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alysis of fire service area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5초

촛불화재사례 및 재현실험을 통한 화재예방대책 연구 (A Study on Fire Prevention Measures through Candle Fire Case and Reproduction Experiment)

  • 이정일;김영수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2-19
    • /
    • 2019
  • 연구목적: 촛불화재는 매년 같은 유형으로 반복되어 사상자가 발생하고 있기에 화재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주로 발생되는 형태를 재현실험을 통해 분석하여 동종의 화재를 줄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촛불화재 분석을 위해 아크릴 재연실험, 포멕스(FOMEX) 아크릴 재연실험, 일반가연물 재연실험, 촛불의 자연소화 재연실험 등 4가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주변에 가연물의 접촉이 없으면 지속적인 연소가 이루어지기가 힘들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촛불화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주변 안전확인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초 말단에 은박지와 같은 불연 재료로 마감 처리하는 등 안전규정을 도입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공공데이터를 이용한 습도 및 온도와 실화 발생 간의 관계분석 (An Relational Analysis between Humidity, Temperature and Fire Occurrence using Public Data)

  • 송동우;김기성;이수경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2호
    • /
    • pp.82-90
    • /
    • 2014
  • 최근 공공정보의 개방과 공유를 위한 정부 3.0 운영 패러다임에 따라 기상청과 소방방재청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습도 및 온도와 화재 발생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습도 및 온도와 화재 발생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습도 및 온도범위대비 시간당 화재 발생 빈도의 개념을 분석방법으로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습도 및 온도에 따른 화재 발생 빈도의 경향을 파악해 보았으며, 세부속성에 대한 특성을 통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지역별로 습도범위를 나누어 시간당 화재발생 빈도를 구한 결과, 모든 지역에서 습도가 낮을수록 빈도가 높아지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온도범위에 따른 시간당 화재 발생 빈도도 지역별로 유사한 경향을 확인하였다. 또한, 화재유형, 발화열원, 최초 착화물, 발화요인 등 대상속성별 특성을 분석하였고, 특징적인 경향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은, 국가화재정보시스템의 화재통계현황에서 범주별로 빈도 제시할 때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산림 내 도로의 확대는 대형산불을 막을 수 있는가? (Can the Expansion of Forest Roads Prevent Large Forest Fires?)

  • 홍석환;안미연;황정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439-449
    • /
    • 2023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형산불의 진화에 있어 임도(산림도로)의 역할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그간 발생한 대형산불 중 도로밀도가 가장 높은 지역 중 하나인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에서 발생한 2023년 4월 산불피해지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산불피해지역 범위는 현장확인하였으며, 산불의 피해강도는 Sentinel-2 영상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후, 피해범위 및 강도와 산림도로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전체 149.1ha의 산불피해지역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피해지역 경계로부터 50m 이내에 조성된 도로는 약 59.6km로, 인접지역을 포함한 산불피해지역의 도로밀도는 무려 168.9m/ha에 달했다. 도로에 의해 단절된 산림은 모두 83개소로 파편화되어 있었는데, 이들 산림은 모두 비산화에 의한 확산으로 판단할 수 있어, 도로가 산불의 차단선 역할을 하지 못했음이 확인되었다. 진화차량 접근의 용이성에 따른 피해정도를 살펴보기 위해 도로로부터의 거리별 피해강도 분포를 살펴본 결과, 낮은 강도의 피해를 입은 지역은 오히려 도로에서 75m이상 떨어진 곳에서 비율이 대폭 높아짐이 확인되었다. 진화인력의 접근 용이성에 따른 피해정도를 살펴보기 위해 해발고별 피해강도 분포를 살펴본 결과 약한 강도의 피해를 입은지역 비율은 해발고가 높아질수록 늘어난 반면, 강한 강도 이상의 피해지역은 반대로 해발고가 높아질수록 비율이 줄어들었다. 강릉시 난곡동 산불피해지역에서 산림내부 혹은 인접한 도로가 산불진화에 효과적이라는 데이터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산림 내 임도밀도를 높이는 것이 산불진화에 효과적이라는 논리와 배치된다. 강릉시 난곡산불지역의 경우 현재 산림청이 주장하는 우리나라 임도밀도인 3.9m/ha에 비해 무려 43배나 높다.

배선에서의 반단선 및 접촉불량에 대한 열적 전조 DB구축 (Development of Thermal Precursor DB for Partial Disconnection and Poor Contact on Electrical Wire)

  • 김두현;김성철;이종호;강동규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0-36
    • /
    • 2009
  • This paper aims at the precursor analysis and DB development of electrical fires based on thermal and current signals for partial disconnection and poor contact on electric wires through experiments and simulations. Also, DB system required for developing the precursor DB with these data was studied and designed. Firstly, in case of partial disconnection,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and analyzed by experiment and electrical-thermal finite element method(Flux 3D) on the model wires which consist of VCTF and IV electric wir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bout 351 partial disconnection precursor patterns were generated by the thermal analysis for electric wire according to deterioration time under normal state and 200% overload state of rated current. Secondly, in order to develop poor contact precursor patterns, temperature value and the current signal were considered. In simulating the poor contact situation on connector area of MCCB, connection torque was changed. Through the experimental analysis, about 251 poor contact precursor patterns were generated. Finally, Using thermal precursor patterns obtained by partial disconnection and poor contact, electrical fire thermal precursor DB was developed.

급기가압 제연설비의 내부 유동특성에 대한 수치해석 (Numerical Analysis on Flow Characteristics in the Pressurized Air Supply Smoke Control System)

  • 고권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4호
    • /
    • pp.52-5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급기가압에 따른 건축물 내부의 공기유동에 대한 수치해석을 수행하고 거실, 부속실 및 계단실 간의 차압분포 및 유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유동 해석은 유효누설면적을 측정하기 위해 제작된 누기율 시험설비에 대하여 수행하였으며, 급기가압에 따른 각 실의 압력 및 유속분포 등을 분석하였다. 본 해석에서 공기의 누설은 유효누설면적을 갖는 얇은 틈새를 방화문과 창문에 위치시키는 방법으로 모사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한 해석은 계단실과 부속실 간의 차압에 대한 기존 실험의 결과를 적절히 예측하였다. 해석 결과를 통해 국부적인 누설이 급기가압 제연 설비의 전체적인 유동 패턴 및 압력 분포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거실-부속실 문 단면에서의 평균속도가 방연풍속에 대한 국가화재안전기준을 만족하였으나 문의 상부와 같은 국부적인 위치에서 부속실로의 유출이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인구비례 응급출동 현황 분석 (An Analysis of Emergency Transport Proportional Population)

  • 김철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449-45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관할구역 인구분포와 대비하여 출동건수를 파악하였으며, 출동하여 실제 병원으로 이송한 비율을 파악함으로서, 실제 인구현황과 출동건수와 병원 이송환자의 비율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우리는 2010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3년 동안 대상 지역인 D광역시 소재 5개 소방서별 출동건수를 파악하였으며, 출동현황을 병원 이송과 미 이송으로 데이터를 분석했다. J 소방서에서 출동건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병원 이송건수와 미 이송 건수에서도 가장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반대로, B 소방서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관할구역 인구수에서는 S소방서 관할구역 인구수가 가장 많았으며, D소방서 관할구역 인구수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총 출동건수에 의해 병원 이송 건수와 병원 미 이송건수가 유의하게 증감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인구수에 의한 상관관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 산불이 맹금류 서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orest Fire on the Raptor Habitation)

  • 한성우;이준우;백운기;이한수;김인규;홍길표;강정훈;백인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85-392
    • /
    • 2005
  • 본 연구는 대형 산불이 발생한 강원도 고성군 산불피해지 역에 서식하는 맹금류의 현황을 통해 산불피해지 역이 맹금류의 서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고성군 산불피해지역에서 관찰된 맹금류는 총2목 3과 8종 최대 개체수 합계 28개체가 확인되었다. 최우점종은 새홀리기였으며, 말똥가리, 황조롱이, 붉은배새매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2002년 5월에 가장 많은 종과 개체수가 관찰되었으며, 부분적 미피해지역과 미피해지역에서 5종으로 가장 많은 맹금류가 관찰되었다. 이 한 맹금류들의 종과 개체수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산불피해지 역에 맹금류들이 둥지를 만들 수 있는 조건을 조성해준다면, 산불피해지 역에 서식하는 맹금류의 종과 개체수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판단된다.

NBR과 MaxEnt 모델 분석을 활용한 희귀특산식물(개느삼) 분포 및 피해량 예측 - 양구 비봉산 산불피해지를 대상으로- (Prediction of Potential Habitat and Damage Amount of Rare·Endemic Plants (Sophora Koreensis Nakai) Using NBR and MaxEnt Model Analysis - For the Forest Fire Area of Bibongsan (Mt.) in Yanggu -)

  • 윤호근;이종원;안종빈;유승봉;박기쁨;신현탁;박완근;김상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69-182
    • /
    • 2022
  • 본 연구는 산불피해가 발생한 접경지역 산림 내 희귀특산식물(개느삼) 분포를 예측하고 피해를 정량화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산불피해강도에 따른 산림면적 피해(NBR), 임상도를 통한 수종별 피해(Vegetation map), MaxEnt 모델 분석을 수행, 보다 정밀한 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우선, 산불피해강도 분석은 위성영상(Landsat-8)을 활용하여, 산불피해강도(ΔNBR2016-2015)를 분석하고 피해범위를 도출하였다. 임상도 작성은 환경부의 토지피복도, 산림청의 임상도, 자체적으로 식생조사를 진행하여, 산불 전·후의 임상도를 작성하고, 수종 피해 및 변화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MaxEnt 모델 분석은 관련문헌과 자체조사 자료를 기준으로 작성된 개느삼 실제서식지 좌표를 활용하여, AUC(Area Under Curve) 값을 도출하였다. 분석된 결과의 정밀도를 높이고자, 임상도와 결합하여, 개느삼이 주로 분포하는 소나무 군락 및 소나무-참나무림 군락을 대상으로 재분석한 결과, 대상지 내 개느삼 실제출현 좌표 325개소 중 299개 지점에서 개느삼 출현가능성이 92.0%로 예측되어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해당 자료를 산불피해강도(ΔNBR2016-2015) 자료와 중첩한 결과, 산불피해지 내 개느삼 서식가능지(예측) 면적 44,760 m2의 45.9%인 20,552 m2가 훼손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불로 인해 훼손된 희귀식물 서식지 면적을 정량화하고 희귀식물 보전·관리를 위한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119 구급대원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Turnover Intention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 배기숙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5-80
    • /
    • 2010
  •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who are fire fighters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emergency patients with first ai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ir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nd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Method :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152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working at fire stations in an area of Gyeonggi-do during the period from July 15 to September 14, 2009. Job satisfaction was measured with a tool developed by Kim Sun-sim and Kwon Hye-ran (2002) based on the Index of Work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with the tool developed by Becker (2002) and translated and used by Cho Yeong-sook (2002).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11 questions on general characteristics, 35 on job satisfaction, and 4 on turnover intention, so a total of 50 questions.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was Cronbach's ${\alpha}=0.922$ for job satisfaction and Cronbach's ${\alpha}=0.854$ for turnover intention. Using SPSS 14.0, we obtained frequencies, percentag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and performed independent two-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Cronbach's ${\alpha}$. Results : 1) The mean score of the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job satisfaction was 2.71, and that of their turnover intention was 2.64. By area of job satisfaction, the mean score was 3.44 for the area of job itself, 2.92 for the interaction area, 2.67 for the organizational demand area, 2.64 for the autonomy area, 2.14 for the wage area, and 1.91 for the working condition area, showing that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ir job itself but not with their working condition. 2) As to difference according to the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general characteristic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license type (F = 4.729, p < .010), and in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position (F = 3.768, p < .025). 3) The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was in a nega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r = -.44, p < .000) in general, and by the sub-areas of job satisfaction, the correlation with turnover intention was high in order of the autonomy area (r = -.42, p = .000), interaction area (r = -.42, p = .000), job itself (r = -.35, p < .000), organizational demand area (r = -.30, p = .000), wage area (r = -.23, p = .000), and working condition area (r = -.21, p = .008). Conclusion : The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job satisfaction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ir turnover intention. This suggests that turnover intention can be reduced by improving job satisfaction. Furthermore,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job satisfaction was high with the job itself, showing their high pride in their job, but was low with working condition and wage. Thus,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ir job satisfaction by improving the 24-hour work system through supplementing manpower, compensating for overtime works, adjusting work hours per week, etc.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ful in making human resource management plans to lower turnover intention by enhancing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job satisfaction.

  • PDF

국가지휘 무선통신망 구축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ational Comm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nstruction and Operation)

  • 이창주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91-119
    • /
    • 2005
  • When the national disaster accident is occurred,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mutual cooperation system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the construction of the national unified command wireless network is necessary. In this paper, the specified state of the characteristic frequency of the digital TRS wireless network constructed recently is investigated and analyzed. Through the analysis, the problems of the construction of the national unified command wireless network are grasped. To solve the problem, it is proposed that the digital TRS wireless network is connected with the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and connected with the existing wireless network, LMR. In the concretely it is proposed that the natural unified wireless network should be proceeded step by step. At first, for 2 years the existing networks of the Fire Fighting Agency, the Police, the Forest Service and so on must be utilized and prepared to link with TRS. The second, for 2 years it is carried forward a scheme to maintain the properties of the agencies concerned. Further, it must be prepared to connect with satellite network. At third, for 2 years all agencies concerned with the fire fighting and the disaster prevention must be unified, and the systems have to be promoted for the p1an of linkage of TRS network and the existing network. Next the agencies concerned have to be unified and the authority has to be intensified. When a disaster is occurred,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has to play a central role. In a local area it has to be given the Fire Fighting Agency an authority and a duty to get ready for each emergency situ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