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blycipitidae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3초

퉁가리과(Amblycipitidae) 어류 계측형질 특징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of Torrent Catfish (Amblycipitidae) in Korea)

  • 박인석;설동원;강언종;김치홍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09-215
    • /
    • 2006
  • 한국의 퉁가리과 어류 3종의 형태학적 특성을 classical dimension과 truss dimension을 사용하여 파악하였다. Arc sin square root 전환 후, 18가지의 계측형질을 체장에 대한 비율로, 그리고 3가지의 계측형질은 두장에 대한 비율로 각각 분석하였다. 퉁사리, Liobagrus obesus는 classical dimension과 truss dimension의 4가지 계측 형질이 퉁가리, L. andersoni와 자가사리, L. mediadiposalisa에 비하여 컸다 (P<0.05). 퉁사리와 퉁가리는 truss dimension의 3가지 계측형질이 자가사리보다 컸다 (P<0.05). 조사된 퉁가리과 어류의 6가지 계측형질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dimension들은 한국산 퉁가리과 어류들을 구별할 수 있는 적절한 분류학적 지표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한국산 퉁가리과 (Amblycipitidge) 어류 2종 수염의 조직 학적 구조 (Histological Structure of the Barbels of Liobagrus andersoni and L. obesus (Amblycipitidae: Pices) from Korea)

  • 박인석;설동원;임수연;김치홍;강언종;공용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38-343
    • /
    • 2006
  • Histological observations of the barbels of torrent catfish (Amblycipitidae) in Korea are reported. The bullhead torrent catfish (Liobagrus andersoni) and Korean torrent catfish (L. obesus) have eight obvious barbels in two pairs each on the maxilla and mandible. Each barbel is composed of an epidermis, dermis, and central cartilagerod. The epidermis of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barbels of the bullhead torrent catfish is thicker than that of the Korean torrent catfish (P<0.05) and is formed of stratified epithelium that contains many cutaneous taste buds and a few small club cells. There are many taste buds on the upper part of each barbel. The dermis consists of loose connective tissue fibers that enclose blood vessels and bundles of nerve fibers. The barbels of these fish can be categorized into stiff and flexible types and are accessory, feeding, and sensory structures. Our results validate the barbels as gustatory receptor organs for these fishes.

한국산(韓國産) 담수어(淡水魚), 쉬리 Coreoleuciscus splendidus의 미세분포(微細分布)에 관(關)하여 (On the Microdistribution of Fresh-Water Fish, Coreoleuciscus splendidus(Gobioninate) from Korea)

  • 최기철;최신석;홍영표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63-76
    • /
    • 1990
  • 한국산(韓國産) 담수어(淡水魚)이며 한국(韓國) 특산종(特産種)인 쉬리 Coreoleueiseus splendidus의 미세분포(微細分布), 분포양상(分布樣相), 종(種) 상관관계(相關關係)을 알아 보기 위하여 휴전선(休戰線) 이남(以南)의 전(全) 지역(地域)(특별시(特別市), 직할시(直轄市), 시(市), 군(郡), 면(面))을 대상(對象)으로 1966년 5월부터 1989년 11월에 이르기까지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조사지역(調査地域) 4909개(個) 장소(場所)중 같은 장소(場所)를 묶어 정리한 결과 31927개의 sites이었고 이 중 본 종이 분포(分布)하는 장소(場所)는 659개의 site로서 출현빈도(出現頻度)는 20.65%이었다. 2. 본 종이 분포하는 하천(河川)은 임진강, 한강, 금강, 웅천천, 만경강, 동진강, 섬진강, 광양, 동천, 사천천, 곤양천, 낙동강, 삼척, 오십천, 남해도의 삼화천, 거제도의 구천천등 14개의 독립하천(獨立河川)이었고 영산강, 안성천, 삽교천 수계등에는 본 종이 분포하지 않았으며 이들의 미분포(未分布)가 1차적인지 2차적인지는 알 수가 없다. 3. 본 종의 분포(分布)는 대부분이 구성비가 25%미만(未滿)으로 단독(單獨)의 분포는 희소(稀少)하고 우세종(優勢種)으로 분포하는 경우는 드물었다. 4. 본 종은 하천의 본류(本流)와 지류(支流)의 순도구배(順度句配)가 증가(增加)되는 중상류(中上流)지점에 주로 분포하며 하천의 하류부(下流部)와 최상류부(最上流部)에는 분포(分布)하지 않았다. 5. 본 종이 분포하는 거리(距離)에 따른 고도(高度)의 평균구배(平均勾配)(기울기)는 2.6이고, 분포(分布) 최소구배(最小句配)는 0.29, 분포(分布) 최대구배(最大勾配)는 5.65의 범위(範圍)의 하천(河川) 여울 지역(地域)에 주로 분포하였다. 6. 본 종이 분포(分布)하는 곳에 50% 이상의 출현빈도를 보이는 종은 10종으로서 그 순서는 Zacco platypes > Punglungia herzi > Z. temmincki > Mierophysogobio yaluensis > Hemibarbus longirostris > Pseudogobio esocinus > Carassius auralus > Coreoperca herzi > Cobilis koreensis > Odonlobutis platyeephala의 순서이며 총 개체수에 있어서는 Z. platypus > C. auratus > Z. temmincki > H. yaluensis > P. herzi > P. esoeinus > C. koreensis > O. plalyeephala > H. longiroslieis > C. herzi의 순서이였다. 7. 수계별(水系別) 종(種) 상관분포(相關分布)에 따르면 함께 분포(分布)하는 종(種)(P < 0.05)은 Cyprinidae 20종, Cobitididae 5종, Salmonidae 1종, Bagridae 1종, Siluridae 1종, Amblycipitidae 2종, Serranidae 2종, Eleotridae 1종이었다. 8. 본 종과 수계별(水系別) 분포(分布)를 달리하면서 생태적(生態的) 동위(同位)의 종(種) 상관성(相關性)을 갖는 종(種)은 Cyprinidae에서는 A. signifer와 A. linlbala, M. koreensis와 M. yaluensiso 이고, Cobitidae에서는 C. koreensis, C. longicorpus, C. rotundicaudata와 N. multifaciata이며, Amblycipitidae의 L. andersoni와 L. mediadiposalis이였다.

  • PDF

The Nuclear DNA Content Determination of 31 Endemic Freshwater Fishes in Korea

  • Park, In-Seok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5권1호
    • /
    • pp.25-32
    • /
    • 2021
  • The main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obtain nuclear DNA content data among the representatives of the families and subfamilies of 31 endemic fishes that inhabit river of Korea. DNA contents of 31 endemic species were observed to rang from 1.5 to 4.8 pg DNA/nucleus. In Cyprinidae, DNA content of Abbottina springeri (1.5±0.03 pg DNA/nucleus) was the lowest value and DNA content of Carassius cuvieri (4.5±0.32 pg DNA/nucleus) was the highest value in all experimental groups. In Cobitidae, DNA content of Iksookimia longicorpa (3.9±0.17 pg DNA/nucleus) was the highest value and DNA content of Orthrias toni (1.5±0.18 pg DNA/nucleus) was the lowest value in all experimental groups. This study provides new information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genomic evolution in 31 endemic species in river of Korea.

섬진강 수계 요천에 서식하는 한국고유종 섬진자가사리 Liobagrus somjinensis (Siluriformes: Amblycipitidae)의 자연산란장 특징 (Characteristics of Spawning Sites in the Natural Environment of the Korean Endemic Species, Liobagrus somjinensis (Siluriformes: Amblycipitidae) in the Yocheon (stream), Seomjingang (river), Korea)

  • 김형수;김수환;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00-305
    • /
    • 2015
  • 2015년 5~6월에 전라북도 남원시 식정동 섬진강 수계 요천에서 한국고유종 섬진자가사리 Liobagrus somjinensis의 자연산란장 11개 지점에 대한 특징을 조사하였다. 자연산란장은 하상기질에 따라 256 mm 이상의 큰돌 (boulder)이 놓여진 상부와 자갈 (pebble)과 모래 (sand)로 이루어진 하부로 구분되었다. 큰돌 아래의 자연산란장은 작은 구멍 안에 난괴 (egg mass)를 형성한 알 덩어리와 섬진자가사리 1개체 (수컷)가 위치하였고 어떠한 저서성 무척추동물이나 유기물이 없는 깨끗한 상태였다. 알은 구형의 노란색으로 투명한 막으로 둘러싸여 있었고 알 크기는 $3.31{\pm}0.15mm$ (n=30)로 나타났다. 큰돌 아래 자연산란장에서 확인된 각 알 덩어리는 유사한 발생단계였고 각각은 상실기에서 안구 형성기까지 나타났다. 11개의 자연산란장에서 확인된 알수는 평균 $121{\pm}35.5$ (84~176)개였고 암컷의 난소에서 확인된 포란수는 $143{\pm}31.3$ (110~232)개였다.

한국산(韓國産) 퉁가리속(屬) 어류(魚類)의 핵형(核型) 분석(分析) (Karyotypes of Genus Liobagrus (Pisces : Amblycipitidae) in Korea)

  • 손영목;이지현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권1_2호
    • /
    • pp.64-72
    • /
    • 1989
  • 한국산(韓國産) 퉁가리속(屬) 어류(魚類) 3 종(種)의 7 집단(集團)에 대해서 염색체(染色體)를 분석하였다. 염색체 수와 핵형(核型)은 종(種) 간(間)에 그 차이가 뚜렷하여 Liobagrus andersoni는 2n=28(AN=56)이었고, 9쌍의 metacentric 염색체와 5쌍의 submetacentric 염색체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L. mediadiposalis는 2n=42(AN=84)로, 14쌍의 metacentric 염색체와 7쌍의 submetacentric 염색체로 나타났다. L. obesus의 경우는 염색체 수가 2n=20(AN=40)이고 모두 metacentric염색체로 구성되어 있어 이제까지 보고된 메기목(目) 어류 중 가장 적은 2n값을 보였다. 성적이형현상(性的二型現象)이나 집단간의 염색체 다형현상(多型現象)은 볼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Robertsonian rearrangement를 위시한 pericentric inversion과 같은 염색체 재배열(再排列)이 종분화(種分化)의 중요한 요인이 되었음을 암시(暗示)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꼬치동자개 (Pseudobagrus brevicorpus) 정자의 미세구조와 계통적 고찰(경골어류, 메기목, 동자개과) (Ultrastructure of Spermatozoa of the Slender Catfish, Pseudobagrus brevicorpus (Teleostei, Bagridae) with Phylogenetic Considerations)

  • 김구환;이준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80-485
    • /
    • 2003
  • Morphology of the spermatozoa from the testes of the catfish (Pseudobagrus brevicorpus) was studied by transmission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spermatozoa of P. brevicorpus are approximately $82.25\pm0.06\;{\mu}m$ in length and relatively simple cells composed of a spherical head, a short midpiece and a tail as in most teleost fish, The nucleus measuring about $2.00\pm0.02\;{\mu}m$ in length is depressed with a deep nuclear fossa of about $1.05\pm0.03\;{\mu}m$ in length three fifths of the nuclear length. The nuclear fossa contains the proximal and distal centrioles. The two centrioles are oriented approximately $150^{\circ}$ to each other. The mitochondria are arranged in two layers and their number is 12 or more. They are separated from the axoneme by the cytoplasmic canal. The axoneme is the 9+2 microtubular pattern and has inner but no outer dynein arms as in other bagrids. The axonemal fins were the closed to axonemal doublet 3 and 8. The axonemal fins and lost outer dynein arm are shared in Bagridae and the deep nuclear fossa is shared in Siluriformes. The axonemal fins observed in Bagridae and Amblycipitidae of Siluriformes might be the apomorphic character in Ostariophysi.

A Histological Study on the Visual Cell Layer of the Endemic Korean Species Liobagrus mediadiposalis (Pisces: Amblycipitidae)

  • Kim, Jae Goo;Park, Jong Young
    • Applied Microscopy
    • /
    • 제47권4호
    • /
    • pp.238-241
    • /
    • 2017
  • A study on the visual cell and eyeball of the endemic Korean species Liobagrus mediadiposalis was investigated by light and electron microscopes. The retina of a small and 2 mm-diameter round eye was thin, $151.0{\pm}4.0{\mu}m$ and has two visual cells, a single cone and a rod cell. The single cone cells are short and thick, $18.0{\pm}0.9{\mu}m$ in length and $5.1{\pm}0.7{\mu}m$ (n=30) in diameter, while the rod cells are longer and thinner, $54.8{\pm}2.9{\mu}m$ in length and $3.3{\pm}0.6{\mu}m$ in diameter. The cone cells are seen an irregular and random mosaic pattern, and the rod cells are also randomly situated at between cone cells. As a rare phenomenon, such structure is one of characteristics reflecting the eye of a nocturnal and bottom-dwelling freshwater fish. The ultrastructure of visual cells was observed with scanning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both cone and rod cells are divided into an inner segment with numerous mitochondria and an outer segment with stacks of membrane discs.

한국 퉁가리속 고유종 동방자가사리 Liobagrus hyeongsanensis의 핵형 분석 (Karyotype Analysis of an Endemic Korean Torrent Catfish Liobagrus hyeongsanensis(Siluriformes: Amblycipitidae))

  • 조윤정;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89-93
    • /
    • 2017
  • 최근 신종으로 발표된 동방자가사리 Liobagrus hyeongsanensis의 핵형 분석을 위해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일대에서 암컷 10마리와 수컷 5마리를 채집하였다. 동방자가사리의 염색체 수는 2n=42이었으며, 핵형은 30개의 중부염색체와 12개의 차중부염색체로 구성되어 있었다. FN 값은 84였으며, 암수 간 성적이형과 배수체는 관찰되지 않았다. 동방자가사리는 퉁가리속의 자가사리, 섬진자가사리와 염색체 수는 같았으나 핵형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핵형의 차이는 지리적 격리로 인한 로버트슨 전좌(Robertsonian rearrangement)와 관련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섬진자가사리 Liobagrus somjienesis(Siluriformes, Adrianichthyidae) 후각기관의 기능 해부학적 구조 (Functional Anatomy of the Olfactory Organ in the Torrent Catfish, Liobagrus somjinensis(Siluriformes, Amblycipitidae))

  • 김현태;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5-68
    • /
    • 2018
  • 섬진자가사리 Liobagrus somjinensis 후각기관과 서식처 환경 및 생태적 습성의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해 실체현미경과 디지털카메라를 이용하여 해부학적 특징을 묘사하였다. 후각기관은 주둥이 위에 좌우 한 쌍으로 존재하였으며, 전비공, 후비공, 비강으로 크게 구성되어 있었다. 전비공은 튜브형의 형태로 코수염과 윗입술 끝 사이에 위치하였다. 후비공은 표면과 평평한 유출공으로써 코수염의 기부 바로 아래에 위치해 있었다. 비강은 가로와 방사형으로 배열된 혀 모양의 22~24개의 판으로 구성된 로제트 구조를 보유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섬진자가사리의 후각기관의 기능 해부학적 구조는 여울에서의 은신, 섭식, 야행성의 생활패턴에 연관된 높은 후각의존도를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