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coholism

검색결과 225건 처리시간 0.034초

한국인 알코올 중독 환자에서 도파민 $D_2$ 수용체의 대립유전자 연합 (Allelic Association of the Dopamine $D_2$ Receptor in Korean Alcoholics)

  • 이강준;이민수;곽동일
    • 생물정신의학
    • /
    • 제4권1호
    • /
    • pp.43-47
    • /
    • 1997
  • The author attempted to examine the allelic association between the A1 allele of Dopamine $D_2$ receptor and alcoholism in Koreans. The allelic distribution of Taq I polymorphism of the $D_2$ dopamine receptor gene with alcoholism was examined in 67 Korean alcoholics and compared with 100 Korean controls. In alcoholics, the numbers of alcoholics with A1A1, A1A2 and A2A2 were 11(16.4%), 30(44.8%) and 26(38.8%) respectively and in controls with A1A1, A1A2 and A2A2 were 17(17.0%), 42(42.0%) and 41(41.0%), respectively. The prevalence of the A1 allele in alcoholics was 61.2% and 59.0% in controls. And the frequency of the A1 allele in alcoholics and controls were 0.39 and 0.38, respectively.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the A1 allele between alcoholics and controls. This data suggest that the A1 allele is not associated with alcoholism in Koreans. The author conclude that our data do not support an allelic association between the A1 allele at Dopamine $D_2$ receptor and alcoholism. Further systemized studies will be necessary to determine whether the role of allele of Dopamine $D_2$receptor is major effect gene or modifying effect gene in the pathogenesis of alcoholism.

  • PDF

아버지가 알코올 중독자인 여성 ACOA의 아버지의 알코올 중독, 가족기능, 부모와의 애착, 심리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The Relationship of Father's Alcoholism, Family Functioning and Parental Attachment to the Psychosocial Adjustment among the Adult Daughters of Alcoholic Fathers)

  • 김혜련;전선영;김정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6권4호
    • /
    • pp.317-343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알코올 중독자를 아버지로 둔 여성 성인자녀들의 심리사회적 적응과 관련이 있는 변수들에 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즉, 아버지를 알코올 중독자로 둔 여성 ACOA들을 대상으로 아버지의 알코올 중독과 가족기능, 부모와의 애착, 심리사회적 적응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는 463명의 여대생이 설문에 참여하였으며, 이 중에 160명이 아버지가 알코올 중독자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 지역에서 이루어졌다.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알코올 중독자 선별척도, 부모와의 애착 척도, 생활만족도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Beck의 우울 척도, 가족환경 척도 등이 조사되었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회귀분석을 이용한 경로분석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아버지의 알코올 중독은 심리사회적 적응과 가족기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아버지의 알코올 중독은 부모와의 애착과는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기능은 부모와의 애착뿐만 아니라 심리사회적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가족기능은 부모와의 애착과 심리사회적 적응, 구체적으로 자존감과 생활만족도에만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모와의 애착은 가족기능과 심리사회적 적응간의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본 연구에서는 아버지의 알코올 중독 유무는 여성 ACOA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예측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아버지의 알코올 중독 변수로만 여성 ACOA의 적응에서의 어려움을 설명하려는 가정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보아진다. 마지막으로 알코올 중독자를 아버지로 둔 여성 ACOA들에 관한 임상적 함의와 이론적 함의들이 논의되었다.

  • PDF

알콜중독환자의 신경기능 장애: 생체 양성자 자기공명분광 연구 (Neuronal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Alcoholism Evaluated by In Vivo $^1H$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 Bo-Young Choe;Euy-Neyng Kim;Chang-Wook Lee;In-Ho Baik;Kwang-Soo Lee;Byung-Chul Son;Heung-Jae Chun;Hyoung-Koo Lee;Tae-Suk Suh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4권2호
    • /
    • pp.94-99
    • /
    • 2000
  • 목적 : 국한적 수분억제 생체내 양성자 자기공명분광학을 사용하여 만성 알코을 중독자와 정상 건강인의 뇌대사물질의 비율을 비교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만성 알코을 중독자 10명,정상 건강인 10명의 좌측 소뇌와 basal ganglia의 관심부위 $2{\times}2{\times}2{\;}\textrm{cm}^3$를 각각 선택하여 STEAM펄스시퀀스를 이용하였다 Creatine (Cr)을 기준으로 Marquart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각 대사물질의 비율을 산출하였다. 결과 만성 알코을 중독자의 특징적인 소견은 정상인과 비교하여 볼 때 N-acetyl aspartate (NAA)/Cr비율이 감소하였다. 그러나 Choline (Cho)/Cr등 다른 대사비율은 정상인과 유이한 차이를 발견할수 없었다. NAA/Cr비율은 임상평가와 상당한 상호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예비실험 결과는 만성 알코을 중독자의 NAA/Cr의 비율 감소를 토대로 환자 소뇌의 신경세포 소실을 추정할 수 있었다. NAA/Cr비율은 향후 만성 알코을 중독자의 임상평가를 추정할수 있는 대사표준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따라서 생체내 양성자 자기공명분광법은 양성자 비율을 토대로 만성 알코을 중독자의 임상평가에 유용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석창포원지탕(石菖蒲遠志湯)의 Alcoholism에서의 간위(肝胃) 치유 및 학습능력향상 효과 (Effects of the Seokchangpo-Wonji-Tang on Recovery from Disorder of Stomach, Liver and Mental-faculty in Alcoholism)

  • 박영서;임종필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1292-1295
    • /
    • 2005
  • Effects of the Seokchangpo-Wonji-Tang on recovery from disorder of stomach, liver and mental-faculty in alcoholism were studied using male Sprague-Dawley rats. The rats were assigned into 4 groups; normal, control and Seokchangpo-Wonji-Tang(SWT) group. Control group administered ethanol(25 v/v %) at a dose 3g/kg, while SWT group administered 50mg/kg of SWT 30min before treating same dose of ethanol as control group for 10 days, orally. The gastric ulceration and also GOT and GPT activities in rats were checked, and all groups were subjected to trials of straight channel on the 1st day and to those of multiple T-maze during the following 3 days. The gastric ulceration, GOT and GPT activities were increased in control group, but decreased in SWT group significantly. The time required in normal group for the straight channel of the 2nd and 3rd trials was significantly shorter than that of the 1 st, while the control group showed no significance. In the time required for the multiple T-maze trials, the control group showed no significance. But in the straight or T-maze trials, the SWT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the time required against the control group.

알코올리즘 환자들의 Alexithymia에 대한 연구 (A Clinical study on Alexithymia in Alcoholism)

  • 이남진;정애자;황익근
    • 정신신체의학
    • /
    • 제7권1호
    • /
    • pp.42-50
    • /
    • 1999
  • 감정표현불능증은 감정과 공상을 언어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의 어려움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기능의 특정 장애를 의미한다. 이는 초기에 정신신체질환에서 언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감정표현불능증적 특성은 내과적 그리고 정신과적장애를 가진 환자들에게서 폭 넓게 관찰되고 있다. 본 연구는 Scored Archetypal 9 Test(SAT9)파 한국판 토론토 감정표현불능증 척도-20(TAS-20K)를 사용하여 알코올리즘 환자들에서의 감정표현불능증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계획되었다. 20명의 알코올리즘 환자들과 24명의 정상대조군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SAT9과 TAS-20K에서 알코올리즘 환자군은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좀 더 alexithymic하였다. 2) 두 군간 성별사이의 감정표현불능증 척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두 군간 나이나 교육정도와 감정표현불능증 척도사이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은 없었다. 4) SAT9과 TAS-20K은 환자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여주었다.

  • PDF

몽골에서의 문화개입과 알코올 중독증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Intervention and Alcoholism in Mongolia)

  • 바타르 볼로마;노윤채;김종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57-167
    • /
    • 2015
  • 알코올과 알코올 중독증을 문화적 면에서 연구하는 문헌이 있다. 하지만 사회 내부제도가 변화되면서 음주문화를 변화시킨 정부의 문화개입이 발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음주행위나 알코올 중독증의 영향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 이 문제는 본 연구의 주목적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사례로 몽골을 선정하였으며 몽골의 전통 음주문화 혹은 음주예절의 측정을 위해 몽골의 역사적 근원을 연구해서 1인당음주량, 알코올중독 관련 70년간의 인지도조사, 통계 등 다양한 연구자료에 의해 분석을 하였다. 각종 연구자료 분석 시 몽골의 청년 음주문화가 그들의 조상들이 엄숙하게 따르던 전통음주문화와 맥락부터 많이 변화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현대화 관련 음주문화 변화와 음주(소비)간에는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상(酒傷) 치험 1례 보고 (A Case Of Chronic Alcoholic Derogation)

  • 김동우;박종형;한양희;전찬용;박세기;고승희;이청정혜;고재철;최유경;박지윤;백은기;홍의실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39-243
    • /
    • 2001
  • Alcoholism is a chronic behavior disorder that disturbs the health, social, and economical functions by intaking alcohol repeatedly. Alcoholism includes some habituation, dependency, and addiction. It may be clinically silent or severe enough to lead to the rapid development of hepatic, renal and gastrointestinal failure. Alcoholism can also cause death. In this case, we administrated saenggangunbitang and sungjoocheonggantang to a patient suffering from alcohoism and its withdrawal symptoms. After administration of saenggangunbitang-sungjoocheonggantang medication, clinical symptoms, including liver function with diabetes mellitus and splenomegaly improved. saenggangunbitang-sungjoocheonggantang showed desirable effect on alcoholism symptoms.

  • PDF

앱 인벤터를 활용한 알코올 중독자 치료를 위한 콘텐츠 제공 앱 개발 (Application development that provide contents for Treatment of alcoholism using App Inventor)

  • 한영신;허원회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63-70
    • /
    • 2015
  • 우리나라는 경기 침체의 여파로 사회적 요인에 의한 알코올 중독 환자가 증가 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알코올 중독이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 뿐 아니라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알코올 중독 및 중독폐해는 다양한 사회, 경제, 문화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중독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통합적 관리체계가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 알코올 중독은 그간 마약, 도박, 인터넷 등과 같은 다른 건강문제에 비해 연구투자가 부족했고 치료서비스 또한 제대로 제공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 환자에게 치료에 관한 집약된 정보를 제공하여 개인의 상황에 맞는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도록 맞춤형 스마트폰 앱을 개발하고자 한다.

알코올중독자 치료를 위한 WEB 기반 가상현실 제작 (The development of the WEB-Based Virtual Reality for the Treatment of the Alcoholism)

  • 백승은;백승화;유종현;김동완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2690-2692
    • /
    • 2004
  • Medications or cognitive-behavior methods have been mainly used as a treatment of alcoholism. lately the virtualy technology has been applied to the kink of alcoholic disorders. A virtual environment makes him having ability to over come the drink. In this study, we were implemented by making panorama images and 3D object modules using 3D Studio MAX. VRML, JAVA Applet. And the BAR stimulator that composed with a position sensor head mount display, and audio system, is suggested. To illustrate the physiological difference between a person who has a alcoholism and and without a liquor bottle, heart rate was measured during experiment, and also measured a Person's HR after the virtual reality training. we demonstrated the subjective effectiveness of virtual reality psychotherapy through the clinical experi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