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ino Alcohol inhibitor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3초

포화 수산화칼슘 수용액 내에서의 무기계 및 유기계 방청제의 전기화학적 방식 특성평가 (A Study on the Anti-corrosion Properties of Organic and Inorganic Inhibitor by Electrochemical Evaluation Method in Saturated Aqueous Solution of Calcium Hydroxide)

  • 김수영;류화성;김성길;이한승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66-7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부동태피막형 무기계 방청제와 흡착형 유기계 방청제를 대상으로, 시멘트세공용액을 모사한 포화 수산화칼슘 수용액내에서 염화물이온 농도와 방청성분 몰비를 변수로 하여 Potentiostat을 사용하여 부식전위, 부식속도, 분극저항을 측정하여 방식성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무기계 방청제는 방청몰비 약 1.2 이상에서 방식성능을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기계 방청제는 방청몰비 약 0.3 이상에서 방식성능을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식속도와 분극저항, 부식속도와 부식전위의 관계는 선형 반비례 경향을 나타냈고, 분극저항과 부식전위는 선형 비례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부식전위, 부식속도, 분극저항과의 상관관계는 유기계와 무기계 방청제에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 of Ethanol on $Na^+-P_i$ Uptake in Opossum Kidney Cells: Role of Membrane Fluidization and Reactive Oxygen Species

  • Park, In-Ho;Hwang, Moon-Young;Woo, Jae-Suk;Jung, Jin-Sup;Kim, Yong-Keu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3권5호
    • /
    • pp.529-538
    • /
    • 1999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xamine the effect of ethanol on $Na^+ -dependent$ phosphate $(Na^+-P_i)$ uptake in opossum kidney (OK) cells, an established renal proximal tubular cell line. Ethanol inhibited ^Na^+-dependent$ component of phosphate uptake in a dose-dependent manner with $I_{50}$ of 8.4%, but it did not affect $Na^+-independent$ component. Similarly, ethanol inhibited $Na^+-dependent$ uptakes of glucose and amino acids (AIB, glycine, alanine, and leucine). Microsomal $Na^+-K^+-ATPase$ activity was not significantly altered when cells were treated with 8% ethanol. Kinetic analysis showed that ethanol increased $K_m$ without a change in $V_{max}$ of $Na^+-P_i$ uptake. Inhibitory effect of n-alcohols on $Na^+-P_i$ uptake was dependent on the length of the hydrocarbon chain, and it resulted from the binding of one molecule of alcohol, as indicated by the Hill coefficient (n) of 0.8-1.04. Catalase significantly prevented the inhibition, but superoxide dismutase and hydroxyl radical scavengers did not alter the ethanol effect. A potent antioxidant DPPD and iron chelators did not prevent the inhibition. Pyrazole, an inhibitor of alcohol dehydrogenase, did not attenuate ethanol-induced inhibition of $Na^+-P_i$ uptake, but it prevented ethanol-induced cell death. These results suggest that ethanol may inhibit $Na^+-P_i$ uptake through a direct action on the carrier protein, although the transport system is affected by alterations in the lipid environment of the membrane.

  • PDF

항효모성물질(抗酵母性物質)에 관(關)한 연구(硏究) - (제 1 보)(第 1 報) 분리(分離) 및 그 생화학적작용(生化學的作用)과 성질(性質)에 대(對)해서 - (Studies on the inhibitory substance of yeast growth - (Part 1) Isolation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yeast growth inhibitor -)

  • 서정훈;고영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5권1호
    • /
    • pp.19-25
    • /
    • 1972
  •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로 부터 항효모성물질(抗酵母性物質) Yeaststatic substance인 일종(一種)의 peptide (Astradix-P)를 얻었으며 이 물질(物質)의 특성(特性)은 다음과 같다. 1) 이 물질(物質)은 일종(一種)의 peptide이며 그 PI는 8.2로 나타났다. 2) 이 물질(物質)은 효모(酵母)의 증식(增殖)을 조해(阻害)하며 이 조해(阻害)는 정균효과(靜菌效果)에 기인(起因)한다. 3) 본(本) 물질(物質)은 열안정성(熱安定性)이 매우 커서 $100^{\circ}C$에서 10시간(時間), 혹은 $121^{\circ}C$에서 30분간(分間) 가열(加熱)하여도 거의 실활(失活)하지 않는다. 4) pH에 대(對)해서도 안정(安定)하며 $pH2{\sim}pH10$까지는 별(別) 영향(影響)이 없다. 5) 본(本) 물질(物質)의 작용(作用)에 있어서 glucose, sucrose, maltose등의 당류(糖類)는 그 농도(濃度)에 관계(關係)없이 전연(全然) 영향(影響)을 미치지 아니한다. 6) 본(本) 물질(物質)의 작용(作用)에 있어서 Mg, Ca, $PO_4$ 등 염류(鹽類)도 전연(全然) 영향(影響)을 미치지 않는다. 7) 본(本) 물질(物質)은 효모류(酵母類)의 생육(生育)을 억제(抑制)하며 그 유효농도(有效濃度)는 ${\mu}g/ml$의 범위(範圍)에 있으며 예(例)로서, Saccharomyces carlsbergensis, S. cerevisiae 등 균주(菌株)의 $G.I.\;_{50}$$4{\mu}g/ml$이며, S. coreanus, S. sake는 13, $18\;{\mu}g/ml$이며, Candida pulcherrima는 $3\;{\mu}g/ml$, C. tropicalis는 $38{\mu}g/ml$로 나타났다. 8) 본(本) 물질(物質)은 효모(酵母)의 alcohol 발효(醱酵)에 대(對)해서 전연(全然) 영향(影響)을 미치지 않는다.

  • PDF

Bradyrhizobium japonicum의 저온 전처리에 의한 환경스트레스 내성 증진에 대한 연구 (The Effect of Cold-adaptation on Stress Responses and Identification of a Cold Shock Gene, capA in Bradyrhizobium japonicum)

  • 유지철;노재상;오은택;소재성
    • 미생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45-49
    • /
    • 2002
  • Bradyrhizobium japonicum 은 콩과 식물의 뿌리에 감염하여 뿌리흑을 형성 질소를 고정하는 독특한 능력을 갖는 토양 세균이며 미생물 비료제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온에서 전처리한 B . japonicum 균주를 여러 가지 환경스트레스 조건에 노출하였을 때 생균수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저온 전처리는 16시간 동안 $4^{\circ}C$의 조건을 유지했다. 다양한 스트레스(알콜, 과산화수소, 고온, 건조)에 노출하였을 때, 저온 전처리한 것이 그렇지 않는 것보다 10~1,000배 정도 높은 생균수를 유지하였다. 이러한 내성중진 현상에 전처리 동안 새로운 단백질 합성이 수반되는 것을 단백질 합성 저해제 인 chloramphenicol을 전처리 과정에 포함하여 확인하였다. 저온 스트레스 내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B. japonicum genome 으로부터 중폭하였고 염기서열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에서 확인된 B . japonicum의 CSP (Cold shock protein) 단백질의 부분적 아미노산 서열은 이미 확인된 다른 균주의 Csp 단백질과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한국산 흰구름버섯(Trametes hirsuta S1)으로부터 정제된 Laccase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Laccase Purified from Korean Trametes hirsuta S1)

  • 임형선;윤경하
    • 한국균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12-118
    • /
    • 2004
  • 한국산 흰구름버섯(Trametes hirsuta S1)로부터 배지 내로 분비된 laccase를 ultrafiltration과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 adsorptio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분리 정제하고 정제된 효소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Laccase는 균주의 일차 대사 과정에서 주로 생산되는 세포의 페놀 산화효소였다. 흰구름버섯을 기본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때 생장은 배양 6일까지 급속히 이루어졌고, laccase의 활성은 배양 5일에 최대활성을 나타냈으며 배양액에서 LiP와 VAO의 활성은 측정되지 않았다. Laccase의 생산에 미치는 유도원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배양 중인 흰구름버섯에 몇몇 유도원을 첨가한 결과, 2,5-xylidine은 대조구에 비하여 laccase의 생산을 약4배 증가 시켰다. 정제된 laccase는 SDS 젤 전기영동에서 대략 66 kDa의 분자량을 가지는 단일 폴리펩타이드(single polypeptide)였고, 탄수화물 함량은 12%였다. 정제된 laccase의 $K_m$$V_{max}$를 ABTS[2,2-azino-bis(3-ethylbenzthiazo line-6-sulfonic acid)]를 기질로 사용하여 조사한 결과 각각 $51.2\;{\mu}M$$56.8\;{\mu}mole{\cdot}min^1{\cdot}mg^{-1}$로 측정되었다. Laccase 활성의 최적 pH는 3.0이며, 이 효소는 $50^{\circ}C$ 미만에서 1시간 동안 처리하였을 때 안정적이었고 $70^{\circ}C$에서 20분간 처리하였을 때 효소의 활성이 반감되었다. Laccase의 분광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구리를 포함하는 단백질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laccase의 기질들에 대한 특이성을 조사한 결과, 5 mM ABTS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tyrosine에서는 laccase의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저해제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일반적으로 구리를 포함하는 단백질의 저해제인 $NaN_3$, TGA, DDC를 일정 농도로 처리한 실험구에서는 효소의 활성이 완전하게 억제되었으며, EDTA 처리구에서는 효소의 활성이 억제되지 않았다. 한국산 흰구름버섯 S1 균주로부터 생산되는 laccase의 N-말단의 아미노산의 서열은 Coriolus hirsutus의 laccase와 100%의 상동성을 나타냈고, T. versicolor의 laccase I과는 68%의 상동성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