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alysis of Computer textbooks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23초

A Comparative Analysis on Software Education Unit in Practical Arts Textbooks based on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Kim, Ji-Yun;Lee, Tae-Wu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217-225
    • /
    • 2019
  • In this paper, we proposed comparison of software education units according to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Comparative analysis of 6 Practical Arts textbooks was conducted especially on the software education units. The analysis criteria were decided to be unit system, unit structure, learning objectives, the way of placing contents, activities, supporting materials, providing resources, and evaluation. As a result, the software education units have secured a lot of quantity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units. And the affective domain of the learning objectives is shown to be lacking. All the textbooks were uniformly arranged the component of contents described in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Cooperative activities are strengthened compared to the previouse curriculum. On the other hand, evaluations have a large variation among textbooks and some have fewer types.

초등학교 1.2학년 컴퓨터 교과서 내용 선정 및 조직 분석 (Organizational Analysis of Computer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in Korea)

  • 이재무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299-308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초등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15종의 컴퓨터 교과서를 분석하여, 교과서의 장점 및 개선점을 알아봄으로써, 교사들의 교과서 사용에 도움을 주고, 앞으로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초등학교 1 2학년 컴퓨터 교과서 15종에 대하여 평가 기준을 정하여 분석하였다. 평가 기준은 기존에 개발된 Schmidt의 일반 교과서 평가 기준과 교육인적자원부의 컴퓨터 교과서 심의 기준을 참조하여 내용 선정 및 조직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대부분 교과서들이 활동 중심 학습, 문제 중심 학습 및 실습 중심 학습이다. 그리고 다양한 교수방법 및 활동을 제공한다. 그러나 협동 학습과 통합 학습 면에서 부족하다. 그리고 개별화 교수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고 심화 및 보충학습 제공도 미흡하다.

  • PDF

상업·정보계 고등학교 '컴퓨터 일반' 교과서의 분석 (The Analysis of 'General Computer' Textbooks in Commerce·Information High Schools)

  • 강오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권1호
    • /
    • pp.21-28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내용 분석법(content analysis)과 Romey의 분석법을 적용하여 상업 정보계 고등학교 '컴퓨터 일반'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내용 분석법으로 교과서의 구성 체계와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Romey의 분석법으로 4개의 분석요소인 본문, 자료, 활동, 평가에 대한 탐구적 경향을 판별하였다. 내용 분석법을 적용한 결과, 교과서를 구성하는 중영역의 수, 영역별 페이지 수, 영역별 개념의 수에서 교과서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omey의 분석법을 적용한 결과, 교과서 본문은 탐구적 경향이 낮은 형태로 기술되었으며, 학습 자료와 활동은 각각 1권, 평가는 2권의 교과서가 탐구적 경향이 높게 구성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컴퓨터 일반' 교과서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중학교 정보 교과서 비교 분석 및 개선 방안 (Comparative Content Analysis of Middle School Informatics Textbooks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 진영학;허민;김영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25-34
    • /
    • 2010
  • 본 연구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개발된 중학교 정보 교과서를 비교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교과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과서는 체제와 내용의 두 가지 준거를 고려하여 분석되었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내용 분석법(content analysis)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교과서 체제는 전체 구성, 영역별 비중, 내용 전개 구조, 평가 유형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교과서 내용은 각 교과서가 다루는 개념, 프로그래밍 언어의 종류에서 차이를 보였다. 교과서 비교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여섯 가지의 정보 교과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향후 정보 교과서 개발 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중학교 1학년 교과서 기하 단원에 제시된 컴퓨터 활용에 대한 분석 (Analysis on Application of Computer in Geometry Unit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 심상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577-591
    • /
    • 2011
  • 본 연구는 학교수학에서 컴퓨터를 활용한 교수 학습 자료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알아보기 위해 중학교 1학년 교과서 기하 단원에 제시된 컴퓨터 활용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교과서에 제시된 컴퓨터에 관련된 내용 중 자세한 설명을 통해 실습이 가능한 내용도 있지만 교과서에 제시된 설명만으로 실습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수학 수업에서 컴퓨터를 교사가 직접 조작하거나 학생들의 활동을 목표로 한다면 그 내용은 가능한 자세히 소개되어야 한다. 컴퓨터의 활용 측면에서는 단순히 읽을거리나 수학적 사실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차원에서 벗어나 본 연구에서 소개한 방법과 같은 활동을 통해 수학적 사실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탐구하는 수준까지 단계적으로 안내하는 것도 필요하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중학교 정보 교과서의 비교 분석 (The Comparative Analysis of Middle School Informatics Textbooks Based on 2009 Revised Curriculum)

  • 강오한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065-1073
    • /
    • 2016
  • In this paper, we examined informatics textbooks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accordance with 2009 revised curriculum through conducting both content analysis and surveys. The content analysis was analyzed the composition and contents of textbooks. Survey questionnaires were based on the authorization criteria and selection standards of informatics textbooks. The content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re were discrepancies among textbooks in areas such as the total number of pages, related material, the number of core concepts introduced in each chapter, and the application of software.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wo sections - 'Expression and Modification' and 'Text' exhibited the most positive results, and the 'Creativity' section the least. Using the findings above, we present alternative ways to improve qualities of these textbooks.

고등학교 정보 교과서의 구성체계 및 학습목표 분석 (Analysis of the Organization Structure and Learning Objectives of High School Informatics Textbooks)

  • 강오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9-1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한 고등학교 정보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내용 분석법으로 교과서의 구성체계를 분석하였으며, Anderson의 교육목표 분류법에 따라 학습목표를 분석하였다. 내용 분석법을 적용한 결과, 교과서는 교과 핵심역량을 증진할 수 있도록 활동, 수준별 학습, 소그룹 학습을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학습목표를 분석한 결과, 인지과정 측면에서 이해하다(41%), 개발하다(20%), 적용하다(18%)가 높았으며, 지식의 유형 측면에서는 개념(45%)이 가장 높고, 이어서 절차(32%), 사실(12%)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교과서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초등학교 정보통신 기술 교과서의 분석 (Analysis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s)

  • 한규정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347-354
    • /
    • 2008
  • 최근의 인터넷 및 컴퓨터 기술의 발전은 초등학교의 정보통신 기술 교육을 변화시키고 있다. 기존의 컴퓨터 활용 중심의 정보통신기술 교육에서 컴퓨터 과학적 지식교육으로의 변화는 아동들의 논리적 사고 및 문제 해결력 증진 등의 고등 사고 능력의 함양에 도움을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새로운 정보통신기술 교육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교과서들에 대해 몇 가지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주요 내용은 2007년 이후 새로운 정보통신기술교육 운영 지침에 따라 일선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6종의 정보통신기술 교과서의 체제분석, 분량 분석 그리고 Romey 분석이다. 특히 Romey 분석의 결과로서는 대부분의 교과서가 ICT 5개영역중 '정보사회의 이해', '정보처리의 의해', '종합활동' 등의 3개영역이 학생들의 탐구적인 활동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음이 분석되었다.

  • PDF

디지털교과서 학습에서 유비쿼터스 학습특성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컴퓨터 자기효능감과 디지털교과서 활용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Ubiquitous learning Characteristics on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digital textbook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computer self-efficacy and digital textbooks usability)

  • 김경기;김수민;강일모;백현기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69-278
    • /
    • 2009
  •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 보급되고 있는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학습에서 디지털교과서가 학습자들에게 어떠한 만족도를 갖고 활용되고 있는지를 유비쿼터스 학습특성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학습자의 컴퓨터 자기효능감과 디지털교과서의 활용도가 어떠한 조절적 작용을 하고 있는지를 검증해 봄으로써 디지털교과서의 콘텐츠와 시스템 개발에 지침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SPSS win13.0 프로그램으로 실증분석을 위한 기술통계, Cronbach's $\alpha$ 계수 산출과 상관분석을 하였고, 가설검증을 위해서는 조절회귀분석(MMR)을 실시하였다. 연구가설의 검증을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비쿼터스 학습특성은 디지털교과서 학습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비쿼터스 학습특성이 디지털교과서 학습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줄 때 컴퓨터 자기효능감과 디지털교과서 활용도가 유비쿼터스 학습특성과 각각 상호작용을 하여 조절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들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로서 나타났다.

  • PDF

6차와 7차 교과서 분석을 통한 그래프 지도 방안 (An Analysis of Graphing Domain in the Sixth and the Seventh Curriculum Textbooks)

  • 송정화;권오남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4권2호
    • /
    • pp.161-192
    • /
    • 2002
  • This paper investigated the teaching and teaming of contents-related graphing in Korean secondary textbooks and suggested the improved methods of graph instruction through this analysis. reification-the case of function, In Harel, G., Dubinsky(Eds.), The Concept of Function : Aspects of Epistemology and Pedagogy Textbooks are analyzed from the viewpoint of the proportion of graphing contents, their sequencing, the proportion of each domain in graphing activities (interpretation vs. construction, quantitative vs. qualitative aspect, local vs. global aspect) and tasks (prediction, translation, scaling), and the difference in the graphing contents between the sixth and the seventh curriculum. This analysis demonstrates that graphing contents are increasing in textbooks, therefore the high school textbooks appear in almost every content area. The graphing activities concentrate on the construction, the quantitative aspects, and the local aspects, and are gradually focusing on the interpretation and global aspects of high school textbooks. Furthermore, most of graphing tasks favor translation. In contrast, the current seventh curriculum includes a balance of interpretation and construction activities and has more global aspects than the sixth curriculum based textbooks; however, the qualitative approach still rarely appears. For the graphing tasks, translation is still prevalent, but the importances of prediction tasks based on graph have increased in comparison with the sixth curriculum textbooks. Further, the seventh curriculum based textbooks are designed to stimulate more dynamic graphing instruction by introducing new tools such as graphing calculators and computer software. We suggest that the qualitative and global aspects should be emphasized in early graph instruction, a variety of graph activities in realistic contexts should be performed, and educational technology such as graphing calculator and computer can be efficient to implement these idea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