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monium Nitrate

검색결과 529건 처리시간 0.027초

남해안 연안에서 적조생물, Cochlodinium polykikoides, Gyrodinium impudicum, Gymnodinium catenatum의 출현상황과 온도, 염분, 조도 및 영양염류에 따른 성장특성 (Abundance of Harmful Algae, Cochlodinium polykrikoides, Gyrodinium impudicum and Gymnodinium catenatum in the Coastal Area of South Sea of Korea and Their Effects of Temperature, Salinity, Irradiance and Nutrient on the Growth in Culture)

  • 이창규;김형철;이삼근;정창수;김학균;임월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536-544
    • /
    • 2001
  • 적조생물 Cochlodinium polykrikoides, Gyrodinium impudicum, Gymnodinium catenatum은 독성을 지니거나, 적조를 일으킴으로써 수산피해 및 보건위생상의 문제를 야기시키는 종이다. 이 종들의 적조발생 환경과 기작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종별 생태생리 (eco-physiology) 특성 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실험에서는 한국 남해안 연안에서 이들 3종의 출현상황과 성장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이 해역에서 분리한 종을 대상으로 온도, 염분, 조도 및 영양염류에 따른 성장도를 조사하였다. 1999년도 남해안 남해도, 나로도, 완도 연안에서 이들 3종의 최초출현시기는 수온이 $22.8\sim26.5^{\circ}C$인 7월 중순에서 8월 중순으로써 서로 비슷한 시기에 동반 출현하였다. 유영세포의 소멸시기는 G. catenatum의 경우 8월 중, 하순이었고, C. polykrikoides와 G. impudicum은 수온이 $23^{\circ}C$ 이하로 하강하는 9월 하순이었다. 출현기간 중의 최대밀도는 C. polykrikoides의 경우 $40\times10^6$cells/L 이상으로써 고밀도 증식을 하였으나, G. impudicum과 C. catenatum은 각각 3,460ce11s/L 및 440ce11s/L로써 매우 낮은 밀도로 존재하였다. 배양실험에서 C. polykrikoides, G. impudicum, G. catenatum는 $22\sim28^{\circ}C$에서 양호한 성장을 보였고, 최적수온은 $25^{\circ}C$ 내외로 판단되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적조발생시의 수온과 대체로 일치하였다. 염분에 따른 성장률은 3종 모두 $30\sim35\%$에서 양호한 성장률을 보였다. 3종 중 G. impudicum은 비교적 광염성의 특징을 보였고, G. cstenatum은 $35\%$ 이상의 고염분에서 특히, 저조한 성장률을 보였다. 조도에 따른 성장은 C. polykrikoides와 G. impudicum의 경우 특히 7,5001ux 이상의 고조도에서 성장률이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C. polykrikoides의 경우 조도가 높은 하계에 표층에서 강한 집적현상을 보이면서도 광저해현상을 밟지 않고 양호한 증식을 할 수 있는 특성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C. polykrikoides와 G. impudicum의 질산 및 암모니아 질소 농도에 따른 성장은 $40{\mu}M$까지는 농도가 높을수록 성장률도 증가하였으나 그 이상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두 종의 질소 임계농도는 $13.5\~40{\mu}M$로 판단되었다. 또한, 인산인은 $4.05{\mu}M$ 까지는 농도가 높을수록 성장률도 증가하였으나 그 이상에서는 큰 성장차를 보이지 않아, 두 종 모두 인산인의 임계농도는 $1.35\sim4.05{\mu}M$로 판단되었다. 한편, C. polyklikoides는 DIN과 DIP 농도가 각각 $1.2{\mu}M$$0.3{\mu}M$ 이하로 낮았던 나로도와 남해도 외측해역에서도 적조를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낮은 영양염류 하에서 왕성하게 증식할 수 있었던 이유는 이 종의 경우 일간 수직이동을 통해 야간에 저층에서 풍부한 영양염류를 흡수할 수 있었기 때문으로 해석되었다.

  • PDF

1986년 하계 마산만의 각종 질소화합물분포와 산소소비율에 대한 연구 (Distribution of Various Nitrogenous Compounds and Respiratory Oxygen Consumption Rate in Masan Bay, Korea During Summer 1986)

  • 양동범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03-310
    • /
    • 1992
  • 산업폐수와 도시하수의 유입이 심한 마산만에서 하계에 각종 질소화합물의 분포와 산소소비율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1986년 하계에 마산만은 육수유입의 영향을 강 하게 받았으며 수온약층 아래에는 빈산소층이 형성되었다. 용존성무기질소(DIN), 용존 성유기질소(DON), 입자성질소(PN) 는 내만 육수유입을 직접받는 곳에서 각각 735.6, 1261.8 amd 48.5 umol/l의 분포를 보였으며 마산내만 입구에서는 각각 79.1, 73.0 and 39.5 umol/l를 나타냈다. 마산내만입구의 일차생산력은 2,695mgC/m$^2$/day였다. 용존산 소량은 내만입구에서는 3 m 아래에서부터, 마산수로에서는 10 m 아래에서부터 1 ml/l 이하를 보였다. 저층수중의 높은 암모니아와 인산염의 농도는 유기물의 활발한 분해나 저층퇴적물로부터의 용출에 의한 것이라 생각된다. ETS 활동도는 마산내민 가장안쪽에 서 212.1ul $O^2$/l/h였고 마산내만입구의 저층수에서는 산소소비가 442 ml $O^2$/day의 비율로 지행되었다. 마산수로저층수에서의 탈질화 속도는 0.25 umol/l/day 였으며 마 산내만입구에서는 표층에서 일차생산에 의해 생성된 유기물의 9.3-10.5%가 저층수에서 분해되는 것으로 보인다.

  • PDF

산지(産地) 반양직묘포(半養直苗圃)에서의 묘삼수량(苗蔘收量)과 토양이화학성간(土壤理化學性間)의 관계조사(關係調査) (Relationship Between Yield of Seedling and Soil Physico-Chemical Components of Ban-Yang-Jik Nursery in Ginseng Plantation)

  • 이종철;변정수;안대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77-181
    • /
    • 1988
  • 산지(産地) 반양직묘포(半養直苗圃)(활엽수(闊葉樹)를 많이 넣고 여러번 경운(耕耘)한 밭흙을 곱게 쳐서 만든 묘포(苗圃)) 29개포장(個圃場)에서 묘포토양(苗圃土壤) 이화학성(理化學性)과 묘삼수량(苗蔘收量)과의 관계룰 조사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사용가능묘삼생산량(使用可能苗蔘生産量)은 간(間)($90{\times}180cm$) 당(當) $362{\pm}226$본(本)이었다. 2. 세사(細砂)+극세사(極細砂)의 함량(含量)이 많을수록 묘삼개체근중(苗蔘個體根重)이 감소(減少)되었다. 3. 묘포토양내(苗圃土壤內)에서 pH는 OM, K, Ca 및 Mg와, EC는 Ca, Mg 및 N와 각각(各各) 정상관(正相關)이 있었다. 4. 묘삼개체중(苗蔘個體重)은 토양내(土壤內) pH 상승(上昇)과 OM, K, Ca 및 $P_2O_5$ 함량(含量)이 많을수록 증가(增加)되나 N과는 상관(相關)이 없었다. 5. 토양내(土壤內)에 $P_2O_5$, K 및 Ca 함량(含量)이 많을수록 묘삼근내(苗蔘根內) 함량(含量)이 증가(增加)되었다. 6. 근내(根內)의 $P_2O_5$, K의 흡수(吸收)가 증가(增加)될수록 묘삼개체근중(苗蔘個體根重)이 증가(增加)되었다.

  • PDF

Rhizoctonia solani의 균사융합군별 생장요인 I. 온도, PH, 탄소원 및 질소원의 영향 (Growth Factors of Hyphal Anastomosis Groups of Rhizoctonia solani Kuhn I. Effects of Temperature, pH, Carbon and Nitrogen Sources)

  • 김형무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72-78
    • /
    • 1985
  • 무 포장에서 분리한 Rhizoctonia solani 5군 4형의 7균주(AG1-IA, AG1-IB, AG2-1, AG2-2, AG3, AG4, AG5)를 사용하여 온도, pH, 질소원, 탄소원이 균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들 균사융합군주별, 최적생장온도는 AG2-1, AG2-2, AG4 등은 $20^{\circ}C$에서 AG1-IA, AG1-IB, AG3, AG5 등은 $25^{\circ}C$에서 생장이 가장 양호하였다. pH가 균사융합군별 생장에 미치는 영향은 공히 pH $6\~7$ 범위였다. R. solani의 각 균주별 탄소원 이용도는 AG 1-IA, AG1-IB, AG2-2, AG3, AG5는 glucose, AG2-1은 sucrose, AG4는 fructose가 좋았으나, glycerine, cellulose, lactose는 모든 균주에서 생장이 불량하였다. 질소원이 균사융합군별 각 균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은 $Ca(NO_3)_2$에서 AG1-IA, AG1-IB, AG4, asparagine에서는 AG2-1, $KNO_3$에서는 AG2-2, $NaNO_3$에서는 AG5의 생장이 양호하였으나, $NH_4NO_3$ 첨가구에서는 공히 불량하였다. 즉, 일반적으로 초산태질소와 유기질소는 암모니아태질소보다 이용율이 높았다. C/N율이 각 군별 균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은 C:N=1:1의 비율에서 생장이 가장 좋았고 탄소원보다는 질소원이 생장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 PDF

논농사가 천층지하수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ice Farming on the Shallow Ground Water Quality)

  • 강윤주;서영진;이동훈;최충렬;박만;최정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62-268
    • /
    • 2001
  • 논농사가 천층(淺層)지하수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지하수위가 다른 3곳을 선택하여 지하수의 수질과 그 위 논토양의 수용성 성분을 조사하였다. 토양중 암모니아이온은 4월에 농도가 비교적 높았고 그 후 감소하였다. 지하수 중 암모니아이온 역시 4월에 높았으며 그 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질산 이온은 $5{\sim}8$월에 감소되었다. 지하수위 별로는 지하수위가 낮은 W-3지역이 높았다. 토양중 칼륨의 농도는 깊이별로는 뚜렷한 경향이 없었으며 비료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 편이었다. 지하수중의 칼륨함량은 지하수위가 낮은 W-3지역이 비교적 높았다. 토양 중 염소이온은 조사기간동안 비슷한 농도를 나타내었고 토양의 깊이에 따른 경향이 없었으며 지하수에서도 비슷한 경향이었다. 지하수에서의 PI지수는 4월에 증가했으나 이앙기 이후 감소하였고 지하수위가 낮은 W-3지역에서 높았으나 PI지수 2이하로 양호한 수질을 나타내었으며 논농사가 지하수의 오염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았다.

  • PDF

진해만에서 춘계와 하계 성층기간 동안 환경요인과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의 관계 (The Cor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Spring and Summer Stratified Water-column at Jinhae Bay, Korea)

  • 손문호;현봉길;김동선;최현우;김영옥;백승호
    • 환경생물
    • /
    • 제30권3호
    • /
    • pp.219-230
    • /
    • 2012
  • 2010년 진해만의 춘계와 하계를 중심으로 환경요인 변화와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의 상관관계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과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한 다중상관분석과 CCA (Canonical Correspondance Analysis) 결과, 하계에 우점한 Chaetoceros spp., Skeletonema costatumlike spp., Pseudo-nitzschia delicatissima는 생물량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선정할 수는 없었다. 반면, 춘계의 Cryptomonas spp.와 Pseudo-nitzschia multistriata 는 질산염과의 양(+)의 상관관계(p<0.05)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하계에 나타난 식물플랑크톤과 환경요인간의 유의한 양 (+)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는 것은 강우에 의해 유입된 탁도 물질등에 의한 저층의 광합성 활성의 저하와 우점종의 구성과 생물량 차이에 의해 나타난 결과로 판단되었다. 또한 환경에 적응한 우점종의 분포특성은 진해만 광역해역을 부분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 생물학적 요인으로 판단되었다. 결과적으로 식물플랑크톤과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는 주요 우점종의 분포와 관련이 있었고, 특히 성층화된 하계에 우점한 식물플랑크톤 분포는 해역 구분에 중요한 인자로 활용 될 수 있었다.

Physiological Responses to Mineral-Excessive Conditions: Mineral Uptake and Carbohydrate Partitioning in Tomato Plants

  • Sung, Jwakyung;Lee, Suyeon;Lee, Yejin;Kang, Seongsoo;Ha, Sangkeun;Sonn, Yeonkyu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563-570
    • /
    • 2014
  • The shortage or surplus of minerals directly affects overall physiological metabolism of plants; especially, it strongly influences carbohydrate metabolism as a primary response. We have studied mineral uptake, synthesis and partitioning of soluble carbohydrat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in N, P or K-excessive tomato plants, and examined the interaction between soluble carbohydrates and mineral elements. Four-weeks-old tomato plants were grown in a hydroponic growth container adjusted with excessive N ($20.0mmol\;L^{-1}$ $Ca(NO_3)2{\cdot}4H_2O$ and $20.0mmol\;L^{-1}$ $KNO_3$), P ($2.0mmol\;L^{-1}$ $KH_2PO_4$), and K ($20.0mmol\;L^{-1}$ $KNO_3$), respectively, for 30 days. Shoot growth rates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excessive N or K, but not by excessive P. The concentrations of water soluble N (nitrate and ammonium), P and K were clearly different with each tissue of tomato plants as well as the mineral conditions. The NPK accumulation in all treatments was as follows; fully expanded leaves (48%) > stem (19%) = roots (16%) = petioles (15%) > emerging leaves (1). K-excessive condition extremely contributed to a remarkable increase in the ratio, which ranged from 2.79 to 10.34, and particularly potassium was dominantly accumulated in petioles, stem and roots. Fresh weight-based soluble sugar concentration was the greatest in NPK-sufficient condition ($154.8mg\;g^{-1}$) and followed by K-excessive (141.6), N-excessive (129.2) and P-excessive (127.7); whereas starch was the highest in K-excessive ($167.0mg\;g^{-1}$) and followed by P-excessive (146.1), NPK-sufficient (138.2) and N-excessive (109.7). Soluble sugar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dry weight-based total N content (p<0.01) wherea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luble P (p<0.01) and dry weight-based total P (p<0.01). On the other hand, starch production was negatively influenced by total N (p<0.001), but, it showed positive relation with total K concentration (p<0.05). This study shows that uptake pattern of NPK and production and partitioning of soluble carbohydrate were substantially different from each minera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 soluble- and dry weight-based-mineral was positive.

담배세포 (Nicotiana tabacum) 의 액체배양에 관한 연구 (Effects of Nutritional Conditions on Tobacco (Nicotianatcbfeum L) Cell Suspension Culture)

  • 윤경은;김용철;민태기;손세호;강서규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8
    • /
    • 1979
  • 담배 (Va 115) 細胞의 液 培養에서 담배細胞의 多量生産을 할 수 있는 Tank 培養에 關한 基礎調査로 培地造成의 果를 調査하였으며 細胞增殖率에 큰 影響을 미쳤던 2,4-D와 無機燐酸의 果에 關하여 調査하였다. 1. 培地造成에서 細胞增殖率에 많은 影響을 미쳤던 要素는 무糖, 無機燐酸의 濃度,窒素源의 形態 및 植物홀몬,特히 2, 4-D의 有無였다. 2. 무糖의 最適濃度는 3%였으며 3%以上의 濃度에서는 多少 細胞增殖率이 좋은 듯 하였으나 그 差異는 크지 않아 3% 程度로 足하였다. 無機燐酸濃度는 LS 培地內의 無機燐酸의 約 2.5 培인 0.30mg/ml 일 때 細胞增殖率이 가장 좋았다. 3. 液 培地의 窒素源은 암모니아態窒素와 硝酸態窒素가 1 : 2 일 때가 가장 좋았고 窒素源이 암모니아태 만으로 使用하였을 때 細胞增殖率이 가장 낮았으며 硝酸態만 使用되었을 때는 암모니아태만 쓰였을 때 보다는 좋았으나 암모니아태와 硝酸態의 比가 1 : 2 일 때 보다는 떨어졌다. 4. 液 培地에 2,4-D 添加와 無機燐酸濃度를 높이면 細胞增殖率이 增加되는 機作을 調査하기 爲하여 呼吸率과 14C - glucose 吸收利用을 調査하였다. 細胞의 吸收率은 2, 4-D를 添加하면 增加되며 14C-glucose의 吸收는 培地內에 2, 4-D가 包含되거나 (0.2 ppm) 燐酸濃度가 높아지면(對照의 2.5培) 더욱 많았고, 吸收된 14C-glucose는 糖 상태보다 다른 形態,特히 amino 酸이나 有機酸으로 많이 变하였다.

  • PDF

농업지역에 조성된 자유수면형 인공습지의 유로에 따른 영양염류의 변화 평가 (Evaluation on the nutrient concentration changes along the flow path of a free surface flow constructed wetland in agricultural area)

  • ;;김이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15-222
    • /
    • 2013
  • 농업지역의 소하천에 흐르는 하천수는 유역의 농업활동으로 유출된 각종 영양염류의 함량이 높아 호소 유입시 부영양화의 원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지역의 하천수를 처리하기 위해 조성된 자유수면형 인공습지의 수문학적 유로에 따른 영양염류의 농도를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습지내 유로에 따른 영양염류의 농도를 평가하기 위한 모니터링은 2009년 4월부터 2011년 11월까지 습지내 유로의 5개 지점에서 수행되었다. 채취된 시료는 유로에 따른 수질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질소와 인에 대한 집중적 분석이 수행되었다. 습지내 TP 저류의 원인을 평가한 결과 수온, DO 및 pH가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습지내 유입수가 침강지를 통과한 직후 영양염류의 농도가 가장 크게 저감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많은 양의 영양소가 입자와 부착된 형태로 이동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기에 향후 습지 설계시 침강지의 기능 증대 방안 도입이 중요한 인자인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습지내에서 가장 큰 영양염류 저감이 발생한 지점은 유로의 85% 지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습지내 미생물 및 식생흡입에 의한 영향으로 평가되기에 이를 활성화 하기 위한 얕은 습지 및 깊은 습지의 적절한 배치도 인공습지 설계에서 중요한 인자임을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 침전지 부분에서는 영양염류의 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길어진 체류시간에 의한 퇴적층으로부터 용출이 원인인 것으로 평가되기에 습지설계시 침전지의 적정한 체류시간 확보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Penicillium brevi-compactum을 이용한 면역억제제 Mycophenolic Acid 발효에서 탄소원 및 질소원의 영향 (Effects of Carbon and Nitrogen Sources on Immunosuppressant Mycophenolic Acid Fermentation by Penicillium brevi-compactum)

  • 노용택
    • 미생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49-25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탄소원 및 질소원의 이용 패턴과 mycophenolic acid의 생성 패턴을 확인하기 위하여 먼저 5 L 발효조에서 mycophenolic acid 발효의 경시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다음에는 여러 가지 탄소원들이 세포 생장과 mycophenolic acid 생산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과당이 mycophenolic acid 발효에 가장 좋은 탄소원이었지만, 값이 고가인 단점이 있어서, 과당을 지니고 있는 설탕이 주성분인 당밀을 탄소원으로 사용한 결과 mycophenolic acid의 산업적 생산에 가장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당밀을 첨가한 실험구는 포도당을 탄소원으로 사용한 대조구에 비하여 발효 생산성이 2배 이상 증가하였다. 양호한 세포 생장과 높은 mycophenolic acid 생산을 얻기 위하여 다양한 무기질소원과 유기질소원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무기질소원들 가운데 요소는 암모늄 형태의 질소원을 천천히 공급함으로써 생장과 mycophenolic acid 생산을 저해하는 배양액의 급격한 pH 하락을 일으키지 않았다. 요소를 첨가한 실험구는 질산암모늄을 첨가한 대조구보다 발효 생산성이 3.6배 증가하였다. 카제인, 펩톤, casamino acid 같은 우유 단백질 유래 유기질소원들은 대조구에 비하여 mycophenolic acid 발효 생산성을 최고 3.4배까지 증진시켰다. 카제인의 가수분해물인 펩톤과 casamino acid는 mycophenolic acid 발효 생산성뿐만 아니라 세포 생장도 촉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