such as dental fires during sedation, ocular complications from local anesthesia, and surgical emphysema. This review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safety toolkits encompassing infection control, medical error reduction, dental unit waterline infection, and nitrous oxide safety in pediatric dental settings, underscoring the need to foster a safety culture. Furthermore, this study explores the curriculum for pediatric dentistry residency programs, emphasizing concepts such as high-reliability organizations and mortality and morbidity conferences. The study suggests the need for initiatives to enhance patient safety, including establishing safety committees, expanding reporting systems, policy development, and supporting research related to patient safety. In conclusion, this study underlines key messages, emphasizing the utmost priority of patient safety, acknowledging the inevitability of human error, promoting effective communication, and cultivating a patient safety culture. These principles are vital for advancing patient safety in pediatric dental care and improving outcomes among pediatric patients.

Hemodynamic changes associated with a novel concentration of lidocaine HCl for impacted lower third molar surgery

  • Ping, Bushara;Kiattavorncharoen, Sirichai;Durward, Callum;Im, Puthavy;Saengsirinavin, Chavengkiat;Wongsirichat, Natthamet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15권3호
    • /
    • pp.121-128
    • /
    • 2015
  • Background: The authors studied the hemodynamic effect influent by using the novel high concentration of lidocaine HCl for surgical removal impacted lower third mola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hemodynamic change when using different concentrations of lidocaine in impacted lower third molar surgery. Methods: Split mouth single blind study comprising 31 healthy patients with a mean age of 23 years (range 19-33 years). Subjects had symmetrically impacted lower third molars as observed on panoramic radiograph. Each participant required 2 surgical interventions by the same surgeon with a 3-week washout period washout period. The participants were alternately assigned one of two types of local anesthetic (left or right) for the first surgery, then the other type of anesthetic for the second surgery. One solution was 4% lidocaine with 1:100,000 epinephrine and the other was 2% lidocaine with 1:100,000 epinephrine. A standard IANB with 1.8 ml volume was used. Any requirement for additional anesthetic and patient pain intra-operation was recorded. Post-operatively, patient was instructed to fill in the patient report form for any adverse effect and local anesthetic preference in terms of intra-operative pain. This form was collected at the seven day follow up appointment. Results: In the 4% lidocaine group, the heart rate increased during the first minute post-injection (P < 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arterial blood pressure during the operation. In the 2% lidocaine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arterial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in the first minute following injection for every procedure. When the hemodynamic changes in each group were compared, the 4% lidocaine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arterial blood pressure compared to the 2% lidocaine group following injection. Post-operatively, no adverse effects were observed by the operator and patient in either local anesthetic group. Patients reported less pain intra-operation in the 4% lidocaine group compared with the 2% lidocaine group (P < .05).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a 4% concentration of lidocaine HCl with 1:100,000 epinephrine has better clinical efficacy than 2% lidocaine HCl with 1:100,000 epinephrine when used for surgical extraction of lower third molars. Neither drug had any clinical adverse effects.

아동의 하악골에 발생한 복합 치아종의 외과적 처치에 관한 증례보고 (DIFFERENT WAYS OF SURGICAL MANAGEMENT FOR CHILDREN WITH CONFOUND ODONTOMA IN THE MANDIBLE)

  • 정우성;최영철;이긍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99-506
    • /
    • 1999
  • 악골에서 비교적 흔한 빈도로 발생하는 치아종은 치배조직의 과성장으로 인하여 발생한다. 세계보건기구에서는 치아종을 복잡 치아종과 복합 치아종으로 구분하고 있다. 치아종은 악골내 모든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치아와 유사한 복합 치아종은 비교적 상악 전치부에 호발하고, 불규칙한 형태를 나타내는 복잡 치아종은 하악 구치부에 호발한다. 치아종의 원인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며 치배에 대한 국소적인 외상이나 감염이 주된 요인으로 추측되고 있고, 최근에는 유전적인 원인에 대해서도 연구되고 있으나 아직 확실히 입증되지는 않고 있다. 일반적인 증상이 없기 때문에 일상적인 방사선 검사에서 주로 발견되고 영구치의 맹출지연이나 유치의 만기잔존 등의 증상이 있을 수 있다. 치아종은 구강내의 어떤 부위에서도 발생이 가능하고 드물기는 하지만 상악동, 하악의 하연, 하악지 및 하악과두 하방에서 발견되기도 하며, 이공 부위에서 발생되는 경우도 있다. 치아종은 발육중인 치열과 악궁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발견되는 즉시 낭포 및 주위 연조직을 함께 외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자의 연령과 치과치료에 대한 협조도, 영구치열의 발육상태, 치아종의 악골내 위치 및 동시적인 치과치료가 요구되는 가를 고려하여 외래 진료실에서 하는 경우도 있고 전신마취를 통하여 하는 경우도 있다. 본 증례는 치아종의 악골내 위치가 깊지 않고 치과치료에 대한 협조도가 양호하다고 판단되는 환아에서는 외래 진료실에서 국소마취하에 수술하여 치료하였고, 연령이 어리고 치아종의 악골내 위치가 깊어 장시간의 시술 시간이 요구되고 동시에 보존적인 치과치료가 필요한 환아에서는 전신마취하에 치료한 것을 보고한 것이다. 두 증례에서 수술 4개월 후 외과적 결손 부위에 골이 형성되었고, 매복된 영구치의 맹출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심부 매복 정중 과잉치 수술 시 마취방법 선택 (CONSIDERATIONS OF ANESTHETIC METHOD OF DEEP IMPACTED MESIODENS)

  • 민수영;송제선;이제호;최형준;손흥규;김성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90-96
    • /
    • 2012
  • 정중 과잉치(mesiodens)는 대개 상악 절치부에서 발견되며, 주로 구개측에 위치하는 경향이 있다. 정중 과잉치의 자연맹출 가능성이 관찰되면, 주기적으로 검사하여 구강내로 충분히 맹출한 후에 단순발치를 시행한다. 주기적 검사에서 자연맹출 소견이 보이지 않거나, 형태이상 혹은 맹출방향의 이상으로 구강 내로 자연맹출 할 가능성이 없으면, 수술적 제거방법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특히, 인접한 중절치나 측절치의 맹출을 방해하고 있는 상황이 관찰된다면, 빠른 시일 내에 과잉치 제거를 위한 수술적 방법을 시도하는 것이 타당하다. 한편, 외과적 수술의 시기를 늦추는 것을 고려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정중과잉치가 인접하여 발육중인 정상 치아의 맹출을 방해하지 않는 경우이다. 이때, 삼차원 CT사진을 촬영하여보면, 과잉치 주변으로 영구절치의 치배가 근접하여 성곽처럼 둘러싸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미성숙한 치배가 둘러 싸고 있는 상황에서, 무리하게 과잉치를 제거하려고 시도할 경우 인접 치배를 손상시킬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이 점을 고려 한다면, 가급적 인접한 치아의 치근이 보다 발육한 후에 수술을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초등학교 2학년 이상의 어린이들은 외래에서 국소마취하 제거하는 수술방법에 대개 잘 적응하며 고학년이 될수록 보다 수월해진다. 수술시기를 너무 늦추거나, 과잉치가 너무 늦게 발견된 경우 구개측 심부로 깊이 이동한 것을 볼 수 있다. 때로는 과잉치의 위치가 처음부터 심부에 매복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전신마취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증례는 상악 정중부의 깊은 부위에 역위 매복된 과잉치를 외래에서 국소마취하에 치료를 시도할 때 관찰되는 문제점을 고찰하였고, 전신마취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심부 매복된 치아의 외과적 발거시 어린이의 행동조절이 가장 큰 문제였으며, 방사선 소견상 과잉치 치관의 위치가 절치의 치근단보다 상방에 위치할 경우 전신마취로 전환 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사료된다.

기관 협착에서 레이저와 방사선 치료의 적용 (Treatment of Potassium Titanyl Phosphate Laser and Radiation Therapv for Tracheal Stenosis)

  • 김광택;김맹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2호
    • /
    • pp.1237-1241
    • /
    • 1997
  • 기관협착에서 기관절제 문합술을 적용할 수 없을 경우 레이저 소작술은 고식적 치료수기 중 하나로 사용 되고 있다. 저자들이 1995년부터 1996년 5월까지 기도폐쇄병변에서 기도재건수술 전 또는 후에 KTP (Potassium Titanyl Phosphate)레이저를 이용하여 굴곡성 기관지경의 생검용 채널로레이저 소작술을 시행한 치료결과를 보고한다. 레이저 소작술받은 환자는 모두 7명이며, 이중 남자는 3명 여자는 4명이었으며, 평균연 령은 43.7세이었다. 대상환자의 기관협착의 일차 원인은 외상에 의한 기관절개술후 협착의 3례와 폐혈증으로 인한 장기간의 기관튜브삽관이 원인이된 1례, 기관 결핵이 1례, 그외, 폐암이 기관내에 국소 재발한 2례이었다. 레이저 소작술의 치료 대상이 된 기도협착의 경우는 절제 문합후 문합부의 협착재발이 2례, 기관절개소공의 협착이 3 례, 폐암이 국소 재발한 2례이었다. 기관협착기 부위는 삽관의 풍선부위(기관절개공이 형성된 자리로 부터 3-4 cm 하부, carina 상방 2~3 cm)가 1례, 문합부위가 5 mm이하로 좁아진 경우가 4례있었으며, 기관내의 협착랭변은 전벽에서 2명, 후벽에서 1명, 기관전주위(circumferential)협착인 경우가 2명이였다. 레이져 소작술은 평균 25.4$\pm$5.9분의 시간이 걸렸으며, 1768$\pm$365J의 에너지가 조사되었다. 레이저 소작술 실시 후 환자들은 현저한 증상의 호전을 볼 수있었으며, 기관지 내시경하에서 기관의 내경이 7mm이상 커진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레이저소작술 후 합병증으로는 경미한 기관지경축(bronchospasm)이 1례있었다. 레이저소작술을 시행한 후 협착이 재발한 환자 3명에서 보조적 방사선치료를 병행하였다. 방사선 치료가 섬유아 세포의 거대성장을 예방하는 것에 착안하여 기관지내시경하 레이저소작술실시 직후, 4시간 안에 방 사선을 외부조사하였다. 보조적 방사선치료 후 환자들은 현재 10개월이 지나는 동안 재협착이 발생되지 않았다.

  • PDF

심낭삼출액에 대한 검상하 심낭배액술 (Subxiphoid Pericardial Drainage of Pericardial Effusions)

  • 오삼세;장우익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7호
    • /
    • pp.693-700
    • /
    • 1997
  • 싣낭삼출액에 대한 검상하 심낭배액술의 임상적 효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1986년 1월부터 1995년 12월까지 10년간 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에서 검상하 심낭배액술을 시행 받았던 총 8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기록을 분석하였다. 남녀 구성은 남자 39명, 여자 41명이었으며, 연령은 20세에서 80세까지 분포하였고 평균 50$\pm$15세였다. 수술 전 모든 환자에서 심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여 심방삼출을 확인하였다. 50명(62.5%)의 환 자는 전신마취 하에 수술을 시행하였고 30명(37.5%)의 환자는 국소마취 하에서 수술을 시행하였다. 악성종양 에 의한 심낭삼출액은 33례(41.3%)였으며 이들 중 결과 확인이 가능했던 31례의 심낭액 세포검사와 29례의 심낭조직 생검 결과 각각 14례(45%)와 7례(24%)에서 양성이었다. 결핵성 심낭삼출액은 27례(33.8%)였으며 이 들 중 12례(44.4%)에서 확진이 가능했는데, 배양검사에서 결핵균이 자란 경우는 1례 뿐이었고, 조직생검에서 건락괴사를 동반한 만성 육아종성 염증소견이 확인된 경우는 12례였다. 수술사망은 14례(17.5%)였으며 모두 악성 심낭삼출 환자였다. 수술사망 환자 중 수술수기와 직접 연관되어 사망한 경우는 없 駭\ulcorner 수술사망 14례를 제외한 나머지 66명의 환자들에 대한 추적관찰 기간은 9일에서 5년까지로, 평균 452일이었다. 추적기간 중 심낭삼출의 재발로 다시금 심낭배액술이 필요했던 경우는 모두 6례(7.5%)였으며 그중 1례는 재수술 직후 갑작스런 심정지로 사망하였다. 만성 압박성 심낭염으로 이행되었던 경우는 4례(5%)였으며 이들 중 2명은 심낭절제술을 시행 받았다. 결론적으로 검상하 심낭배액술은 비교적 간편하고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으며, 심낭배액술시 시행하는 심낭액 세포검사와 조직생검을 통해 원인 진단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