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pine soils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3초

강원도 고랭지 배추경작지의 토양 및 수질 중 농약 오염 실태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at alpine and sloped-land in Gangwondo, Korea)

  • 박동식;김태한;김성수;이상민;김성문;허장현
    • 농약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89-197
    • /
    • 2004
  • 강원도 고랭지의 주요 소득원 중 하나인 배추재배는 그 재배 면적과 생산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병해충 방제를 위하여 사용되는 농약으로 인한 고랭지 농업환경 오염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청정 강원도 고랭지 지역인 평창, 정선 및 태백지역의 배추경작지 토양과 수질 중 시기별 잔류농약의 오염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각 지역에서 2002년 4월부터 10월까지 2개월 간격으로 토양 및 수질 시료 각각 240점과 84점을 채취하여 시료 중 농약 잔류량을 다성분 동시 스크리닝 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지역 및 시기별 잔류농약 조사 결과, 토양 중 농약의 잔류량은 평창 및 정선의 경우 18종의 농약이 $0.004\sim0.412\;mg\;kg^{-1}$수준으로 검출되었으나, 평창의 횡계리에서 10월에는 농약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태백의 경우에서도 검출농약의 종류가 다른 지역과 비슷하였으며, 4월, 6월 보다는 8월 및 10월에 $0.002\sim0.663\;mg\;kg^{-1}$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평창 및 정선에서는 살충제 endosulfan이 35%의 검출빈도를 보였으며, 태백에서 높은 검출빈도를 보인 약제로는 endosulfan이 최고 100%, 살균제 dimethomorph, diniconazole이 85%, 살충제 prothiofos와 살균제 fluazinam이 30% 이상 이였다. 또한 배추 경작지 미등록 농약(diniconazole, alachlor, carbendazim, alpha-cypermethrin, carbofuran, prothiofos)들도 $0.004\sim0.412\;mg\;kg^{-1}$ 범위로 조사되어 농약 오용의 실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채취된 모든 수질 시료에서는 농약이 검출되지 않아 토양 중 농약잔류가 수계오염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Distribution and New Species of Dictyostelids in Subalpine Zone of Mt. Paektu, Korea

  • Kang, Kyoung-Mi;Chang, Nam-Kee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3권4호
    • /
    • pp.331-337
    • /
    • 2000
  • Fourteen different taxa of dictyostelid cellular slime molds were recovered from the alpine and subalpine zone in Mt. Paektu. In subalpine zone, six species were recovered : Dictyostelium minutum, D. brefeldianum, D. crassicaule, D. capitatum, Polysphondylium solitarium and P. pallidum. One of these species which were isolated from the soils of Larix olgensis community exhibited several distinctive features which differed from the published species. This species was designated as a new species, Polysphondylium solitarium Kang et Chang, sp. nov. When cultivated at 22~24$^{\circ}C$ on low-nutrient agar media with Escherichia coli, Polysphondylium solitarium is distinguishable from other species by the following combination of features: (ⅰ) the sorocarps with vinaceous pigmentation; (ⅱ) pseudoplasmodia radial. usually centralized and rarely subdivided; (ⅲ) the various number of whorls; (ⅳ) the spores with unconsolidated and nonconspicuous polar granules. Also, we confirmed this new species by analyzing ribosomal DNA (ITS1, ITS2 and 5.8s DNA) sequences of P. solitarium and P. violaceum.

  • PDF

홍천군 산지농업지대의 토양침식취약성 분석 (Analysis of Soil Erosion Vulnerability at Alpine Agricultural Fields of HongCheon County)

  • 김기성;허성구;정영상;김지만;임경재
    • 농촌계획
    • /
    • 제11권2호
    • /
    • pp.51-57
    • /
    • 2005
  • It has been well known that soil erosion and sediments from alpine agricultural fields are causing severe water quality and turbidity problems in receiving waters. Also these result in the loss of money because farmers have to buy top soils to provide enough root zone in the following year. Thus, there have been needs to reduce soil erosion and sediment discharge into the stream networks. To accomplish this end, an effective erosion control plans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scientific research, not by rule of thumb. The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USLE) has been widely used to estimate the soil erosion in many countries over the years. In this study, the USLE was used to estimate soil erosion potential under different cropping scenarios in HongCheon County, Kangwon. The soil erosion potential for continuous corn cropping was the highest compared with those from continuous potato find average cropping scenarios. This indicates the soil erosion plans need to be established considering cropping system in the field. The Unit Stream Power Erosion-Deposition (USPED) was applied for HongCheon County to estimate soil erosion and deposition areas. The USPED estimated results can be used to complement USLE results in developing effective erosion control plans.

감자와 무를 재배하는 사질양토 고랭지 밭의 시비량에 따른 비점오염 발생량 비교 (Comparison of Non-Point Pollution Occurrence by Amount of Fertilizer Applicetion from Sandy Loam Alpine Fields which Cultivetes Poteto and Radish in Korea)

  • 최용훈;원철희;박운지;신민환;신재영;이수인;양희정;최중대
    • 한국관개배수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40-49
    • /
    • 201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monitor the runoff of sandy soils on alpine uplands between March 2008 and December 2009, and assess non-point source pollution load. The fields were used to cultivete poteto in 2008 and radish in 2009. The fertilizers used in 200S, compared to those used in 2009, contained 2.1 times of nitrogen, 1.9 times of phosphorous, and 2.3 times of potassium. In 2008, the annual pollution load indiceted SS 2,908.47kg/ha/yr, COD 67.95kg/ha/yr, BOD 50.72kg/ha/yr, TN l3.29kg/ha/yr, and TP 9.97kg/ha/yr. In 2009, the annual pollution load indiceted SS 3,908.34kg/ha/yr, COD 225.04kg/ha/yr, BOD 156.96kg/ha/yr, TN 18.88kg/ha/yr, and TP 36.41kg/ha/yr. The amount of fertilizers used was about twice greeter in 2008, but the amounts of TN in pollution load per unit of rainfall were similar by 0.031kg/ha/mm to 0.029kg/ha/mm, whereas the amounts of COD (0.16kg/ha/mm to 0.35kg/ha/mm), BOD (0.12kg/ha/mm to 0.24kg/ha/mm), and TP (0.023kg/ha/mm to 0.057kg/ha/mm) doubled in 2009. We can infer thet the surface covering by the growth of crop mainly affected the transport of T-N through the subsurface flow to reduce non-point source pollution.

  • PDF

실내 인공강우를 이용한 강원도 고랭지 토양의 토성 및 경사도별 농약 이동특성 (Mobility of pesticides in different slopes and soil collected from Ganwon alpine sloped-land under simulated rainfall conditions)

  • 김성수;김태한;이상민;박동식;;허장현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16-329
    • /
    • 2005
  • 강원도 고랭지 경사지 경작지에서 채취한 토양의 토성(미사질식양토, 태백; 사양토, 횡성) 및 경사도(15%, 30%, 45%)별로 carbendazim, carbofuran, chlorpyrifos, cypermethrin, dimethomorph, diniconazole, endosulfan 등 7종의 농약을 처리한 실내 시험구에 인공강우하여 유출수 및 용탈수 그리고 강우 종료 후 토양 시료를 채취하였고, 이들 각각의 시료 중 농약 잔류량을 근거로 농약 이동특성을 파악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유출수 중 시간에 따른 농약 잔류량을 비교한 결과, 토성이 다른 두 토양과 모든 경사도에서 유사한 경향으로 수용해도가 가장 낮은 cypermethrin을 제외한 6종의 농약이 시료채취 초기 60분 이내에 최고 96% 이상 검출되었다. 용탈수 중 농약의 잔류량은 유출수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다소 낮은 농도로 검출되었으며, 특히 수용해도가 낮은 chlorpyiifos, cypermethrin, diniconazole 및 endosulfan은 시료채취 60분 이후에 검출되어 물 시료 중 농약 잔류량은 농약의 수용해도와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토양 시료 중 농약 잔류량은 두 토양과 모든 경사도에서 $0{\sim}5$ > $5{\sim}10$ > $10{\sim}15$ cm의 순으로 표토에서 많이 검출되었으며, clay 함량이 높은 미사질식양토에서 더 높은 농약 잔류를 보였다. 경사도 및 시험구 상, 하단의 비교에서는 두 토양 모두에서 특별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물과 토양 시료 중 농약 이동성 비교 결과, 미사질식양토에서는 토양, 사양토에서는 물 시료로 더 많이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나 두 시료간의 비교에서는 수용해도 보다 토성에 우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고산 지역의 구상나무 분포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nges and Distributions of Korean Fir in Sub-Alpine Zone)

  • 김남신;이희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49-57
    • /
    • 201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sis change of distribution and habitat location environment of Korean Fir which is typically vulnerable species by the climate change in Mt. Jiri and Halla. Korean Fir was decreased 18% during 27 year since year 1981, Mt. Halla was 34% during 15 years since year 1988. In the same periods, Temperature change was increased from 8.56 to $9.36^{\circ}C$, from 11.2 to $12.1^{\circ}C$. Distribution changes by the elevation showed higher change ratio 1,400~1,600m in Mt. Jiri and 1,200~1,900m in Mt. Halla. Changes of Korean Fir each slope aspects was high $180{\sim}360^{\circ}$ in Mt. Jiri, $45^{\circ}$ in Mt. Halla. In slope was $30^{\circ}$ in Mt. Jiri and $20^{\circ}$ in Mt. Halla. Changes by reliefs was 12 in Mt. Jiri, 0 or 15 in Mt. Halla, and Sites of Korean Fir was convex slopes both of two areas. Changes by soils was in the good drainage textures.

Diversity and community structure of ectomycorrhizal mycorrhizal fungi in roots and rhizosphere soil of Abies koreana and Taxus cuspidata in Mt. Halla

  • Ji-Eun Lee;Ahn-Heum Eom
    • Mycobiology
    • /
    • 제50권6호
    • /
    • pp.448-456
    • /
    • 2022
  • In this study, the roots and rhizosphere soil of Abies koreana and Taxus cuspidata were collected from sites at two different altitudes on Mt. Halla. Ectomycorrhizal fungi (EMF) were identified by Illumina MiSeq sequencing. The proportion of EMF from the roots was 89% in A. koreana and 69% in T. cuspidata. Among EMF in rhizosphere soils, the genus Russula was the most abundant in roots of A. koreana (p < 0.05). The altitude did not affect the biodiversity of EMF communities but influenced fungal community composition. However, the host plants had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EMF communities. The result of the EMF community analysis showed that even if the EMF were isolated from the same altitudes, the EMF communities differed according to the host plant. The community similarity index of EMF in the roots of A. koreana was higher than that of T. cuspidata (p < 0.05). The results show that both altitude and host plants influenced the structure of EMF communities. Conifers inhabiting harsh sub-alpine environments rely strongly on symbiotic relationships with EMF. A. koreana is an endangered species with a higher host specificity of EMF and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than T. cuspidata.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the EMF communities, which are symbionts of A. koreana, and our critical findings may be used to restore A. koreana.

제주도 화산회토양의 배추와 양배추에 대한 질소의 시비추천식 설정 (Recommendation of Optimum Amount of Fertilizer Nitrogen Based on Soil Organic Matter for Chinese Cabbage and Cabbage in Volcanic Ash Soils of Cheju Island)

  • 송요성;곽한강;연병열;이춘수;윤정희;문두영;이신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05-111
    • /
    • 2002
  • 현재 채소류에 대한 질소시비량 추천식은 육지부토양에서 시험한결과를 이용하여 설정된 것으로 이를 화산회토양에서도 활용하는 문제가 있어 이를 검토하기위하여 제주도 토양을 중심으로 1999년에는 pot와 2000년에는 포장에서 몇개의 질소시비량수준을 두고 배추를 재배한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Pot와 포장시험에서 배추의 질소 최고시비량은 $294{\sim}331kg\;ha^{-1}$이었고 토양의 유기물함량과 최고시비량과의 관계를 이용하여 화산회토양에 알맞는 새로 질소시 비량 추천식을 설정하였다. 2. 배추의 질소시비량시험을 통한 화산회토의 실제 질소시비적량은 기존의 추천식을 이용한 시비량과는 큰차이를 보였고 개선된 질소시비 추천식으로부터 산출된 질소 시비량과는 근소한 차이를 보였다. 3. 수화기 T-N 함량 및 질소흡수량은 질소시비량이 증가할수록 많았으나 질소이용 율은 질소시비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4. 화산회토양에서 재배하는 양배추 대한 토양유기물함량에 따른 질소 시비량은 배추대비 질소흡수량을 흡수량비교 계수로 하고 이를 이용하여 양배추의 새로운 질소시비 추천식을 도출하였다.

토양 column을 이용한 토성 및 자갈함량별 농약 이동특성 (Mobility of pesticides in different soil textures and gravel contents under soil column)

  • 이상민;김성수;박동식;허장현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30-337
    • /
    • 2005
  • 토성(미사질식양토, 태백; 사양토, 횡성; 양토, 춘천) 및 자갈 함량(0%, 20%, 40%, 60%)에 따라 7종 (carbendazim, carbofuran, chlorpyrifos, cypermethrin, dimethomorph, diniconazole, endosulfan)의 농약을 토양 컬럼에 처리한 후 증류수로 담수상태를 유지하며 수거한 용탈수와 용탈수 수거 후 채취한 토양 중 농약 잔류량을 파악하여 수계 및 토양으로의 농약 이동특성을 평가하였다. 토성 별 용탈수 중 농약은 수용해도가 가장 높은 carbofuran이 세 토양 모두에서 총 검출량의 87% 이상 초기 $2{\sim}4$ L 채취시료에서 검출되었으며, 토양중 carbendazim과 carbofuran을 제외한 5종의 농약 검출량은 미사질식양토 > 양토 > 사양토 순이었다. 컬럼의 상, 중 및 하단의 토양 중 농약 검출량은 carbofuran을 제외한 6종의 농약이 clay 함량이 유사한 미사질식양토 및 양토의 컬럼 상단에서 $50{\sim}92%$ 수준으로 검출되는 경향을 보여 수계로의 농약 이동성 및 토양잔류성은 각 농약의 수용해도와 토양 중 clay 함량에 의존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자갈함량에 따른 농약의 잔류경향은 토성별 실험과 유사한 결과를 얻었으며, 이동특성 또한 큰 차이를 볼 수 없었으나 자갈함량이 증가할수록 용탈수의 이동 속도 증가와 함께 시간당 농약의 이동량도 증가하였다.

밭토양(土壤)의 물리성(物理性)과 가리(加里) (Potassium Availability and Physical Properties of Upland Soils)

  • 유순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89-201
    • /
    • 1977
  • 밭토표(土表)의 물리성(物理性)과 가리(加里)의 행동(行動), 가리함량(加里含量), 식물(植物)에 의(依)한 가리(加里)의 흡수(吸收)와의 관계(關係)를 논의(論議)하였으며 우리나라 밭 토양(土壤)에 대(對)한 치환성(置換性) 가리(加里)의 함량(含量)을 중심(中心)으로 하여 토양유형(土壤類形), 지형(地形), 토성별(土性別)로 가리(加里)의 현황(現況)을 분석(分析) 검토(檢討)하였다. 토양(土壤)의 가리함량(加里含量)은 주(主)로 광물학적(鑛物學的) 조성(組成)에 의(依)하여 결정(決定)되며 식물(植物)에 대(對)한 가리(加里) 유효도(有效度)는 토양(土壤)의 유효가리함량(有效加里含量) 뿐만아니라 토양(土壤)에서의 이동성(移動性)에도 크게 영향을 받는다. 우리나라에서 토양(土壤)의 가리(加里) 유효도(有效度)는 치환성가리(置換性加里) 함량(含量)과 포장시험(圃場試驗)에 의(依)하여 평가(評價)되어 왔으나 가리비효(加里肥效)와 치환성(置換性) 가리(加里)의 함량(含量)과의 관계는 토양유형(土壤類型), 지형토성(地形土性), 연도(年度)에 따라서 상이(相異)한 결과(結果)를 나타내었다. 치환성(置換性) 가리(加里)의 함량(含量)은 유형(類型), 지형(地形), 토성(土性)에 관계(關係)없이 항상 A층, B층, C층의 순으로 낮다. 치환성(置換性) (Ca+Mg)에 대(對)한 치환성(置換性) 가리(加里)의 비(比)가 토양(土壤)에 따라서 다르기 때문에 치환성(置換性) 가리(加里) 함량(含量)과 가리(加里) 포화도(飽和度)와의 관계(關係)는 일정(一定)치 않으나 대체(大體)로 표토(表土)의 가리포화도(加里飽和度)가 최대치(最大置)를 나타내었다. 가리비효(加里肥效)에 대(對)한 임계치(臨界値)를 치화성(置換性) 가리(加里) 함량(含量) 0.3me/100g, 가리포화도(加里飽和度) 5.0%라 할 때 이 임계치(臨界値)를 넘는 토양(土壤)은 대지(臺地), 산록경사지표토(山麓傾斜地表土)의 토양(土壤) 뿐이었다. 식양질(埴壤質), 식질(埴質), 보통전(普通田), 중점전(重粘田) A층의 치환성(置換性) 가리(加里) 함량(含量)은 0.3me/100g 보다 높지만 가리포화도(加里飽和度)는 4.0% 또는 그 이하(以下)이었다. 사질토양(砂質土壤)의 A층의 염기(鹽基) 포화도(飽和度)는 5.0% 보다 높으나 치환성(置換性) 가리(加里)의 함량(含量)은 0.19me/100g이었다. 저구릉지(低丘陵地), 구릉지(丘陵地), 미숙전(未熟田), 고원전(高原田)의 토양(土壤)은 치환성(置換性) 가리(加里) 함량(含量)과 가리(加里) 포화도(飽和度)가 특(特)히 낮은 토양(土壤)들이다. 치환성(置換性) 가리(加里) 함량(含量)이 가장 많은 분포(分布)를 보이는 것은 A, B, C층 모두 0.1~0.2me/100g이며, 0.3me/100g 이상(以上)되는 토양통(土壤統)은 A, B, C층에서 각각 27.3%, 11.1% 4%에 불과(不過)하였다. 가리(加里) 포화도(飽和度)가 가장 많은 분포(分布)를 나타내는 것은, A층에서 2.0~3.0% B, C층에서 1.0~2.0%의 범위에 있었으며, 가리(加里) 포화도(飽和度)가 5.0 이상(以上)되는 토양통(土壤統)은 A, B, C층에서 각각 18.0, 6.3, 4.1%에 불과(不過)하였다. 대지(臺地), 산록경사지(山麓傾斜地)에 분포(分布)된 토양(土壤)은 치환성(置換性) 가리(加里) 함량(含量)과 가리(加里) 포화도(飽和度)가 높아서 가리비효(加里肥效)가 적고, 사질토양(砂質土壤)은 유효가리함량(有效加里含量)이 낮을 뿐만 아니라 유효수분함량(有效水分含量)이 낮아서 특(特)히 한발시(旱魃時) 가리비효(加里肥效)가 큰 토양(土壤)임을 지적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