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atidae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1초

팔당호에서 겨울철새 분변에 의한 질소와 인 오염부하량 산정 (Estimating the Nitrogen and Phosphorus Loads of Wintering Waterfowl Feces in Lake Paldang)

  • 이장호;박혜경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311-316
    • /
    • 2010
  • We estimated the nitrogen and phosphorus loads of wintering waterfowl feces in Lake Paldang. The average number of individual birds that belonged to Anatidae species was 2,852.5 from 2005 to 2008 in Lake Paldang. The number of Anatidae reached 97.4% of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 birds. For evaluating the loading amounts of N and P by waterfowl to Lake Paldang, the feces dry weight (g/day) of each Anatidae species was estimated by multiplying the body weight of the each bird by 2.25% and assumed that N and P in feces contain 1.46% and 0.33%, respectively. We assigned probability 1/3 to the nutrient decomposition of the bird feces in water. The nitrogen loading by wintering waterfowl feces was 0.06 ton/year and the phosphorus loading was 0.001 ton/year. These amounts were 0.0002% of all N loadings and 0.0001% of all P loadings. Therefore the wintering waterfowl might have little impact on the water quality in terms of eutrophication in Lake Paldang.

The First Report of Two Feather Mites (Acariformes: Astigmata) from the Eastern Spot-billed Duck, Anas zonorhyncha (Anseriformes: Anatidae), in Korea

  • Yeong-Deok Han;Sergey V. Mironov;Gi-Sik Mi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9권4호
    • /
    • pp.254-263
    • /
    • 2023
  • Two feather mites, Brephosceles anatina Dubinin, 1951 (Analgoidea: Alloptidae) and Freyana anatina (Koch, 1844) (Pterolichoidea: Freyanidae), have been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e Eastern Spot-billed Duck, Anas zonorhyncha Swinhoe, 1866 (Anseriformes: Anatidae), in Korea. The genera Brephosceles Hull, 1934 and Freyana Haller, 1877 are new records of Korean fauna. The morphology of B. anatina is distinguished from three species of the lambda species group in having legs IV extending the level of setae e2 with the distal end of the tarsus in males, and the incision on the posterior margin of the hysteronotal shield triangular-shaped and distinctly longer than its greatest width in females. Freyana anatina is distinguished from F. nyrocae and F. obliquasetae in having setae ps1 with a rectangle bend in homeomorphic males, and setae ps1 obliquely ovate and divergent, with the inner canal going obliquely across the membranous part of these setae in females. This study provides morphological redescriptions of both feather mite species supplemented with partial sequences of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COI), based on specimens collected in Korea.

도림천 및 주변지역에 서식하는 육상동물상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Ecological Studies of Fauna in and around Do-rim Urban Streams)

  • 이상돈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05-113
    • /
    • 2009
  • 습지생태계는 자연에서 가장 생산성이 높은 지역중 하나이다. 습지는 육상생태 및 하천생태의 전이지대이다. 본 연구는 도심하천 중의 하나인 도림천의 생물상(조류, 포유류, 양서,파충류)에 대한 현장조사를 수행한 연구이다. 총 3목 6과 9종의 포유류가 관찰되었으며, 17과 30종의 조류, 3과 4종의 양서류가 2과 및 3종의 파충류가 관찰되었다. 도림천은 도심하천이지만 다양한 생물상이 조사되었으며, 본 기초연구는 향후 이 지역의 습지 및 하천생태복원과 종들이 번식하고 생존하는 비오톱 연구에 사용될 예정이다.

  • PDF

낙동강 하구 관리를 위한 조류종의 선정 (Selection of Bird Species for the Nakdong River Estuary Management)

  • 김범수;여운상;오동하;성기준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615-623
    • /
    • 2016
  • Bird species (BS)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NRE) were selected to suggest conservation and management strategies, taking habitats and major threats into consideration. Five BS (Cygnus spp., Calidris alpina, Sterna albifrons, Fulica atra, and Anser fabalis) were selected following analysis of their dominance, national importance, seasonality, taxonomic group, and distribution within the NRE. The BS comprise two winter birds, one summer, one passage bird, and one resident bird. They can also be classified into four taxonomic groups: two under ducks and geese (Anatidae), and one each under gulls (Laridae), shorebirds (Scolopacidae), and diving birds (Rallidae). The results show that BS could be a useful tool in guiding estuary management because their habitats are clearly distinct, and include important areas of the NRE. A reduction of feeding and resting places-such as tidal flats, Scirpus planiculmis habitat, and agricultural farmland-and climate change are major threats to BS, therefore countermeasures to such threats should be considered in future estuary management plans.

한반도 중서부 지역 논습지를 이용하는 조류 현황 (Status of Birds using Rice Fields in Mid-we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 남형규;김미란;최그린;장둘리;최승혜;조광진;최락중;최순군;방혜선;나영은;김명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43-147
    • /
    • 2016
  • BACKGROUND: Rice field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habitats for various bird species. The list of bird species occurred in rice fields in Korean peninsula have been documented. However, information of listed bird species is included not only rice fields but also other wetland habitats such as lakes, tidal flats and rivers. Therefore, the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status of bird observed in rice fields of Korea.METHODS AND RESULTS: Birds using rice fields defined as birds which forage or rest on rice paddies, levees, ditches and farming roads. Birds using rice fields recorded as total 124 species belonging to 40 families. Anatidae and Scolopacidae were the best represented family, followed by Ardeidae, Accipitridae, Motacillidae and Emberizidae; 50% of species belonged to these six families. 18 of 124 endangered wild species, which designated threatened at the national scale, found in this study regions.CONCLUSION: Despite interest in birds using rice fields of Korean peninsula, knowledge of birds and rice fields there is extremely limited. We need more studies to understand and conserve for birds in rice fields of Korea.

우리나라 논 이용 조류 현황 (Status of Birds Using a Rice Paddy in South Korea)

  • 김미란;남형규;김명현;조광진;강기경;나영은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55-165
    • /
    • 2013
  • 본 연구에서 문헌 조사를 통하여 우리나라에서 논을 이용하는 조류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논을 이용하는 조류는 논의 본답, 논둑, 저수지 또는 관개 수로에서 번식, 휴식 또는 취식을 하는 조류로 정의하였다. 1980년대 이후부터 출판된 자료에 따르면, 논을 이용하는 조류는 총 47과 279종이었다. 도요 물떼새과(18%), 매, 수리 및 올빼미과의 맹금류(12%), 오리과 (11%)의 조류가 논을 주로 이용하였다. 논 이용 조류 중 절반은 겨울철에 건답을 이용하였으며, 39.4%는 봄이나 가을 또는 여름에 습답을 이용하는 종이었다. 논 의존도는 오리류, 백로류 및 도요류가 높았다. 수면성오리 개체군은 지난 12년 동안 감소한 반면에 두루미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높은 논 의존도를 갖는 멸종위기종은 두루미, 재두루미, 검은목두루미, 흑두루미, 개리, 흰이마기러기와 따오기였다. 논은 다수의 멸종위기종을 포함하여 다양한 조류에게 사계절 내내 중요한 서식지로 제공되고 있다.

낙동강하구(洛東江河口)의 겨울새 현황조사(現況調査) (A Survey on the Present Condition of Winter Birds in the estuary of Nakdong River)

  • 류환정;김재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3권1호
    • /
    • pp.1-8
    • /
    • 1984
  • 낙동강(洛東江) 하구(河口)의 겨울새 현황(現況)을 거리별(距離別)과 시간별(時間別), 지대별(地帶別), Section 별(別), Point 별(別)로 조사(調査)한 바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조사(調査)된 총(總) 조류(鳥類)의 수(數)는 27과(科) 82종(種)에 해당(該當)되는 70,032개체(個體)였다. 2) Km당(當) 밀도(密度)는 2,103,06개체(個體)였고 hr 당(當) 밀도(密度)는 23,344,00개체(個體) 였는데 그 중(中) 오리과(科)가 65.13%로서 가장 높은 우점도(優占度)를 나타내었으며 그 다음이 도요과(科)(14.55%)와 갈매기과(科)(7.28%)의 순(順)이었다. 3) 지대별(地帶別)로 보면 갯벌과 습지(濕地)에 61.8%가 서식(棲息) 하고 있었고 수면(水面)에 31.9%, 공중(空中)과 육상(陸上)에 6.4%로 되어 있었다. 4) Section 별(別)로 보면 전(全) 5개소(個所)의 Section 중(中)에서 Section 3의 것이 22,852개체(個體)(30.0%)로서 제일(第一) 많이 분포(分布)되어 있었다. 5) 이 지역에서는 청둥오리와 혹부리오리, 쇠기러기, 흰쭉지, 믿물도요, 괭이갈매기 등(等)의 6종(種)이 차지하는 비율(比率)이 83.1%로서 이 6종(種)이 낙동강(洛東江) 하구유역(河口流域)에 도래(渡來)하는 전(全) 겨울새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종류(種類)였었다.

  • PDF

낙동강하구에 서식하는 천연기념물 조류의 분포 현황 (Distribution Status of Natural Monument Birds in Nakdong River Estuary)

  • 유재평;강정훈;진선덕;백인환;함규황;백운기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3권1호
    • /
    • pp.86-99
    • /
    • 2010
  • 2007년 3월부터 2008년 2월까지 낙동강하구에서 관찰된 천연기념물 조류는 검은머리물떼새(Haematopus ostralegus; 제326호), 원앙(Aix galericulata; 제327호), 고니(Cygnus columbianus; 제201-1호), 큰고니(Cygnus cygnus; 제201-2호), 저어새(Platalea minor; 제205-1호), 노랑부리저어새(Platalea leucorodia; 제205-2호), 참수리(Haliaeetus pelagicus; 제243-3호), 흰꼬리수리(Haliaeetus albicilla; 제243-4호), 잿빛개구리매(Circus cyaneus; 제323-6호), 황조롱이(Falco tinnunculus; 제323-8호), 개리(Anser cygnoides; 제325-1호) 등 총 11종 2,209개체였다. 특히, 국내 철새도래지 중 2,000개체 이상의 큰고니(Cygnus cygnus)가 월동하는 곳은 낙동강하구가 유일하다. 을숙도와 명지 갯벌 및 사구주변의 간석지(명금머리, 백합등, 도요등, 장자도 등)는 노랑부리저어새, 큰고니, 개리 등 천연기념물 조류의 주요 서식지이며, 세모고랭이(Scirpus triqueter), 갈대(Phragmites communis) 등의 수생식물군락은 큰고니를 비롯한 오리류의 채식 및 휴식처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낙동강하구의 서식지 및 천연기념물 조류의 보호와 관리 방안으로 수질오염의 최소화, 수생식물의 서식지 조성 및 관리, 사구 및 갯벌의 보호, 안정적인 서식지 확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