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oe vera gel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9초

In vivo Angiogenic Activity of Dichloromethane Extracts of Aloe vera Gel

  • Lee, Myoung-Jin;Yoon, Soo-Hong;Lee, Seung-Ki;Chung, Myung-Hee;Park, Young-In;Sung, Chung-Ki;Choi, Jae-Sue;Kim, Kyu-Wo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8권5호
    • /
    • pp.332-335
    • /
    • 1995
  • The angiogenic activity of Aloe vera (Aloe baradensis), known as a good healing plant, was investigated. We have extracted and fractionated dichloromethane extract (G1M1D1) and methanol soluble fraction of dichloromethane extract (G1M1D1M1) which contain low-molecular weight substances of Aloe vera gel. G1M1D1 and G1D1M1 fractions induced a radially arranged, spoke-sheel-like vasculature in chick embryo chorioallantoic membrane (CAM) assay. The angiogenic activity was dose-dependent and the angiogenic pattern in the CAM assay. The angiogenic activity was dose-dependent and the angiogenic pattern in the CAM assay was very similar to that of phorbol 12-myristate-13-acetate (PMA) used as a positive control. The modified CAM assay, e simple and accurate quantitating method, was used to quntitate the angiogenic activity of G1D1M1 fraction. Application of G1M1D1M1 fraction ($100\mug/egg$) resulted in much more intense angiogenesis than in control while slightly less intense angiogenesis than in PMA (100 ng/egg).

  • PDF

Aloe vera 중의 렉틴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ectin from Aloe vera)

  • 박원봉;박정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899-905
    • /
    • 1999
  • Aloe vera의 점액성의 젤리 및 녹색의 표피로부터 gel chromatography 및 친화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렉틴을 분리하여 SDS-PAGE에 의하여 분자량을 확인하였다. 젤리로부터 분리된 물질을 전기영동한 결과, Sephadex G-100으로 정제한 경우, 58.7 kD와 33.3 kD의 분자량에서 band가 나타났고, 산처리한 Sepharose 4B column으로 정제한 렉틴의 경우에는 176.4 kD의 band가 나타났다. 표피로부터 분리된 물질을 전기영동한 결과, Sephadex G-100으로 정제한 경우, 221.1 kD, 54.0 kD, 32.5 kD에서 넓은 band가 나타났으며, 산처리 한 Sepharose 4B column으로 정제한 경우에는 222.0 kD 및 158.0 kD의 band가 나타났다. 산처리한 Sepharose 4B로부터 분리된 렉틴에 대한 당의 적혈구 응집력 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젤리의 경우, D-galactose, lactose, D-galactosamine과 특이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lactose와 가장 큰 특이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표피의 경우에는 D-galactose, D-galactosamine에만 특이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젤리와는 달리 lactose와는 특이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화크로마토그래피로부터 분리된 렉틴에 대한 pH의 영향을 측정한 결과, 젤리와 표피로부터 얻은 시료 모두 pH $7.0{\sim}9.0$의 pH 범위에서 안정하였다. 또한, 온도의 영향을 측정한 결과, $0{\sim}60^{\circ}C$까지 100% 활성을 나타냈고 $70^{\circ}C$ 이상에서는 활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쉬폰 케이크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알로에의 영향 (Effects of Aloe (Aloe vera Linne) on the Quality Attributes of Chiffon Cake)

  • 김혜영;신두호;정용남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900-907
    • /
    • 2009
  • 기능성 소재로서 알로에를 활용하여, 쉬폰 케이크를 개발하기 위하여 알로에 겔을 여러 농도로 첨가하여 쉬폰케이크를 제조하였다. 알로에 겔을 박력분 대비 20%, 40% 그리고 60%, 첨가하여 알로에 쉬폰 케이크를 제조한 후, 알로에 쉬폰 케이크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중량은 대조군과 알로에 겔 첨가군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높이는 알로에 겔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이가 낮게 나타났다. 굽기 손실률은 알로에 겔 첨가량이 증가됨에 따라 감소하였고, 60% 알로에 겔 첨가군의 굽기 손실률이 유의적으로 가장 낮았다. 수분함량은 알로에 겔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60% 알로에 겔 첨가군의 수분 함량이 가장 높았다. 기공의 크기를 관찰한 결과 60% 알로에 겔 첨가군의 기공이 가장 작았다. 그리고 crumb의 색은 알로에 겔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흰색이 강해졌다. 대조군의 L(Lightness) 값은 알로에 겔 첨가군 보다 낮았다. a value(Redness)는 알로에 겔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함께 증가하였다. 40% 알로에 겔이 첨가된 케이크의 b value(Yellowness)만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다른 군의 b value는 대조군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모든 군의 경도는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대조군의 부착성이 다른 군에 비해 가장 낮았다. 탄력성은 군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응집성은 알로에 겔 40% 첨가군이 대조군과 알로에 겔 20% 첨가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대조군의 검성과 씹힘성은 알로에 첨가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 케익의 노란색은 알로에 겔 60% 첨가군에서 가장 낮았다. 또한, 알로에 겔을 첨가한 경우 기공의 크기가 감소하였다. 외관의 전체적인 선호도는 군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비록 알로에 냄새는 알로에 겔 처리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냄새 선호도는 알로에 겔 60% 첨가군이 다른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맛 선호도, 촉촉함 그리고 질감 선호도는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알로에 겔 40% 와 60%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높은 조밀도를 나타내었다. 전체적인 선호도는 60% 알로에 겔 첨가군이 다른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결론적으로, 알로에 겔을 쉬폰 케이크에 첨가하여 제품 제시 밀가루 대비 40% 이하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Improving the Skin Penetration of Cosmetics Containing Omega 3 Fatty Acids

  • KIM, Han-Sook;HAN, Sien-Ho
    • 웰빙융합연구
    • /
    • 제4권4호
    • /
    • pp.15-25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rm a new cosmetic market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composition with high skin permeability after adding omega 3 to Aloe Vera soothing gel product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In this study, omega-3 fatty acids were added to cosmetic products in the form of soothing gels. By applying nanoparticle technology to rapidly increase the penetration of raw materials into the skin, characteristics related to skin moisture and regeneration were determined. Omega-3 was used as a raw cosmetic material. Then 5% and 15% nanoparticle aqueous products containing omega-3 were prepared. The developed water hydrate was subjected to skin permeability test using artificial skin. Results: 53 hours of artificial transdermal penetration of the developed composition, the ethanol-based omega-3 containing nanoparticle solubilized raw material was about three times higher penetration than the ethanol-based omega-3 containing nanoparticle solubilized raw material. Conclusions: The raw material product (SR-1901) containing 5% of omega-3 nanoparticle water hydrate has skin regeneration ability and pain reduction effect. It can be expected that the skin cosmetics market will be reorganized into a new distribution structure and opportunity through omega-3 supplemented soothing gel cosmetics with improved efficacy than existing cosmetics.

알로에 베라(Aloe vera) 겔 중 총 다당체 시험법 개선 (Improvement of Analytical Method for Total Polysaccharides in Aloe vera Gel)

  • 이영주;김윤제;임동길;윤태형;신지은;윤창용;김정훈;박미선;강태석;정자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71-276
    • /
    • 2012
  • 건강기능식품 중 알로에 베라 겔 제품의 기능성분(지표성분)은 총 다당체로 설정되어 있으며 식품공전 시험법은 페놀황산법에 의하여 총 다당체 함량을 측정하도록 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페놀황산 반응에 의한 총 다당체 분석의 분석편차 발생의 주요인으로 파악된 투석단계에 대하여 세부 분석조건(투석막의 너비, 투석외액의 부피와 교체시간, 투석 후 정용여부, 페놀황산 반응시간)에 대한 최적 조건을 설정하였고 이를 토대로 표준화된 시험법을 마련하여 실험자, 실험실의 주관적 설정에 의한 편차발생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표준화 된 시험법의 검증을 위해 알로에 베라 겔 원료성 분말 및 제품에 대하여 일내(2.56% 이하), 일간(4.85% 이하) 정밀성과 실험실간(5.50% 이하), 실험자간(6.64% 이하) 정밀성을 확인한 결과, 비교적 높은 정밀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알로에 겔 유통제품에 대한 정밀성에서도 비교적 신뢰할 수 있는 수준(7.08% 이하)의 결과를 확인하였다. 최적화한 표준 시험법에 따른 총 다당체 분석은 알로에 겔 제품 검사의 정밀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Reduction of Intestinal Polyp Formation in Min Mice Fed a High-Fat Diet with Aloe Vera Gel Extract

  • Chihara, Takeshi;Shimpo, Kan;Beppu, Hidehiko;Tomatsu, Akiko;Kaneko, Takaaki;Tanaka, Miyuki;Yamada, Muneo;Abe, Fumiaki;Sonoda, Shigeru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7호
    • /
    • pp.4435-4440
    • /
    • 2013
  • Aloe vera gel supercritical $CO_2$ extract (AVGE) has been shown to contain five phytosterols, reduce visceral fat accumulation, and influence the metabolism of glucose and lipids in animal model experiments. Recent epidemiologic studies have shown that obesity is an established risk factor for several cancers including colorectal cancer. Therefore, we examined the effects of AVGE on intestinal polyp formation in Apc-deficient Min mice fed a high-fat diet. Male Min mice were divided into normal diet (ND), high fat diet (HFD), low dose AVGE (HFD+LAVGE) and high dose AVGE (HFD+HAVGE) groups. The ND group received AIN-93G diet and the latter 3 groups were given modified high-fat AIN-93G diet (HFD) for 7 weeks. AVGE was suspended in 0.5% carboxymethyl cellulose (CMC) and administered orally to mice in HFD+LAVGE and HFD+HAVGE groups every day (except on Sunday) for 7 weeks at a dose of 3.75 and 12.5 mg/kg body weight, respectively. ND and HFD groups received 0.5% CMC alone. Between weeks 4 and 7, body weights in the HFD and HFD+LAVGE groups were reduced more than those in the ND group. However, body weights were not reduced in the HFD+HAVGE group. Mice were sacrificed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and their intestines were scored for polyp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either the incidence and multiplicity of intestinal polyps (${\geq}0.5$ mm in a diameter) among the three groups fed HFD. However, when intestinal polyps were categorized by their size into 0.5-1.4, 1.5-2.4, or ${\geq}2.5$ mm, the incidence and multiplicity of large polyps (${\geq}2.5$ mm) in the intestine in the HFD+HAVGE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the HFD group. We measured plasma lipid (triglycerides and total cholesterol) and adipocytokine [interleukin-6 and high molecular weight (HMW) adiponectin] levels as possible indicators of mechanisms of inhib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HMW adiponectin levels in the HFD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the ND group. However, the levels in the HFD+HAVGE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HFD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AVGE reduced large-sized intestinal polyps and ameliorated reduction in plasma HMW adiponectin levels in Min mice fed HFD.

알로에 베라 가공 부산물 추출물의 지방세포 분화억제, 미백, 항균 및 항산화 활성 (Adipocyte differentiation inhibition, whitening,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Aloe vera by-product)

  • 이성훈;은창호;백진홍;김인중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4권2호
    • /
    • pp.171-176
    • /
    • 2021
  • 알로에는 화장품 및 약용 식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식물로서 알로에 젤 추출물에서 항산화, 항암, 항 당뇨, 면역, 미백 등 여러 효과가 보고되었지만, 알로에 가공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을 이용한 연구는 많이 수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알로에 가공 과정에서 나온 부산물을 이용한 추출물이 기능성 바이오 소재로 활용될 수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먼저 믹서 추출물과 착즙 추출물 모두에서 세포 독성은 보이지 않았다. 3T3-L1 지방 세포 분화의 억제는 믹서 추출물에서만 확인되었다. 믹서 추출물의 처리 농도에 따라 히알루론산 축적 및 Tyrosinase억제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믹서 추출물의 항균 활성은 Porphyromonas gingivalis 균주에서 관찰되었지만, Streptococcus mutans 균주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DPPH 및 SOD 분석을 통한 항산화 활성은 믹서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알로에 부산물의 믹서 추출물은 지방 세포 분화억제와 보습, 미백, 항산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건강 음료나 미용 마스크 등의 기능성 바이오 소재로 활용이 가능한 것을 시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