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alysis of Learning Accomplishment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2초

초등학생의 과학선호도 (The Preference for Science of the Elementary Students)

  • 전우수;임성민;윤진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2권1호
    • /
    • pp.81-96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up the promoting plan of science preference by survey and analysis of the preference for science of the elementary students. The preference for science is defined theoretically with three categories ; they are emotional response, behavioral response and value establishment. Causal factors of the science preference were composed of individual factor, educational factor and social factor. According to this theoretical model,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administered to 696 students of 4,5,6 grade of randomly selected eight elementary schools all over the nation. Elementary students liked science, but they didn't want to select their future job in science-technology area. The science preference of boys was higher than that of girls. The science preference of 4th grad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5th and 6th grade students. Individual factor affected the curiosity. learning interest, subject accomplishment on the science and course selection in life. Educational factor not only directly affected the curiosity. learning interest, value establishment and belief of the science but also indirectly affected the individual factor and social factor. Therefore, educational factor was the most important on the science preference. Social factor only affected the value establishment and belief on the science. Elementary students wanted to team science through experiment and they wanted science to be easier than that of now. On the analysis of result, the promoting plan of the science preference was suggested.

  • PDF

취약성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한 웹기반 코스 스케줄링 멀티 모듈 시스템 (A Course Scheduling Multi-module System based on Web using Algorithm for Analysis of Weakness)

  • 이문호;김태석;김봉기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290-297
    • /
    • 2002
  • 웹의 등장은 멀티미디어 기술과 컴퓨터 통신 기술 개발의 가속화 및 이를 응용한 컨텐츠 개발에 촉진제 역할을 하게 되었다. 최근에는 교수-학습 활동에서의 새로운 형태인 웹을 기반으로 한 교육(WBI : Web-Based Instruction)이라는 교수 모형이 제시되기에 이르렀다. 또한, 개별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고려한 학습 및 평가 방식이 요구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웹 기반 교육 시스템에 효율적이고 자동화된 교육 에이전트의 필요성이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연구되고 있는 많은 교육 시스템들은 학습자 성향에 맞는 학습 과정을 적절히 서비스해 주지 못할 뿐 아니라 지속적인 피드백과 학습자가 학습 과정에 따라 학습을 진행함에 있어서 취약한 부분을 재학습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를 원활히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취약성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한 학습자 중심의 코스 스케줄링 멀티 모듈 시스템의 설계를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먼저 학습자의 학습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평가하여 개인 학습자의 학습 성취도를 계산하며, 이 성취도 계산을 통해 나온 단원별 취약성을 에이전트의 스케줄에 적용하여 학습자에게 취약한 과목을 재학습 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을 제공하고, 학습자는 이러한 학습 환경에 따라 반복된 학습을 통하여 완전학습을 수행하게 된다.

  • PDF

온라인 컨텐츠 및 화상회의를 활용한 하이브리드 모델을 통한 영어 능력 향상 효과 분석 (Analysis of English Ability Improvement Effect through a Hybrid Model using Online Contents and Video Conferencing)

  • 송재신;정성무;이재무;김자미;차현진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31-40
    • /
    • 2009
  • 영어 능력 향상에 있어 원어민 교사 활용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농어촌의 학교들은 생활문화 환경의 열악으로 원어민 교사를 제대로 활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화상 시스템으로 원어민 교사에 의한 수업을 지원하고 온라인 컨텐츠를 활용하여 수준별 개별화 교육을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모델을 통하여 학업 성취도를 높이는데 있다. 본 연구는 대도시, 중도시, 농어촌 소도시의 3개 집단에서 초 중등 2개 학교씩 6개 학교의 150명을 대상으로 3개월간 적용하였다. 연구방법은 하이브리드 모델의 적용 전후를 T-테스트를 통하여 비교하는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하였다. 영어 교육에 적용 후 분석 결과 이해력은 상위 집단이 쓰기 능력은 하위 집단이 높게 향상되었다. 전체 영어 능력 향상 정도는 하위 집단이 상위 집단보다 높았다.

  • PDF

중등학교 가정과 교육의 실기평가 실태에 관한연구 (A Study on the Practical Skill Evaluation in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Education)

  • 이지향;신상옥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5-90
    • /
    • 1990
  • This study aims finding a desirable practical skill evaluation practice evaluation method and then improving student’s learning effect by analyzing the present state and the methods of practical skill evaluation in middle-high schools home economics education. Investigated persons are 250 of high schools home economics thachers(125) and middle schools home economics teacher(125) in Seoul, who are choosen by means of random sampling. The items analysis of questionnaires was performed by means of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The investigator analyzed their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s according to teachers’ages, school careers, majors, places of employment, school years in charge. The results are marked with percentage and the significance level is verified by means of Chi-square(X$\^$2/) analysis method, when necessary. This thesis handles practical skill evaluation of general practice units, of clothing and textile unit, and of nutrient and food unit.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items analysis are as follows; I. Results of the items analysis. A. Practical skill evaluation of general units. 1. The motivation and accomplishment feeling of students are most frequently considered as the aims of practical skill evaluation, but the results of practical skill evaluation are, by contraries, most infrequently considered as improvement materials. 2. A greatest number of teachers make together with their colleagues an annual plan for practical skill evaluation an inform students of the concrete information of the test, but perform respectively practical skill evaluation, using 5 steps method. 3. The percentage that teachers majoring in home economics education as compared with others lay the similar stresses on the preparation processes, attitudes, and results of students is very high.

  • PDF

생태학적 지식과 관련된 우리나라 환경교육의 실태 분석 (An Analysis for the statu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light of the Ecological Knowledge in Korea)

  • 박진희;장남기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3권1호
    • /
    • pp.65-74
    • /
    • 2000
  • Environmentally literated students and adults should be able to use and apply the basic ecological concepts when considering environmental problems and issues. Because ecology forms the found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s on the degree of students' understanding for ecological concepts can provide useful insights for environmental educator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o analyse the parts connected with ecological knowledge of two environmental education books, ‘environments’(middle school) and ‘environmental science’(high school), secon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understanding on ecological concepts by the use of new developed instrument. The 20 most important ecological concepts from Cherrett(1989) and the important ecological concepts' lists from Hungerford and Volk(1990), Ramsey, Hungerford and Volk(1992), Volk(1993) would be recognized and endorsed by most environmental educators as concepts essential to environmental literacy, We referenced these informations and sequenced ecological knowledge as four main categories(communities, populations, ecosystem, man as a component of the nature systems). We have used it as a criterion in the analysis of teaching materials and the development of a new test instrument($\alpha$=0.81). According to the analysed results, the understanding levels for scales and relationships of communities, populations, ecosystem were high but those for individual concepts and differences were low. By the analysis of Korean High School EE book, ‘environmental science’, learning for some concepts(succession, material cycling, niche etc.) has pointed out as one of problems. Environmental educators must pay a careful attention to the concepts that showed high rates of incorrect answer and this work will contribute toward consolidating the basis of EE and help the accomplishment of the ultimate goals in EE.

  • PDF

주요국의 질 평가 접근법 비교분석에 기초한 대학의 질적 수준 평가 지표 개발 (Developing Indicators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Universities Based on Comparative Analysis of Major approaches in Foreign Countries)

  • 최정윤;정진철;이정미
    • 비교교육연구
    • /
    • 제19권1호
    • /
    • pp.25-58
    • /
    • 2009
  • 대학의 기능 수행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증대되어 대학의 질 제고와 대학의 질 평가가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대학의 질 개념을 정립하고, 정립된 질 개념에 터하여 대학의 질적 수준을 종합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는 데 연구의 주된 목적을 두었다. 종합적인 문헌분석과 연구진 검토를 통해 목표/목적 달성, 고객요구충족, 가치부가 측면을 강조한 투입-과정-산출 체제로서의 대학의 질 개념을 설정하였다. 설정된 대학의 질 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미국, 영국, 호주, 일본 등 주요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학기관인증평가, 대학순위평가, 학생설문조사, 학습성과평가 등 4가지 유형의 질적 수준 분석 도구에 포함된 지표들(6개국 13개 평가도구)을 분석한 뒤 대학의 질적 수준 평가 지표 초안을 마련하였고, 전문가 검증과 연구진 검토를 통해 최종 지표들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지표들은 투입-과정-산출 차원에서 기관목표, 인적자원, 물적자원, 교육과정, 학습활동, 교육산출, 연구산출의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개발된 지표가 대학의 질 제고를 유도하는 순기능 역할을 발휘하는 데 필요한 사항들이 제안되었다.

영재교육원 수학과 평가결과와 영재아들의 성취수준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assessment results and achievement levels of gifted students in mathematics)

  • 강윤수;조병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347-360
    • /
    • 2007
  • 이 연구에서는 영재교육원에서 실시하는 선발고사, 종합평가 등의 평가결과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수학과 평가가 영재아들의 학업적 성취수준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선발고사와 종합평가 결과를 비교하여 수학-수학, 수학-과학, 과학-과학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네 명의 영재교육원 학생들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함으로써 영재아들의 수학교과에 대한 평가결과가 영재아들의 학업적 성취 정도를 해석하는데 어떤 의미를 제공하는지를 분석하였다.

  • PDF

탈북인을 통해 본 북한의 시간생활 실태 및 남한과의 차이점 분석 (Analysis of Time Life in North Korean with the perspectives of Defectors)

  • 이기영;이기춘;이은영;이순형;김대년;박영숙;최연실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4권2호
    • /
    • pp.57-73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crutinize the time structure and time use pattern of North Korean an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of time use pattern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Societies. To carry out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ith ten people who escaped from North Korea after 1990 and empirical survey with 158 subjects were conduct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characteristics of time life of North Korean are uniform time use pattern in tightly scheduled daily life and shortage of disposable time and constraint of free time due to job related labor, extra job activities including learning, meeting and evaluation, and labor mobilization. Women are faced with heavy burden of doing job and housework in the continuing patriarchal way of thinking and in the circumstances of poor housing environment. In North, Leisure time is constraint and leisure facilities are poor and the concept of leisure is totally different as that of South. North Korean think leisure as connecting with work and education and as public sphere, not private sphere. I this context leisure is considered as means for the strengthening of the communist society.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time life through defectors are as follows. In South, there are plenty of leisure time and man can control his own time. Man spend his free time for various activities, especially for cultural activities such as sports, recreation, eating out with families and spend time till late in the outdoors. This study revealed differences in many aspects of time lif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societies. These results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s for the overcome of differences of cultural life of South and North Korean societies and accomplishment of the real integration of two societies.

  • PDF

'아해 사랑' 어머니 양육 공동체 이야기 (Story of Mothers' Child Rearing Community, "Love of Children")

  • 안효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299-319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취약계층 어머니들이 만든 양육 공동체, '아해 사랑'에 대한 이야기이다. '아해 사랑'은 2009년부터 2013년 까지 '시소와 그네'의 '어머니 학교'에 참여했던 어머니들이 만든 양육 공동체로 본 연구에 참여한 어머니들은 1기~ 5기 어머니 51명 중 연구에 참여를 원하는 어머니 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개인 및 집단 인터뷰, 영상자료 및 기타 데이터를 수집한 후, 내용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양육 공동체 '아해 사랑' 어머니들은 공동체 모임의 구성하고, 운영하는 과정에 어머니들은 '시소와 그네'의 '어머니 학교' 출신이라는 것에 대한 자부심이 있었으며, 양육 공동체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어머니들은 친목도모, 정보공유, 유아들과 어머니들을 위한 봉사활동, 그리고 더 나은 양육을 위한 학습을 하였다. 어머니들은 양육 공동체 '아해 사랑'이 생각하고 반성하는 나로 바꿔주고, 어머니들과의 진정한 만남을 경험하고, 삶의 주도권을 회복하는 경험을 할 수 있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취약계층 어머니들이 능동적으로 만든 양육 공동체에 대해 다루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장기현장실습 제도의 성공적인 운영을 IPP 전담교수의 역할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The Roles of IPP Professor for Successful Operations of IPP System : Based on KOREATECH Case Study)

  • 오창헌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129-13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한국기술교육대학교가 최근 현장중심의 실무형 인재 양성을 목표로 혁신적으로 추진하고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IPP: 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제도의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운영 및 관리를 위해 필요한 IPP 전담교수의 역할에 대해 해외 선진국 운영사례 분석 및 실제 IPP 제도 2년간의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제안한다. IPP 전담교수의 역할은 크게 3가지로 구분된다. 첫 번째는 IPP 관리자로서의 역할이며, 두 번째는 학생들에 대한 진로지도 상담자의 역할이며, 세 번째는 IPP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육자로서의 역할이다. IPP 제도 시행 초기에는 주로 IPP 관리자로서의 역할이 중요하지만 IPP 제도가 체계적으로 관리되고 운영되면 IPP 관리자로서의 역할은 점차 줄어들고 진로지도 상담자로서의 역할이 더 중요해진다. IPP 제도가 학점을 부여하는 교육 프로그램인 만큼 IPP 전담교수는 경험학습 설계, 교육목표 달성도 평가 등 교육자로서의 역할도 수행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