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nus maximowiczii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334초

두메오리나무 잎의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Flavonoids from the Leaves of Alnus Maximowiczii Call)

  • 안경환;도상학;정동욱;김준식;조수민;이민원
    • 약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41-46
    • /
    • 2000
  • Phytochemical examination of the leaves of Alnus maximowiczii Call, one of the indigenous Alnus species grows in Korea, has led to the isolation of three flavonoids. Structure of these flavonoids were elucidated as quercetin-3-O-$\beta$-D-glucopyranoside (1) , quercetin-3-O-$\alpha$-L-rhamnopyranoside (2) and myricetin-3-O-$\alpha$-L-rhamnopyranoside (3) respectively by means of physico-chemical and spectral evidences.

  • PDF

소화신산의 화산분화후에 성립한 두메오리나무 임분의 질소무기화와 질화작용 - NH$_{4}$

  • 문현식;춘목아관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6호
    • /
    • pp.751-757
    • /
    • 1998
  • Nitrogen dynamics in mineral soils of an alder (Alnus maximowiczii) stand established on volcano Mt. Showa-Shinzan were measured by laboratory incubation method in order to clarify characteristics of $NH_{4}^{+}$ mineralization and nitrification rate, from August 1994 to July 196. Contents of total N and organic matter were relatively low, but increased in May-July. Extractable $NH_{4}^{+}$ concentrations and $NH_{4}^{+}$ mineralization were high in June and July, and decreased in midsummer and fall. Extractable $NO_{3}^{-}$ concentrations did not vary seasonally. Negative values at $NH_{4}^{+}$ mineralization and nitrification rate were observed in August and September. $NH_{4}^{+}$ mineraliz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il organic matter, and nitrification rates were influenced by extractable $NH_{4}^{+}$ concentration and $NH_{4}^{+}$ mineralization.

  • PDF

민간약 오리나무의 생약학적 연구 (Pharmacognostical Studies on the Korean Folk Medicine "ORiNaMu")

  • 이창훈;김성룡;배지영;박종희
    • 생약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09-212
    • /
    • 2011
  • Korean folk medicine 'ORiNaMu' has been used mainly to cure toothache and alcoholism. With regard to the botanical origin of 'ORiNaMu', it has been considered to designate the branch of Alnus species (Betulaceae), but there was no pharmacognostical confirmation on it. To clarify the botanical origin of 'ORiNaMu', the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e branch of Alnus firma, A. hirsuta, A. japonica and A. maximowiczii were studi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e morphological criteria for the four Alnus species that could discriminate them the number of cork cell layer, fiber, stone cell and diameter of vessel. According to there criteria, it was clarified that the commercial folk medicine 'ORiNaMu' was the branch of Alnus firma.

울릉도 나리분지의 산림군락과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Forest Community and Environment Factor of Nari Basin in Ulleung Island)

  • 정재민;윤준혁;신재권;문현식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3호
    • /
    • pp.1-7
    • /
    • 2011
  • 본 연구는 울릉도 나리분지의 군락구조와 환경요인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산림식생의 보전 및 관리에 필요한 생태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나리분지의 산림군락은 너도밤나무군락, 당마가목군락, 소나무군락, 풍게나무군락, 두메오리나무군락으로 분류되었다. DCCA 분석 결과, 환경요인 중 해발이 군집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너도밤나무군락과 당마가목군락은 방위, Na, C/N의 환경요인과 군락단위의 분포지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풍게나무군락은 Ca, K 등과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메오리나무군락은 CEC의 함량이 높은 입지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해발고와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소나무군락은 Ca, CEC의 함량이 높은 입지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溫山工團 周邊의 森林植生에 관한 調査 (Study on forest vegetation in the vicinity of onsan industrial complex)

  • Kim, Jong-Gab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5권3호
    • /
    • pp.231-246
    • /
    • 1992
  • In order to estimate effects of air pollution for pinus thunbergii forests arounding onsan industrial complex, structure of forest vegrtation was surveyed. In the survey of forest vegetation, pinus densiflora have been died or being withered, and importance value(I.V) of rhododendron mucromulatum and lespedeza spp. were low at the vicinity of industrial complex. Especially lespedeza maximowiczii and l. maritima were not entirely appeared at the vicinity of industrial complex. I.V. of quercus serrata, robinia pseudoacacia and alnus firma were preferably high at the vicinity of industrial complex, and those of smilax china, rubus crataegifolius and rhus trichocarpa were similar at every site and it could be guessed that those had a tolerance. Number of species had a difference over 10 species at the vicinity of industrial complex as compared with those of remote sites, and species diversity showed highly at the farther sites of industrial complex, and also at the low layer, number of species, species diversity and evennes were low at the vicinity of industrialcomplex and species weakened to air pollution were disappearing. It was possible that forest vegetation would be changed from pinus spp. to community of a. firma and r. pseudoacacia.

  • PDF

백두산 천지와 소천지주변의 희귀식물과 특정식물종 연구 (Studies on Specific Plants and Rare Plants around Chunji and Sochunji in Mt. Baekdu)

  • 오현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52-62
    • /
    • 2006
  •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around Chunji and Sochunji in Mt. Baekdu was listed 120 taxa; 31 families, 81 genera, 97 species, 1 subspecies, 21 varieties and 1 form. About endangered wild plants, 2 taxa (Paeonia obovata, Rhododendron aureum) are in class II. 12 taxa were listed as rare and endangered plants; Disporum ovale, Lilium davuricum, Saxifraga punctata, Rosa marretii, Cnidium tachiroei, Bupleurum euphorbioides, Halenia corniculata, Gentiana jamesii, Pedicularis verticillata, etc. 10 taxa were listed as Korean endemic plants; Lilium amabile, Aconitum pseudolaeve var. erectum, Oxytropis anertii for. alba, Valeriana officinalis var. latifolia, Cardamine resedifolia var. morii, Homopteryx nakaiana, Saussurea alpicola, Ligularia jamesii, etc. Specific plants by floral region were total 47 taxa; 3 taxa (Paeonia obovata, Rhododendron aureum, Pedicularis verticillata) in class V, 15 taxa (Lycopodium annotinum, Alnus maximowiczii, Saxifraga punctata, Petasites saxatile, etc.) in class IV, 5 taxa (Spiraea salicifolia, Sanguisorba hakusanensis, Acer ukurunduense, Campanula glomerata var. dahurica, Cacalia adenostyloides) in class III, 18 taxa (Lycopodium chinense, Disporum ovale, Ceologlossum viride var. bracteatum, Betula ermani,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Filipendula multijuga, Geranium eriostemon, Cnidium tachiroei, Ligularia stenocephala, etc.) in class II, 6 taxa (Pinus koraiensis, Cimicifuga simplex, Sanguisorba tenuifolia var. alba, Senecio nemorensis, Cacalia hastata subsp. orientalis, Cirsium pendulum) in class I. Peculiar flora around Chunji is thought to be made by the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wind, temperature and rainfall that influence the plants' growth.

Color Evaluation of Commercial Domestic Hardwoods (I)

  • Park, Byung-Ho;Kim, Nam-Hun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99-207
    • /
    • 2011
  • Examined the color of ten species of Korean broadleaf trees were experimented based on $L^*a^*b^*$ values and color difference (${\Delta}E^*ab$) between sapwood and heartwood, in order to analyze and determine the color, a critical visual and decorative factor of the broadleaf trees that can be used for making woodcraft and furniture. According to the result, the entire sapwood and heartwood, except the heartwood of Populus tomentiglandulosa, showed positive value in whiteness, redness, and yellowness and therefore contained yellow and red. None of the species showed color difference between sapwood and heartwood that was trace (0~0.5), slight (0.6~1.5), or very much; whereas Populus maximowiczii showed noticeable color difference (1.5~3.0); Salix koreensis,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Carpinus laxiflora, and Castanea crenata, appreciable and Populus tomentiglandulosa, Juglans mandshurica, Betula schmidtii, Alnus japonica, and Quercus variabilis, much. The color characteristics of heartwood and sapwood of the ten Korean broadleaf tree species studied in this research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woodcraft or furniture production, especially when replacing foreign woods with Korean ones, and also contribute to convergence researches for science, engineering, and design fields.

  • PDF

팔공산(八公山) 삼림식생(森林植生) (Forest Vegetation of Mt. Pal-Gong)

  • 홍성천;조현제;윤영활;김제학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0권1호
    • /
    • pp.17-27
    • /
    • 1985
  • 팔공산(八公山) 남사면(南斜面)의 상관식생도(相觀植生圖), 수직분포(垂直分布), 삼림군락(森林群落)의 분포(分布) 및 목본식물(木本植物)을 조사연구(調査硏究)하였던 바, 팔공산(八公山)의 삼림식생(森林植生)을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할 수 있었다. 1) 상관식생도(相觀植生圖)는 소나무림(林), 낙엽활엽수림(落葉闊葉樹林), 혼효림(混淆林) 등(等)으로 구분할 수 있었고, 소나무림(林)이 약(約) 43%, 낙엽활엽수림(落葉闊葉樹林)이 약(約) 16%, 혼효림(混淆林)이 약(約) 17%이었다. 2) 삼림식생(森林植生)의 수직분포대(垂直分布帶)에 있어서 해발(海拔) 750m이하에서는 소나무림(林)이, 750~950m 지역에는 침엽수, 활엽수의 혼효림(混淆林)이, 950m이상의 지역(地域)에서는 낙엽활엽수림(落葉闊葉樹林)이 우점(優占)하고 있었다. 3) 상층수목(上層樹木)으로는 소나무, 신갈나무 등(等)이 우점(優占)하여 있었고, 중층수목(中層樹木)으로는 서나무, 당단풍나무 등(等)과 같은 음수성(陰樹性) 수종(樹種)이 해발(海拔) 1100m부근(附近)까지 고르게 분포(分布)하고 있었으며, 하층수목(下層樹木)으로는 조록싸리, 조릿대, 철쭉 등(等)이 균일하게 분포(分布)하고 있었다. 그리고 해발(海拔) 850m이상의 낙엽활엽수림(落葉闊葉樹林) 지역(地域)에는 철쭉, 진달래, 신갈나무, 산앵도나무, 조릿대 등(等)이 우점(優占)하고 있었다. 4) 17개 삼림군락중(森林群落中) 개비자나무군락(群落), 물갬나무군락(群落), 말채나무군락(群落) 등(等)이 팔공산(八公山) 남사면(南斜面)의 특징(特徵)이 있는 군락(群落)으로 사료(思料)되었다. 5) 수목(樹木)의 종류로는 178종(種), 29변종(變種), 10품종(品種)인 총(總) 217종류(種類)가 채집(採集)되었고, 종래(從來)의 소산수목목록(所産樹木目錄)외에 사시나무, 물갬나무, 곰딸기 등(等)이 새로이 채집(採集)되었다.

  • PDF

울릉도 산마늘 자생지의 산림입지환경과 토양 특성 (Forest Site Environments and Soil Properties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in Ullengdo)

  • 허태철;윤충원;주성현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3호
    • /
    • pp.19-26
    • /
    • 2012
  • 본 연구는 산마늘의 임간재배를 위한 기초 환경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울릉도 산마늘은 너도밤나무, 우산고로쇠나무, 섬잣나무, 솔송나무, 소나무, 곰솔, 섬피나무, 두메오리나무 군락에 자생하고 있으며, 입지환경은 평균 해발고도 563.4 m, 평균 경사는 $27.8^{\circ}$ 이었다. 토성은 사토, 사질양토, 양질사토, 양토가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유기물층의 깊이는 평균 6 cm, 토양 pH는 5.40, 유효인산은 18.5 ppm, 양이온 치환용량은 $18.6cmol_c/kg$으로 나타났다. CCA분석에 의한 입지와 토양인자와의 상관관계를 보면 너도밤나무군락은 탄소, 질소, 모래함량, 양이온치환용량과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도시 습지 자연생태계 변화 특성 및 관리방안 연구 - 서울시 둔촌동 생태·경관보전지역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cosystem Change and Management in Urban Wetland - Focusing on the Dunchon-Dong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Seoul -)

  • 한봉호;박석철;김종엽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1-20
    • /
    • 2023
  • 본 연구는 둔촌동 생태·경관보전지역을 대상으로 습지 복원 전·후 생물다양성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주변 도시개발 변화에 맞는 습지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표 생물종을 정밀조사하고, 보전지역 및 주변 지역에서 발생하는 생태계 위협요인을 파악·분석하였다. 둔촌동 습지 주변 지역은 과거 산림과 논이었던 지역에 대규모 아파트단지가 조성되고, 일부 배후 산림은 남아있었다. 식물상 변화를 살펴보면, 복원 전 2000년에는 총 193종류이었다가 복원 후 2004년부터 2006년까지 종수가 줄었다가 2019년 현재 총 149종류로 다시 증가하였다. 복원 전·후 출현종을 비교한 결과, 숲 속 습한 습지지역에서 생육하는 왕비늘사초(Carex maximowiczii), 삿갓사초(Carex dispalata)와 습지 내 얕은 물이 유지되는 지역에서 생육하는 올챙이고랭이(Schoenoplectiella juncoides), 큰고랭이(Schoenoplectus tabernaemontani) 등 사초과 초본이 증가하였다. 습지 식생유형별 면적비율 변화를 분석한 결과 복원 이후 습지자생초본이 가장 높은 비율로 세력을 형성하였다. 습지자생초본의 세력 변화는 26.6%(2000) → 44.6%(2002) → 49.0%(2005) → 53.3%(2007) → 28.7%(2010) → 37.3%(2019)로 증가세를 보이다 2010년에 크게 감소 후 점차 확대되고 있다. 2010년 이후 변화는 습지 내 개방수면 확보와 담수지 내 유기물 제거를 위한 전면적인 식생관리가 원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습지자생목본은 복원 후 오리나무(Alnus japonica) 치수가 출현하여 세력을 1.6%(2005) → 6.3%(2007) → 14.8%(2010) → 21.9%(2019)로 계속 확대되고 있었다. 양서류는 2000년부터 2019년까지 모니터링 결과 도롱뇽(Hynobius leechii), 두꺼비(Bufo gargarizans), 맹꽁이(Kaloula borealis), 큰산개구리(Rana uenoi) 등 총 9종이다. 둔촌동 습지의 양서류는 귀화식물 및 자생식물 관리와 담수지 개방수면 확보를 통해 두꺼비, 도롱뇽, 큰산개구리 등 산림을 기반으로 하며 습지에서 서식하는 양서류가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야생조류 종다양도 지수는 복원 전 종다양도 지수는 2000년 0.9922, 복원 후 종다양도 지수는 2005년 1.2449, 2010년 1.2467, 2019년 2.2631로 복원 후 수치가 증가하였다. 둔촌동 생태·경관보전지역의 생태계 보전 관리는 둔촌주공 아파트 재건축 공사 영향 최소화, 습지 인접 무분별한 접근로 정비 및 습지 주 진입부 입구 정비를 제시하였다. 생태계 복원 관리에서는 공사 펜스 철거 시 체계적인 생태 복원 및 완충식재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