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l-Red

검색결과 2,471건 처리시간 0.029초

C57BL/6 마우스에서 모발성장 촉진에 대한 Allium cepa (red)와 Angelica gigas Nakai의 효과 (Effect of Allium cepa (red) and Angelica gigas Nakai on Hair-growth Promotion in C57BL/6 Mice)

  • 이진영;동재경;강재선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1호
    • /
    • pp.990-998
    • /
    • 2020
  • 본 연구는 C57BL/6 마우스에서 Allium cepa (red) 생물전환 추출물과 Angelica gigas Nakai 추출물이 혼합된 새로운 물질의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적양파의 에탄올 추출물을 Bacillus subtilis KJ-3(BS3) 균주의 사용을 통해 생물전환하였고 이것을 Red-BCQ라고 명명하였다. Red-BCQ의 퀘르세틴 함량은 생물전환 후 약 7.4배 증가 되었다. 참당귀 추출물(Agnex)에는 decursin (D), decursinol angelate (DA) 등 쿠마린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Agnex 1 mg 중에는 D 0.4146 mg, DA 0.3659 mg이 포함되어 있었다. 미녹시딜(minoxidil)은 모발 성장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Red-BCQ, Agnex 및 이들 혼합물의 모발 성장 촉진효과를 5% 미녹시딜과 비교하였다. 25마리의 마우스는 생리식염수(CON), 5% 미녹시딜(PCON), Red-BCQ (RA), Agnex (AG), 이들 혼합물 (RAG) 처리군 등 5개의 실험군으로 나누었다. 시료는 하루에 한 번 4주 동안 정해진 시간에 경구로 투여되었다. 모발 증식은 7, 14, 21, 28일에 사진으로 관찰하였다. 또한 5α-reductase, alkaline phosphatase (ALP), γ-glutamyl transpeptidase (γ-GT), insulin-like growth factor (IGF)-1, transforming growth factor(TGF)-β1, 항산화효소활성, 피부조직의 모낭도 관찰했다. 모든 결과에서 혼합물 투여 그룹은 다른 그룹보다 항산화 효과와 모발 성장 촉진 효과가 더 컸다. 이러한 데이터는 RAG가 C57BL/6 종의 모발 성장에 대해 강력한 자극활동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홍백 비단잉어와 홍백 비단잉어×홍잉어 교배종의 적색소 분석 (Analysis of Red Coverage in Red- and White-koi Carp (Cyprinus carpio) and Red- and White-koi Carp (C. carpio)×Red Common Carp (C. carpio) Cross Progenies)

  • 황주애;김정은;이정호;김대희;김형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38-241
    • /
    • 2018
  • 본 연구는 고품질 비단잉어 생산을 위해 비단잉어와 홍잉어 교배종의 성장과 적색색소의 빈도분석을 통해 비단잉어 색도를 분석하였다. 색소 및 성장도 분석을 위해 부화 후 170일령 비단잉어를 각 교배 집단별로[비단잉어${\times}$비단잉어(KK), 비단잉어${\times}$홍잉어(KR)와 홍잉어${\times}$비단잉어(RK)] 100개체씩 분석하였다. 성장도 분석 결과 비단잉어${\times}$홍잉어(KR) 교배집단에서 전장과 전중의 성장이 가장 높았다. 교배 그룹 모두 흰색, 적색-흰색, 적색의 3가지 색소 패턴을 보였다. 적색색소 분포는 KK 집단이 64%, KR 집단이 56%, RK 집단이 36%였다. 적색 색소 범위의 빈도분석 결과 적색색소 30~50%를 차지하는 비율이 KK 집단이 10%, RK 집단이 12% 그리고 KR 집단이 14%로 가장 높았다. 비단잉어 적색색소 빈도 분석에 관한 연구는 비단잉어 선별을 위한 분석 도구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Current Status of Korean Ginseng Products and Trends in Enhanced Functional Ginseng Products

  • Byungdae Lee;Tae-Eun Kwon;Hoon-Il Oh;Ho-jung Yoon
    • 인삼문화
    • /
    • 제6권
    • /
    • pp.13-34
    • /
    • 2024
  • The abolishment of the red ginseng monopoly act by the Korean government in 1996 resulted in a drastic change in the Korean ginseng industry, leading to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market size and consumption of ginseng products. Red ginseng is most popular type, with approximately 74% of harvested fresh ginseng being processed into various red ginseng products. Since 1997, there has been a substantial increase in the cultivation of ginseng for production of red ginseng, which, in turn, has contributed to the proliferation of ginseng processing companies. To investigate the products of ginseng manufacturing businesses, we select 200 companies primarily engaged in ginseng processing or specializing solely in ginseng. Our survey on the status of ginseng industry covered 8 different categories. 1) Root ginseng: There were 66 companies involved in manufacturing red ginseng root, accounting for 33.0% of all surveyed companies. This was followed by black ginseng root with 36 companies (18.0%) and red ginseng fine roots with 22 companies (11%). 2) Red ginseng products: A total of 144 companies were involved in manufacturing red ginseng pouches, making it the most common product category. This was closely followed by 142 companies producing pure(100%) red ginseng extract concentrate. 3) Fermented red ginseng products: Companies producing fermented red ginseng extract concentrate products were the most numerous, totaling 26. Following this, companies producing fermented red ginseng stick and pouch products were next in line. 4) Ginseng products: There were 15 companies involved in the production of ginseng products, with the majority focusing on ginseng tea. 5) Black ginseng products: Companies producing black ginseng extract concentrate were the most numerous, with 31 companies, followed by 26 companies producing black ginseng extract pouches. 6) Taegeuk ginseng products: Only 5 companies were involved in the production of taegeuk ginseng products. 7) Fermented black ginseng, and 8) Ginseng berry products: These categories are manufactured by less than 5 companies each. However, the variety in ginseng berry products suggests the potential for future growth. In the 2000s, a trend emerged with the development of new processed products aimed at enhancing the functional components of red ginseng, and these products have captured the attention of consumers. However, this study primarily focuses on black ginseng, fermented red ginseng/fermented black ginseng, and ginseng berry products as they have exert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overall ginseng industry.

고추에서 SCB액비 시용량 설정을 위한 수량 및 품질 평가 (Evaluation of Yield and Quality from Red Pepper for Application Rates of Pig Slurry Composting Biofiltration)

  • 임태준;홍순달;김승희;박진면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71-177
    • /
    • 2008
  • 악취와 양분의 불균일을 개선한 SCB 액비를 농경지에 투입하기 위해서는 작물에의 이용 및 환경에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적정한 질소 양분관리가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지 고추 재배에서 수량과 고추 품질 평가 항목으로 가용성 당 및 capsaicinoids 등을 고려하여 정식 전 액비의 적정 시용량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액비 처리에 따른 건물중은 시용량 증대에 따라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부위별로는 열매가 건물중의 주요 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열매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각각의 부위별로 처리간의 큰 차이가 없음을 보였다. 정식 후 72에서 133일까지 총 5회에 걸쳐서 수확한 누적 수량에서 수확 초기인 1차 및 2차 수확에서는 처리간의 수량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3차 수확이래로 액비 처리간에 차이를 보였다. 홍고추의 수량은 액비의 시용량 증가에 따라서 정량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액비 100% 시용구에서 가장 많은 수량을 나타내었으나, 화학비료구 및 액비 125%구와 처리간의 차이는 없었다. 고추 품질 평가로서 가용성 당과 캡사이시노이드와의 비교에서 액비 시용 수준과 화학비료구간의 차이는 없었다. 위의 결과에서 고추에서 밑거름 화학비료 대체를 위한 액비의 시용은 질소 시비 추천량에 대해서 SCB 액비 100% 시용이 추천된다.

Stability of pUC-Derived Plasmids with a Fluorescence Marker in 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 and subsp. betavasculorum

  • Hur, Woon-Yung;Roh, Eun-Jung;Oh, Chang-Sik;Han, Man-Wi;Lee, Seung-Don;Kim, Doo-Ho;Heu, Sung-Gi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5권3호
    • /
    • pp.286-290
    • /
    • 2009
  • The stability of three different kinds of pUC-derived plasmids, pDsRed, pZsYellow, and pGFPuv, was investigated in Pectobacterium strains to utilize those plasmids as tracers. All three plasmids pDsRed, pZsYellow and pGFPuv showed their specific colors in Pectobacterium strains. Especially, the plasmid pDsRed conferred bright pink colonies on the Pectobacterium strains. When the bacteria lost the plasmid pDsRed, the colonies turned white, suggesting that the plasmid could be a good marker system for Pectobacterium strains on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effect of the antibiotic pressure on the stability of the plasmid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host bacteria. P. carotovorum subsp. betavasculorum was more sensitive to the antibiotic pressure than P.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 Pcc21. However, temperature change significantly affected plasmid stability on both Pectobacterium strains. Almost all strains lost the plasmids with the shift in temperature from $28^{\circ}C$ to $37^{\circ}C$. Presence of the plasmids did not affect bacterial pathogenicity on their own host plants. Among three plasmids, pZsYellow was not useful as a marker because the yellow fluorescent proteins from pZs Yellow were interfered with the yellow natural fluorescence of the plant tissues induced by the defense system. Since the red color of DsRed can be seen with naked eyes, plasmid pDsRed was applicable as a marker. However, the color change was slow so that additional manipulation to increase the expression speed was necessary. Plasmid pGFPuv could serve as a perfect marker without any problem, tracing the reproduction and spread of the plant pathogens perfectly.

조명의 색이 육계의 행동과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ight Colors on the Behavior and Performance of Broiler Chickens)

  • 손장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29-33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3개의 다른 색(white, blue 및 red/ 23L-1D)의 조명이 육계 암수별 행동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시험계는 초생추 육계를 6개 pan(pan당 암컷 16수, 수컷 16수)으로 나누어서, 3가지 색의 조명에서 실험이 실시되었다. 실험계는 3일간의 조명에 대한 적응 기간을 거친 후, 동일한 사양 조건에서, 암수 각각 3수씩, pan당 6마리의 focal birds를 중심으로 pecking, resting, standing 및 walking 행동이, 1일 120분간(pan당 20분/일), 주 5일간, 직접관찰법으로 5주간 시행되었다. 뿐만 아니라 증체량과 사료 섭취량 등은 주별로 계산되었고, 시험계 19일령과 33일령의 2회에 걸쳐서 TI-반응과, 33일령의 1회에 걸쳐서 gait score, foot pad score 및 horn burn score가 조사되었다. 조명의 색은 증체량, 사료 섭취량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P>0.05). 그러나 사료 효율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쳐서(P<0.05), blue 조명의 경우가 white 및 red 조명의 경우보다 높았다(P<0.05). Resting 행동 빈도는 전체의 행동 빈도에서 주요한 행동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암수간 또는 조명의 색깔에 따라서 영향을 받지 않았다. 성장 초기에는 red 조명에서 resting 행동 빈도가 낮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standing 행동 빈도는 4~18일령에, walking 행동 빈도는 전 시험 기간 동안 red 조명에서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육계 사육장내 조명의 색은 생산성, 행동 빈도 및 복지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생각되었다.

LED 조명처리가 꽃송이버섯의 균사배양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mycelial culture of cauliflower mushroom (Sparassis crispa) using LED lighting operation)

  • 오득실;김현석;심봉섭;위안진;윤병선;김강웅;왕승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4-31
    • /
    • 2013
  • 선행연구로서 꽃송이버섯 배지내 LED 조명색에 의한 푸른곰팡이 생육억제 효과는 모든 처리구에서 생육이 억제되었으나 blue 처리구에서 푸른곰팡이균의 포자발생량이 매우 높아 꽃송이버섯 배양에 부적합하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배양 28일 후 LED 파장에 따른 꽃송이버섯의 균사생장 특성과 LED 파장 색상별 배양시간의 경과에 따른 균사생장 특성을 조사한 결과 모두 red 파장 처리구에서 균사생장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red 파장 범위에서 광량을 달리하여 균사생장 조건을 확인한 결과, 광량 세기가 낮은 1.41 ${\mu}mol/m^2S$ 처리구에서 우수한 균사생장을 나타내었다. 계대배양 실시 여부에 따른 균사생장 특성에서는 실험 전 1회 계대배양을 실시한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배지조성을 달리한 톱밥배지 내 LED 광량별 균사생장은 미송 처리구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를 미송 톱밥배지에서 LED red 2.11 ${\mu}mol/m^2S$의 광량을 처리하였을 경우 84일 배양한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상기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았을 경우 red 파장 2.11 ${\mu}mol/m^2S$ 광량에서 84일 이상 미송 톱밥배지에서 배양하는 것이 꽃송이버섯 배양에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적포도주들의 발효와 후 발효 중 심혈관 관련 Angiotensin I 전환효소 저해활성과 혈전용해활성 및 $\beta$-secretase 저해 활성의 변화 (Changes of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Fibrinolytic Activity and $\beta$-Secretase Inhibitory Activity of Red Wines During Fermentation and Post-Fermentation)

  • 노재덕;이은나;서동수;천종필;최신양;이종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91-298
    • /
    • 2008
  • 본 연구는 4종류의 한국산 포도를 이용하여 포도주를 제조한 후 이들의 발효와 후 발효중의 심혈관 관련 angiotensis I 전환효소 저해 확정과 혈전 용해 활성 및 항치매성 $\beta$-secretase 저해활성을 조사하였다. 발효 10일 후 모든 시료 포도주들의 항고혈압성 엔지오텐신 전환효소(ACE)저해활성은 $38.6%{\sim}58.8%$ 이었다. 그러나 후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ACE저해활성은 증가하여 세리단(Vitis hybrid) 포도주가 후발효 120일 후 최고인 76.9%에 도달하였다. 혈전용해활성은 모든 시료 포도주들에서 미약하거나 없었다. 발효 10일 후, 켐벨어리(Vitis labrusca B) 포도주가 54.8%의 가장 높은 항치매성 $\beta$-secretase저해 활성을 보였으나 후발효 120일 후에는 10% 미만으로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세리단 포도를 S. cerevisiae K-7 효모로 $25^{\circ}C$에서 10일간 발효 시킨 후 $4^{\circ}C$에서 120일간 후발효 시켜서 고부가가치의 생리 기능성을 가진 세리단 적포도주를 제조하였다.

Reticulitermes Speratus 군체의 모니터링을 위한 염색 시약 선정 및 이종 마킹을 통한 군체 간 식별 (Selection of Dye Markers for Monitoring Reticulitermes speratus and Identification of Colonies by Heterogeneous Dye-Marking)

  • IM, Ik-Gyun;HAN, Gyu-Seo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5호
    • /
    • pp.514-534
    • /
    • 2021
  • 국내 목조건축물을 가해하는 지중 흰개미인 Reticulitermes speratus 군체의 영역 범위 산정을 위한 적정 염색약 선정 및 확산 경향 평가를 실시하였다. Sawdust diet를 이용한 감수성 평가 결과, 염색약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섭식량은 감소하지만 보다 진하게 염색되었으며, 생존율은 Neutral Red 0.5%를 제외하고 4주차까지 모든 농도 조건이 대조군과 차이 없이 85% 이상의 생존하였다. 또한 2가지 염색약 모두 0.1% 농도 조건을 제외한 0.2% 이상의 농도 조건에서 11주 동안 염색이 유지되었고 전이력은 염색약 섭식 직후를 제외하고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Nile Blue A와 Neutral Red 모두 0.2% 농도 조건이 R. speratus 군체의 영역 모니터링에 최적의 농도라고 판단된다. 이와 더불어 실내 조건에서 제작된 40m 길이의 foraging arena에 약 25,000마리 군체를 서식시킨 뒤, Nile Blue A와 Neutral Red 0.2% 농도로 각각 염색된 개체를 양 쪽 끝에 방사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확산 경향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염색 개체가 7일 정도의 기간에 40m 거리까지 점진적으로 확산 이동하여 서로 섞이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목조건축물에 유입된 R. speratus 군체를 대상으로 Mark-Release-Recapture(MRR) 법을 이용한 모니터링을 실시할 경우, 군체의 영역 범위를 산정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군체의 식별도 가능할 것이다.

RNCC 기반 다시기 RapidEye 위성영상의 정밀 상호좌표등록 (RNCC-based Fine Co-registration of Multi-temporal RapidEye Satellite Imagery)

  • 한유경;오재홍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81-588
    • /
    • 2018
  • 본 연구는 다시기 영상의 활용이 유리한 RapidEye 영상의 활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이들 간에 지역적으로 존재하는 기하오차를 최소화 하는 정밀 상호좌표등록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RapidEye 영상과 함께 제공되는 RPCs (Rational Polynomial Coefficients)를 이용하여 다시기 정사영상을 생성하고, 정사영상 간의 정밀 상호 좌표등록을 수행하였다. 정사영상을 생성하기 위해서 수치지도에서 추출된 DEM (Digital Elevation Model)을 활용하였으며, 정밀 상호좌표등록을 수행하기 위하여 RNCC (Registration Noise Cross Correlation) 기법을 적용하였다. 영광지역에 대해 2015년 5월부터 2016년 11월까지 획득된 RapidEye 1B 영상 총 4장을 활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밴드별(blue, green, red, red edge, near-infrared)로 적용된 정밀 상호좌표등록 결과 비교분석을 통해 각 밴드가 보이는 상호좌표등록 적용 가능성 여부를 판단하였다. 실험 결과, RapidEye 영상의 모든 밴드를 활용하여 상호좌표등록이 가능하였으며, 상호좌표등록을 하지 않았을 때보다 다시기 영상 간 정량적/정성적으로 향상된 기하 일치도를 보였다. 특히 red와 red edge 밴드를 이용할 경우 다시기 영상 촬영시기의 계절적 차이에 관계없이 안정적인 상호좌표등록 결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