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anita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초

Amanita muscaria 경구투여 시 Sprague-Dawley Rat에서의 독성병리 연구 (The Toxicological Pathologic Study of Amanita muscaria in Sprague-Dawley Rat)

  • 김진;김형진;김소정;김병수;김상기;박병권;박영석;조성대;정지원;남정석;최창순;이성호;정지윤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8호
    • /
    • pp.1152-1158
    • /
    • 2009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광대버섯인 amanita muscaria로 단회투여독성시험과 반복투여독성시험을 하였을 때 SD 랫드의 독성병리학적 변화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단회투여독성시험은 강경증, 경사판법, 정압자극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강경증은 33 mg/kg의 농도에서 투여 2${\sim}$3 시간 후 강경증 시간이 감소하였다. 경사판법의 경우 33 mg/kg의 농도에서 투여 2시간 후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낮은 경사 각도에서도 쉽게 미끄러졌으며, 앞다리 보다는 뒷다리 쪽에서의 움직임 감소를 보였다. 정압자극법의 경우 대조군, 저용량군, 중간용량군에서 SD 랫드가 자극을 인지하는 시간이 1${\sim}$2초 정도로 짧고 매우 공격적인 반응을 보였지만, 고용량군에서는 자극인지 시간이 대략 3${\sim}$5초로 증가하였으며, 대부분 공격적인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것이 관찰되었다. 강경증, 경사판법, 정압자극법 모두 투여 4시간 후 대조군과 비슷한 수치로 회복되었으며 이것으로 보아 섭취 4시간 전후에는 amanita muscaria의 독성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복투여독성시험은 혈액, 혈청분석, 조직 병리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혈청 분석에서 투여군과 대조군을 비교하였을 때 BUN과 creatinine의 변화는 없었지만 ALT와 LDH는 투여군에서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표적장기인 간과 신장의 손상을 의심하였고 조직 병리학적 검사를 통해 간과 신장의 손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리산(智異山) 일대(一帶)의 고등균류(高等菌類)(IV) (The Flora of Higher Fungi in Mt. Jiri Areas (IV))

  • 박성식;조덕현;류천인
    • 한국균학회지
    • /
    • 18권2호
    • /
    • pp.51-57
    • /
    • 1990
  • 1987년 5월부터 1989년 10월까지 지리산 일대의 국립공원에서 자생하는 한국산 고등균류를 60여종을 채집하여 동정한 결과 미기록종으로 확인한 것은 다음과 같으며 이들에 대하여 보통명을 신청하였다. Conocybe rickenii (Schaeffer) Kihner(건초 종버섯) Coprinus rhizophorus kawam et al.(헛대 먹물버섯) Agaricus comtulus Fr.(볼록 들버섯) Tricholomopsis decora (Fr.) Sing.(장식 솔버섯) Gymnopilus penetrans (Fr. ex Fr.) Murr.(침투 미치광이 버섯) Amanita abrupta Peck(비탈 광대버섯) A. rufoferruginea Hongo(암적색 광대버섯) Stropharia semiglobata (Batsch ex Fr.) Quel. (반구 독청버섯)

  • PDF

지리산(智異山) 일대(一帶)의 고등균류(高等菌類) (V) (The Flora of Higher Fungi in Mt. Jiri Areas (V))

  • 조덕현;박성식
    • 한국균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75-185
    • /
    • 1991
  • 1989년 3월부터 1990년 10월까지 지리산 국립공원 일대에서 한국산 고등균류를 약 70여종 채집하여 동정한 결과 미기록 1속과 미기록 12종을 확인 하였으며 이들에 대하여 한국 보통명을 신칭하였다. Tubaria (겨나팔버섯속), Collybia areruata (단풍애기버섯), Hygrocybe calyptraeformis (새벽벚꽃버섯), Tubaria fufuracea (겨나팔버 섯), Amanita hemibapha subsp. javanicea (노란띠쟈바버섯), A. alboflabescens (백황색광대버섯), A. neoovoidea (신알광대버섯), Leccinum holopus var. holopus (으뜸껄껄이그물버섯아재비), L. griseum (회색껄껄이그물버섯), Tylopilus nigropurpureus (흑자색쓴맛그물버섯), Lactarius zonarius var. zonarius (당귀젖버섯아재비), L. necator (독젖버섯), Russula alboareolata (흰둘레무당버섯).

  • PDF

무우자갈버섯(Hebeloma crustulineforme)을 위시한 한국산 담자균류 46종의 용혈활성 검색 (A Preliminary Screening of 46 Korean Basidiomycetes Including Hebeloma crustulineforme for Their Hemolytic Activities)

  • 양희정;정수현;김진향;정경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25권4호통권83호
    • /
    • pp.253-256
    • /
    • 1997
  • 한국산 야생버섯의 독성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46종의 야생버섯의 용혈독성을 검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46종 중 Amanita esculenta, A. griseofarinosa, A. longistriata, A. melleiceps, A. phalloides, A. rubescence, A. spissacea, A. vaginata, Hebeloma crustuliniforme, Lepiota cygnea, Macrolepiota procera, 및 Oudemansiella platyphylla 등 12종의 야생 담자균 냉침액이 마우스 적혈구에 대하여 강력한 용혈활성을 나타내었다. 2) A. griseofarinosa 및 H. crustuliniforme은 $100^{\circ}C$ 수용상에서 5분간 가열하여도 그 용혈 활성이 소실되지 않아 열에 매우 안정한 용혈성분을 함유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지리산(智異山) 일대(一帶)의 고등균류(高等菌類) (I) (The Flora of Higher Fungi in Mt. Jiri Areas (I))

  • 박성식;조덕현;이지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47-252
    • /
    • 1986
  • 1984년(年) 6월(月)부터 1985년(年) 9월(月)까지 지리산일대(智異山一帶)에서 한국산(韓國山) 고등균류(高等菌類) 300여점(餘點)을 채집(採集)하여 동정(同定)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이 한국산(韓國産) 미기록종(未記錄種)을 확인하고 신칭(新稱)되였다. Clitocybe flaccida (Fr.) Kummer, 끝말림깔때기버섯 Tricholoma sejuctum (Fr.) $Qu\acute{e}l.$ 남색송이, Melano-leuca melaleuca (Fr.) Murr.. 얼룩버섯, Amanita rub-rovolvata Imai 주홍색광대버섯, Rhodophyllus lazuli-nus $Qu\acute{e}l.$ 흑청색외대버섯, Paxillus involutus (Fr.) Fr. 주름우단버섯, Lactarius campholatus (Fr.) Fr.민맛젖버섯.

  • PDF

노란달걀버섯 균주의 여러 환경 조건에 따른 균사 생장 특성 (Mycelial growth properties of an Amanita javanica strain under various culture conditions)

  • 강정아;가강현;김준영;윤성탁;김성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91-196
    • /
    • 2019
  • 노란달걀버섯은(Amanita javanica) 국내에서 산림법으로 보호받고 있는 식용 가능한 외생균근성 버섯이나, 중요한 산림자원으로서 활용하기 위한 기초적인 특성 연구에 대한 자료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채집 야생버섯 자실체로부터 분리한 노란달걀버섯 NIFoS 1267 균주를 이용하여 PDA 배지 상에서 물리적 요인(온도, pH, 광)과 화학적인 요인(염분, 중금속, 농약)에 따른 균사생장 특성을 조사하였다. 최적의 물리적 환경은 온도가 30℃, pH가 5-6, 암조건으로 배양이었을 때 노란달걀버섯 균주의 균사생장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화학적 요인으로서 염분은 2.0% 농도 조건까지 버섯균주의 균사 생장이 가능하였다. 50 ppm 농도의 중금속 이온 환경에서 비소(As) 이온은 노란달걀버섯 균주의 균사생장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카드뮴(Cd)와 납(Pb) 이온은 균사 생장이 불가능하게 하였다. 국내 산림에 사용되고 있는 2가지 농약의 경우, Abamectin 첨가 배지에서는 노란달걀버섯 균주의 균사 생장에 영향이 없었으나 Acetamiprid, Emamectin benzoate, Thiacloprid가 첨가된 배지 환경에서는 균사 생장이 모두 다 저해 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상업적 생산을 위한 새로운 자원으로서 노란달걀버섯의 인공재배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산(韓國産) 고등(高等) 균류(菌類)의 분류학적(分類學的) 연구(硏究)(IV) (Taxonomic Investigations on Korean Higher Fungi(IV))

  • 김병각;김두하;최응칠;심미자
    • 한국균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7-25
    • /
    • 1976
  • 1976년 7월${\sim}$9월에 경기도(京畿道) 및 서울지방(地方)에서 채집(採集)한 고등(高等) 균류중(菌類中) 다음 9종(種), Amanita griseofarinosa, Pholiota spectabilis, Pholiota vermiflua, Boletus erythroporus, Russula alutacea, Russula chameleontina, Russula xerampelina and Polyporus sulphureus 및 Mycena haematopoda는 한국(韓國) 미기록종(未記綠種)임을 보고(報告)한다.

  • PDF

Phalloides 증후군에서 혈역학적 보조를 위해 T-PLS를 사용한 1례 (A Case of Phalloides Syndrome where T-PLS(R)was used for Hemodynamic Support)

  • 김성춘;김규석;서길준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33-136
    • /
    • 2004
  • Phalloides syndrome has usually occurred after incidental mushroom ingestion. It is sometimes difficult to differentiate toxic mushrooms from edible ones, especially in lay person because of their morphological similarities. In Korea, Amanita virosa and Amanita subjunquillea have been reported as a cause of fulminant hepatic failure in mushroom poisoning (phalloides syndrome). We report a case of phalloides syndrome who came to death with fulminant hepatic failure even though we planned liver transplantation and used T-PLS(R) (Twin Pulse Life Support) for hemodynamic support while waiting for the donor.

  • PDF

백두산 일대의 균류 자원 (The Fungal Resources of Mt. Paekdu Areas)

  • 조덕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5-121
    • /
    • 2010
  • 백두산 일대에서 2002년 5월부터 2008년 9월까지 많은 균류을 채집하여 동정 하였다. 그 결과 미기록종으로 확인된 종은 비단깔대기버섯 (Clitocybe alnetorum), 접시깔대기버섯 (C. catinus), 변색깔대기버섯 (C. metachroa), 흰깔대기버섯 (C. odora var. alba), 나뭇잎깔대기버섯 (C. phyllophilla), 예쁜광대버섯 (Amanita muscaria var. formosa), 노랑마귀광대버섯 (A. pantherina var. lutea), 반먹물버섯 (Coprinus semitalis), 광택볏짚버섯 (Agrocybe dura), 줄무늬땀버섯 (Inocybe grammata), 회색껍질끈적버섯 (Cortinarius epipolius), 거미집끈적버섯 (C. nemorensis)이 였다. 이들 미기록종을 한국산 버섯목록에 추가하여 균류자원으로 활용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