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alysis of Mathematics Textbook

검색결과 324건 처리시간 0.022초

Case Analysis of Modeling Lessons

  • Noh, Jihwa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5권2호
    • /
    • pp.217-237
    • /
    • 2019
  • This Modeling is a cyclical process of creating and modifying models of empirical situations to understand them better and improve decisions. The role of modeling and teaching mathematical modeling in school mathematics has received increasing attention as generating authentic learning and revealing the ways of thinking that produced it. In this paper and interactive lecture session, we will review a subset of the related literature, discuss benefits and challenges in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al modeling, and share our attempts to improve traditional textbook problems so that they can become more authentic modeling activities and implications for instruction and assessment as well as for research.

들이와 무게의 단위에 대한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분석 (An Analysis of Capacity and Weight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권미선;방정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9권2호
    • /
    • pp.385-40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들이와 무게의 단위에 대한 내용을 단위, 단위 사이의 관계, 표준 단위의 필요성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단위와 관련하여 제5차 수학 교과서부터 2009 개정 수학 교과서까지 교과서에 제시된 단위의 표현, 단위의 표기, 단위의 종류, 단위의 기본량의 제시 방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2009 개정 수학 교과서의 내용은 국제단위계와 대체적으로 일치하지만 물의 무게를 통해 1kg을 정의하는 방식이 국제단위계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 사이의 관계와 관련하여 교과서에서는 대체적으로 단위 사이의 관계를 글로 제시하고 있었으나 2009 개정 수학 교과서에는 발문과 그림을 통해 그 이해를 돕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표준 단위의 필요성과 관련하여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임의 단위의 불편함을 통해 표준 단위의 보편성, 편리성을 모두 인식할 수 있는 활동이나 발문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토대로 교과서에서 들이와 무게의 단위 제시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인공지능 수학> 교과서의 '관련 학습 요소' 반영 내용 분석 (An Analysis of 'Related Learning Elements' Reflected in Textbooks)

  • 권오남;이경원;오세준;박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5권4호
    • /
    • pp.445-473
    • /
    • 2021
  •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신설 과목으로 설계된 <인공지능 수학> 교과서를 분석하여 차기 교육과정 설계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인공지능 수학> 시안을 담은 수학과 교육과정 문서에서는 '학습 요소' 대신에 '관련 학습 요소'를 제시하고 있다. '관련 학습 요소'는 인공지능의 맥락에서 활용될 수 있는 수학적 개념이나 원리로 정의하고 있는데 '관련 학습 요소'를 다루는 범위와 방법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제한은 없다. 이에 '관련 학습 요소'가 <인공지능 수학> 교과서에서 반영된 양상을 형식, 범위와 방법, 공학적 도구 활용 방식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교과서별로 '관련 학습 요소'를 교과서에 기술하는 형식상의 차이와 수학 개념을 취급하는 양과 범위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관련 학습 요소'를 하나의 수학 개념과 동일하게 정의하여 사용한 경우와 정의보다는 인공지능의 맥락에서 설명 위주로 서술하였다. '관련 학습 요소'를 인공지능의 맥락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교과서별로 유사한 공학적 도구를 다루었지만, 계산과 결과를 해석하는 활동 중심이었다. 고등학교 수학 과목으로서 <인공지능 수학>의 지향을 교과서에 충분히 반영하기 위해서 '관련 학습 요소'에 관한 체계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또한, 학생들이 인공지능 맥락의 활용 사례를 경험하기 위해서는 공학적 도구를 활용하여 문제를 설정하고 해결할 수 있는 내실화된 활동이 교과서에 구현되어야 할 것이다.

초등수학 교과서의 자료와 가능성 영역에 제시된 발문의 유형과 기능 분석 (An analysis of types and functions of questions presented in data and chance area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 도주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0권3호
    • /
    • pp.265-27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초등수학 교과서의 자료와 가능성 영역에 제시된 발문을 학년군별로 비교 분석하여 발문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학년군별로 교과서에 제시된 발문의 유형 및 기능별 출현 비율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학년군별 학습 내용 및 학년군의 특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발문의 기능은 발문의 유형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수학의 자료와 가능성 영역 지도 시 발문 사용에 대한 교수·학습상의 기초를 제공하여 발전적인 방향으로 통계교육이 이루어지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중국 연변 수학 교과서의 실천과 종합응용 영역에 나타난 학습내용 분석 (Analysis of the contents of Practice and Synthetic Application area in Yanbian Textbooks)

  • 이대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319-33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수학과 '교육과정표준'에서 4개의 하위 영역 중 하나로 제시하고 있는 실천과 종합응용의 내용을 구현한 연변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연변교육출판사에서 출판한 12권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를 이용하여 실천과 종합응용 내용을 분석하였다. '교육과정표준'의 실천과 종합응용에서는 수학적 지식과 경험을 활용하고 응용하여 도전적이고 종합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주요 학습내용에 대한 이해와 연계를 체험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교과서 분석 결과, 실천활동에서는 상황적 배경이 대부분 교실 안에서 할 수 있는 활동으로 제한되어 있다는 것과 종합응용에서는 수학 지식의 상호연계성을 인식할 수 있는 활동이 적다는 한계를 보였다. 수학적 과정 면에서는 문제해결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부분적으로 의사소통 활동이 제시되어 있었으며, 추론 활동이 적게 나타났다. 또 수학적 활동에서도 대부분 체험활동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수학적 지식을 타 교과나 타 영역에 통합할 수 있는 통합적 활동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중학교 1학년 수학교과서의 실세계 기반 과제 분석: 융복합교육의 맥락과 방식을 중심으로 (Korean Mathematics Textbook Analysis: Focusing on a Context of Yungbokhap and on Ways of Integration)

  • 문종은;박미영;주미경;정수용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7권3호
    • /
    • pp.493-513
    • /
    • 2015
  • 학교교육개선을 위한 방안으로서 융복합교육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는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1학년 수학교과서 13종에 수록된 실세계 기반의 과제 880개를 대상으로 융복합 맥락 차원 및 융복합 방식 차원과 관련하여 과제 구성상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융복합교육의 맥락 차원에서는 개인적 맥락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융복합 방식 차원에서는 타 교과의 제재가 수학 문제해결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거나 단순하게 설명문 형식으로 제시되어 있는 순차모형의 과제가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수학교과를 통해 학습자의 융복합적인 역량을 함양하고 문 이과 통합을 통해 융합적 사고를 증진시키려는 목표를 달성하기에는 현행 교과서의 구성이 매우 제한적임을 보여주는 결과로써, 학습자가 살아갈 미래사회와 세계사회 맥락에서의 탐구가 가능한 과제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타 교과의 지식 및 사회적인 쟁점과 수학교과를 융복합교육의 관점에서 보다 의미 충실하게 연결할 수 있는 과제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초.중.고 수학교과서 해석영역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rticulation of the Analysis part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 송순희;김윤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37권1호
    • /
    • pp.87-99
    • /
    • 1998
  • Mathematics education is very important in future because mathematics is the basis of every study, for example, natural and social science, etc. Our nation wide curriculum has been revised six times since 1948. In 1992, the sixth revision was enforced and we are using the revised textbook now. This study aims at helping of continuous investigation for educ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 and aims at efficient teaching by preventing unnecessary repetition and excessive gap in real field by analyzing the articulation of Analytics part in school textbook from elementary to high school. This thesis consists of the followings. 1.Investigation of the principles and natures of articulation along with curriculum course and notice the articulation based on the analysing tools. 2.Importance of learning functions. 3.To get the propriety, formation of 8 judging group and classification of content materials in function chapters by the judges based on the analyzing tools. 4.Analysis of presentation method and terminologies in the first concepts, suggestion teaching method to reduce gap and help of understanding on first concepts in the study of function. As a result 'development' consists of 55.8% of the total and it is higher than 'duplication' and 'gap'. To be specific in periods, betwee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development' takes 64.5% and this shows an acceptable articulation in the period. While 39.4% of 'gap' in articulation betwee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looks high compared with 'gap' between the previous periods. The item suggested with the 'gap' is the 'definition of function', 'value of function', 'parallel translation', 'exponential and logarithmic function'. It is observed that these materials is suddenly appeared in high school.

  • PDF

예비초등교사의 수학교과서에 대한 은유 분석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metaphors on mathematics textbooks)

  • 김진호;김상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3권1호
    • /
    • pp.147-16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metaphors on mathematics textbooks. Their metaphors describe individual and collective patterns of thinking and action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To analyze their metaphors, qualitative analysis method based on Lakoff and Johnson's theory of metaphor (1980) was adopted. Metaphors on mathematics textbooks were elicited from 161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rough writing prompts. The writing prompt responses revealed three types and thirteen categories: As Type I, there were (1) 'Principles', (2) 'Summary', (3) 'Manual', (4) 'Encyclopedia', (5) 'Code', (6) 'Guidelines', and (7) 'Example'. As TypeII, there were (9) 'Assistant', (10) 'Friend', (11) 'Scale', and (12) 'Ongoing'. As TypeIII, there was (13) 'Trap'. Among these categories, 'Guidelines', 'Assistant', and 'Ongoing' were the most frequently reveal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relations of mathematics curriculum, textbooks, and classrooms are not a unilateral way but shoul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교수공학 친화적, 실용적, 교수학적 변환의 실제적 연구(10-나 삼각함수 단원을 중심으로) (A Practical Study on Didactical Transposition in the Highschool Trigonometric Function for Closer Use of Manipulative, and for More Real, Principle Based)

  • 이영하;신정은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1권1호
    • /
    • pp.111-129
    • /
    • 2009
  • 본 연구는 교육적 의도를 가지고 학문적인 지식을, 가르칠 지식으로 변형하는 일, 즉 지식의 교수학적 변환(didactical transposition)에 관한 것으로서,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라 개편된 13종의 10-나 수학 교과서에서 삼각함수 단원의 내용 배열순서 및 설명방식을 분석하고 그 결과, 교수법적 어려움과 서술의 논리성 및 학생의 이해를 함께 고려할 때, 나타나는 교수학적 변환의 어려움은 무엇이며 이를 위한 대안적 교수학적 변환의 방법이나 실제적인 어려움 해소 방안은 무엇인가를 생각해 보았다. 이를 위해 13종의 수학교과서 10-나 단계 삼각함수 단원의 설명방식의 차이를 위주로 비교 분석하고, 그 결과를 최근의 교수법 이론과 암묵적으로 비교하여 새 교수법의 적용 가능성을 높이는데 개연적이나마 도움이 되리라고 예상되는 대안적 내용서술 지도방안(부채꼴, 삼각함수의 그래프, 성질, 주기, 사인법칙에 대한 내용을 위주로)을 제안하였다.

  • PDF

정보 분석 및 활용 측면에서의 중학교 2학년 확률 단원 분석 (An Analysis of the Probability Unit in the Middle School Textbook 8-B in the Aspect of Information Analysis and Utilization)

  • 이영하;권세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1권3호
    • /
    • pp.389-413
    • /
    • 2009
  • 이 논문은 7차 교육과정 중 중학교 2학년 확률 단원의 지도 목표를 정보 분석 및 활용 능력의 신장이라 가정하고, 교과서 구성에 이러한 관점이 반영되어 있는지를 살펴본 연구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능한 모든 경우를 나열해 보는 것을 강조하고, 조직적으로 나열해 보는 경험을 통하여 경우의 수를 구하는 공식을 도출해낼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둘째, 사건의 발생 빈도인 상대도수를 통하여 경험 중심으로 확률 개념을 지도하면서, 다양한 분포자료로부터 확률을 계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셋째, 고등학교 과정보다 조금 더 직관적인 예를 이용하여 영향을 주는 사건에 대한 명확한 인식이 가능하도록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가능성의 원리를 인식하여 가능성의 크기를 생각할 수 있도록 하고, 확률의 비추이성을 지도하는 것이 적절해 보인다. 다섯째, 학생들이 확률 단원을 학습함으로써 어떠한 행동의 변화를 기대할 수 있는지에 대한 목표를 좀 더 부각시키는 것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