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alysis Of Cause Of Accident And Response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34초

발전소 및 수전해 시스템의 수소 폭발 사고 사례 기반 위험성 평가 및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Risk Assessment and Improvement Methods Based on Hydrogen Explosion Accidents of a Power Plant and Water Electrolysis System)

  • 전민재;장대진;이민철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35권1호
    • /
    • pp.66-74
    • /
    • 2024
  • This study addresses the escalating issue of worldwide hydrogen gas accidents, which has seen a significant increase in occurrences. To comprehensively evaluate the risks associated with hydrogen, a two approach was employed in this study. Firstly, a qualitative risk assessment was conducted using the bow-tie method. Secondly, a quantitative consequence analysis was carried out utilizing the areal locations of hazardous atmospheres (ALOHA) model. The study applied this method to two incidents, the hydrogen explosion accident occurred at the Muskingum River power plant in Ohio, USA, 2007 and the hydrogen storage tank explosion accident occurred at the K Technopark water electrolysis system in Korea, 2019. The results of the risk assessments revealed critical issues such as deterioration of gas pipe, human errors in incident response and the omission of important gas cleaning facility. By analyzing the cause of accidents and assessing risks quantitatively, the effective accident response plans are proposed and the effectiveness is evaluated by comparing the effective distance obtained by ALOHA simulation. Notably, the implementation of these measures led to a significant 54.5% reduction in the risk degree of potential explosions compared to the existing risk levels.

에너지 시설물의 위험성 평가에 따른 비상대응 시스템 구축 (Development of Emergency Response System by Risk Assessment Methodology in Energy Facility)

  • 이헌석;강승균;정인희;김범수;유진환;박철환;김대흠;고재욱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8-123
    • /
    • 2008
  • 도시에는 에너지 시설물로서 고압가스 저장시설 및 고압가스 배관 등 위험물을 취급하는 시설이 산재해 있고, 이런 시설들의 효율적인 위험성 분석 및 관리시스템의 부재로 사고 가능성이 상존하며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사고율을 보이고 있다. 에너지 시설물에서 발생하는 사고는 시설 자체의 막대한 피해 뿐만 아니라 시설 주변 지역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므로, 본 연구에서는 사고영향 분석을 통한 비상대응 시스템을 적용하여 사고피해 정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한 체계적인 대응체제를 구축하였다.

  • PDF

마코프 모델을 이용한 원전 비상 통신 시스템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Emergency Communication System of Nuclear Power Plant using Markov Model)

  • 손광섭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3호
    • /
    • pp.10-21
    • /
    • 2014
  • 후쿠시마 원전사고는 자연재해에 의한 중대사고 발생 시 전원공급 중단 및 극한 환경으로 인해 발전소 내부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였고, 대부분의 계측제어시스템이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해 비상냉각기능이 상실되어 수소폭발 및 다량의 방사능이 누출된 사고였다. 본 논문에서는 중대사고 발생 시에도 발전소 내부 상황을 감시하고, 적절히 제어할 수 있는 비상대응시스템에 대하여 소개하고, 비상대응시스템에 사용되는 무선통신망의 성능요구사항에 대해서 논의하고,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는 비상통신망의 성능을 마코프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계절별 건설현장 추락사고 특징 분석 (Characteristics Analysis of Seasonal Construction Site Fall Accident using Text Mining)

  • 김준수;김병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113-121
    • /
    • 2019
  • 우리나라의 사망사고만인율은 주요 국가와 비교하면 2~3배 높으며 그 중 건설현장의 추락사고는 가장 많은 사망사고를 유발하고 있다. 기존연구와 국가기관의 조치를 살펴보면 추락사고에 집중된 산업재해 관리의 미흡과 계절별 안전관리 대책의 미비가 그 원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 및 조치의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계절별 건설현장 추락사고 특징을 도출하고, 추락사고 방지책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적정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정보의 제공을 위하여 사고발생 인과간계에 대하여 기술한 계절별 건설현장 추락사고 기사데이터 387건을 수집 후, 주성분분석과 군집분석을 활용한 텍스트 마이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계절별 특징으로서 봄에는 강설, 리프트를 포함한 장비의 무리한 운용 등이 원인이며, 여름에는 거푸집, 점검미비, 설치작업 등이 원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가을에는 바람과 태풍의 날씨요인 등이 원인이며 겨울에는 자재운반 및 외벽작업, 안전수칙 미 준수 등이 추락사고의 원인으로 나타났다.

확률론적 추정 개념을 적용한 건설 공사 현장의 사고원인별 리스크 정량화 연구 (A Risk Quantification Study for Accident Causes on Building Construction Site by Applying Probabilistic Forecast Concept)

  • 유영진;손기영;김태희;김지명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87-294
    • /
    • 2017
  • 최근 건설프로젝트가 대형화 복잡화되어 감에 따라, 건설공사에서의 리스크 및 불확실성이 급증하고 있다. 증가하고 있는 건설 공사의 위험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관리 할 수 있는 모델 개발을 위해서는 위험 인자를 식별하고 위험인자의 발생 빈도와 심도를 계량화하는 연구가 우선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사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위험요인의 확률분포 및 리스크 레벨별 위험의 발생 확률과 위험의 발생 빈도를 몬테카를로 기법을 통해 시뮬레이션하였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사고 원인의 확률 분포 및 사고 원인별 위험도를 분석하여 계량적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정량적 위험관리모델 및 위험관리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양자전이 비행시간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화학사고 원인물질 분석 (Analysis of Chemical Accident-Causing Substances Using a Proton Transfer Reaction-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er)

  • 김소영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6호
    • /
    • pp.80-86
    • /
    • 2019
  • 국내에서는 2012년부터 2018년 까지 총 556건의 화학사고가 발생하였다. 화학사고 중 두 가지 이상의 화학물질 이상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사고는 그 원인물질을 파악하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하여 효과적인 사고대응과 수습을 위해서 신속한 분석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이상반응에 의해 발생한 화학사고의 원인물질 파악을 위해 양자전이 비행시간 질량분석기를 사용하였다. 이 분석기는 시료채취와 전처리 없이 빠른 응답시간을 가져 실시간 분석이 가능하며 또한 수소친화도가 높은 대부분의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의 정량·정성 분석이 가능하여 이상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화학사고의 원인 물질을 조사하는데 적합하다. 실제로 201◯년 ◯월에 ◯◯ 지역 화학사고 발생 시 양자전이 비행시간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메탄올과 톨루엔 등이 검출되는 것을 알았으며 이상반응에 의해 발생된 황 계열 화합물이 사고 주변의 강한 악취의 원인임을 알 수 있었다.

환경매체별 취약성을 반영한 장외영향평가 위험도 분석 (Risk Analysis of Off-site Risk Assessment using Vulnerability by Environmental Medium)

  • 최우수;백종배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150-156
    • /
    • 2018
  • As the types and usage of chemical increase, modern countries should protect their health and environment from the risk of hazardous chemical. Chemical accidents not only affect humans but also cause huge losses to the environment. Moreover, since its effects do not end in a short period of tim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extent of the damage and establish a prevention and response system in advance. In 2015, the Chemical Substances Management Act provided a system for assessing the impact on the people and the environment around the workplace. However, it is difficult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impact on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vegetation and aquatic, with the current hazard assessment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quantitative risk of environmental receptors. This study improved the existing risk assessment formula by using the environmental vulnerability index and established the end point concentration criterion which can estimate the damage range to environmental media. To verify the results of the study, a virtual accident scenario was selected and a case study was conducted. As a result, the extent of impact on the environmental medium can be calculated, and the degree of environmental risk of the zone can be quantified through the risk analysis considering the environmental vulnerability. This study is expected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reliability of the existing risk anaylsis method beacause it is a risk analysis method that can be applied when the environmental factors are absolutely necessary and when the residents and environment are complex.

인간-기계 시스템 모델에 의한 크레인 사망재해 분석 (Analysis of Crane Accidents by Using a Man-Machine System Model)

  • 박재희;박태주;임현교;서은홍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59-66
    • /
    • 2007
  • As the need of handling heavy materials increases, various cranes are used in industries.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crane also entails industrial accidents such as falling, constriction etc. In fact, the number of fatal accidents caused by crane is still high in Korea. To find out the causes of the accidents in terms of human error, we developed a man-machine system model that consists of two axes;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and crane life cycle. In the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dimension, we simplified it as five functions; sensing and perception, decision making and memory, response etc. In the crane life cycle dimension, we divided it into nine phases; design, production, operation etc. For the 152 fatal accident records during 1999-2006 years, we classified them into 45 cells made by two axes. Then we identified the preceding causes of the classified crane accident based on performance shaping factors. As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the overall trend of crane fatal accidents was described. For the cause analysis, wrong decision making in work plan phase shows the highest frequency. Next, the poor information input in crane operation followed in accident frequency. In ergonomics view, the problems of interface design in displays and controls made 11.8% of fatal accidents. Following the analysis, several ergonomic design guidelines to prevent crane accidents were suggested.

지상 디지털트윈 지오앰뷸런스 기술개발전략 수립 연구 (Research on Establishing Ground Digital Twin Geo-ambulance Technology Development Strategy)

  • 서민송;장용구;류지송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1-51
    • /
    • 2024
  • 지하사고가 발생할 경우 신속하게 원인을 파악하고 인적, 물적 피해를 줄여야 한다. 지하사고조사위원회는 발생한 사고의 원인을 규명하고 이후 동일한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대응방안을 마련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지하사고조사위원회 운영 기간이 최소 6개월에서 최대 9개월까지 활동할 수 있도록 법에 명시되어 있어 실질적으로 동시간대에 추진 중인 건설 사업에서 사고조사보고서를 인용하고 검토를 통해 자체사업에 반영하기에 어려워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3개월이 소요되던 자료수집과 분석을 최대 1개월 이내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현장에 출동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디지털트윈으로 구현하고 제공함으로써 지하사고조사위원회가 의사결정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기술개발 전략을 수립해보고자 했다. 연구결과 5개 기술개발 분야인 지상 데이터 수집·전송기술, 지상안전 데이터 생성기술, 디지털트윈 기반 지하안전 분석·가시화 기술, 디지털트윈 기반 지오앰뷸런스 구축·운영 기술, 디지털트윈 기반 지오앰뷸런스 표준화 및 법제도 연구를 도출할 수 있었다. 제시된 기술이 개발된다면 기존대비 신속한 의사결정을 통해 사고현장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도림천에서 발생한 고립 및 실족사고의 원인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도출에 관한 연구 (Cause Analysis and Improvement Suggestion for Flood Accident in Dorimcheon - Focused on the Tripping and Isolation Accidents)

  • 이경수;전종형;김태훈;김현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25-36
    • /
    • 2021
  • 본 연구는 도림천에서 발생한 고립 및 실족과 같은 수난사고의 근본적인 원인을 분석하고, 법·제도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원인분석을 위하여 현장확인, 관계자 인터뷰, 관련자료 검토, 강우량과 하천 횡단면의 수위와의 관계, 자동경보 발령 기준수위의 적정성 및 진·출입 통제에 따른 대피시간 확보 가능여부 등을 평가 하였다. 도림천은 전형적인 도시하천의 특성을 띄고 있어 치수적으로 불리하며, 사망사고가 발생한 구간은 급만곡부를 형성하고 있는 등 고립사고 발생 위험이 높다. 고립 및 실족사고는 홍수주의·경보 발령 전 단계인 둔치주의·대피 단계에서 발생하고 둔치대피 발령은 둔치턱까지 수위가 상승해서야 발령되기 때문에 있기 때문에 강우예보에 따른 수위상승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이 중요하다. 또한, 수위 상승속도가 신림3교와 관악도림교에서 최대 2.62 cm/min임을 고려하였을 때 둔치경보 발령 후 충분한 대피시간을 확보하고 있지 못하다. 사망사고는 둔치주의 발령 기준수위보다 0.46 m이하에서 발생한 점을 보았을 때, 하천의 진·출입 등 통제가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4건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고립 및 실족과 같은 수난사고를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