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juga spectabilis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9초

자란초에서 분리된 Luteolin 5-glucoside의 함량분석과 신경세포 보호 활성 (Quantitative Analysis of Luteolin 5-glucoside in Ajuga spectabilis and Their Neuroprotective Effects)

  • 우경완;심미옥;김아현;강병만;정호경;안병관;조정희;조현우
    • 생약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11-216
    • /
    • 2016
  • In the course of our continuing search for biologically active components from Korean medicinal plants, we isolated the main compound, luteolin 5-glucoside from aqueous fraction of Ajuga spectabilis. The structure was elucidated by the basis of $^1H$ and $^{13}C$ NMR and TOF ESI-MS data. Quantitative analysis of luteolin 5-glucoside was carried out on a XBridge C18 column ($S-5{\mu}m$, $4.6{\times}250mm$) with gradient elution composed of acetonitrile:water. The results exhibit that the average content of main compound in A. spectabilis were 0.048%. Oxidative stress plays a major role Alzheimer's disease (AD) and other neurodogenerative disease. AD is major health problem and there is currently no clinically accepted treatment to cure or stop its progression. Pretreatment with luteolin 5-glucoside markedly attenuated $H_2O_2$-induced cell viability loss in a dose-dependent manner. Luteolin 5-glucoside also inhibited the formation of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in SH-SY5Y. The results suggest that luteolin 5-glucoside from A. spectabilis has protective effects against oxidative stress-induced cytotoxicity, which might be a potential therapeutic compound for treating and/or preventing neurodegenerative disease implicated with oxidative stress.

제암성성질의 합성및 항종양시험에 관한 연구 III 수종한국산식물의 Ethanol Extract의 항종양시험 (Studies on the Synthesis and Antineoplastic Activities of Potential Antitumor Agents. III. Screening Test of Antitumor Activities of a few plant Extracts against Experimental Tu mors)

  • 정보섭;정원근;김중협;천문우
    • 약학회지
    • /
    • 제14권3_4호
    • /
    • pp.51-53
    • /
    • 1970
  • Alcohol extracts of six plant namely Coix agrestis L$_{OUREIRO}$, Chloranthus Japonicus (Siebi) N$_{AKAI}$, Ajuga Spectabilis N$_{AKAI}$, Juglans mandsuria Max., Cirsium Macki var Ussuriense $K_{ITA}$ and Sasamorpha Purpurascense (Hack) N$_{AKAI}$ were subjected to the screening tests for anti-tumor activities against SN-36 Leukemia, Sarcoma 180 and Ehrlich ascites carcinoma. Of the six extracts, Ajuga Spectabilis N$_{AKAI}$ and Coix agrestis L$_{OUREIRO}$ were found to be potential in survival effect of tumor transplanted mice.

  • PDF

이리도이드 배당체(配糖體) (1) -자란초의 이리도이드 배당체- (Iridoid Glycoside (I) -Studies on the Iridoid Glycoside of Ajuga spectabilis Nakai-)

  • 정보섭;이형규;김진웅
    • 생약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5-23
    • /
    • 1980
  • A new iridoid glucoside was isolated from the whole plant of Ajuga spectabilis Nakai (Jaran-cho; Labiatae). This compound was obtained as white plate-like crystal and named as Jaranidoside. It has a molecular formula $C_{17}H_{26}O_{12}$ and mp $128{\sim}130^{\circ}C$. The structure of the Jaranidoside was assumed from data of chemical reactions and PMR specturum of the compound. To determine the most favorable conformation, informations on the proton coupling and chemical shift were used. Jaranidoside exhibited a stimulating activity on smooth muscle and cardiac muscle. No antimicrobial activity on five microorganism strains was observed.

  • PDF

월출산국립공원 자연휴식년제 구간의 식물현황과 특성별 분류 (Flora and Classification by Characteristics of Nature Every Second Year in Wolchulsan National Park)

  • 오현경;변무섭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01-211
    • /
    • 2007
  • 본 연구는 월출산국립공원지역 내 자연휴식년제 구간인 무위사${\rightarrow}$미왕재, 미왕재${\rightarrow}$동원농장, 장군봉 일원에서 확인된 관속식물 중 희귀식물과 특산식물 및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귀화식물을 제시함으로써, 자연휴식년제 구간에서의 종 다양성과 식물자원의 보전을 위한 자료를 구축하고자 수행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월출산국립공원 자연휴식년제 구간에서의 관속식물상은 86과 205속 283종 1아종 36변종 5품종으로 총 325종류가 확인되었다. 관속식물 중 양치식물은 8과 11속 16종류(4.9%), 나자식물은 3과 3속 3종류(0.9%)가, 피자식물은 75과 191속 306종류(94.2%)가 확인되었다. 희귀식물에는 땅나리(보존우선순위: 191번), 태백제비꽃(202번), 산닥나무(120번)가 확인되었으며, 특산식물에는 지리대사초, 털중나리, 소사나무, 할미밀망, 노각나무, 자란초, 병꽃나무, 털잔대까지 8종류가 확인되었다. 또한, 특정식물은 27과 40속 43종 1변종 총 44종류가 확인되었으며, 이중 IV등급에는 산복사와 등나무가, III등급에는(흰)새덕이, 모새나무, 이삭귀개 등의 9종류, II등급에는 개시호, 큰참나물, 도깨비 엉겅퀴 등의 5종류, I등급에는 진황정, 사스레피나무, 자란초 등의 28종류로 분석되었다. 귀화식물에는 소리쟁이, 아까시나무, 큰개불알풀, 개망초, 미국가막사리, 큰방가지똥 등의 4과 6속 9종류, 귀화율은 2.8%로 분석되었다. 월출산국립공원 자연휴식년제 구간의 모니터링을 2000년도부터 현재까지 7년 동안 수행되었으며, 무위사에서 미왕재 및 동원농장 구간과 장군봉 일원은 본래의 자연식생으로 복원된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장군봉 일원은 급경사로 인해 인위적인 접근이 어려운 지역임으로 현 구간을 장기적으로 보전하는 것보다 다른 구간을 자연휴식년제로 선정하여 보전구간을 점차적으로 확대해야 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가야산국립공원일대의 식생 및 식물상 연구 -단지봉 지역을 중심으로- (Forest Vegetation and Floristic Studies of Mt. Gaya National Park - Especially on the Danji - bong Area -)

  • 박광우;권영한;최경;오승환;김동갑;김주환
    • 환경생물
    • /
    • 제23권1호
    • /
    • pp.1-20
    • /
    • 2005
  • 본 조사지역인 가야산국립공원은 지리학적으로는 북위 35°45'00'∼35°49'30', 동경 128°02'30'∼128°09'30'에 위치하고, 행적구역상으로는 경상남도의 합천군과 거창군, 경상북도의 성주군, 고령군에 걸쳐 있으며, 총면적은 57.81 ㎢에 이른다. 가야산은 우리나라 기후지역상 온대남부에 위치하고, 식물구계학적으로는 남부아구에, 식생구계학상으로는 냉온대에 속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전체면적의 약 82.5%가 해발 600m 이상이며, 1,000m 이상이 약 10.3%에 해당된다. 가야산의 해인사-극락골-토신골 지역은 잘 보존된 소나무림이 우점하고 있고, 부분적으로 노각나무가 산생하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해인사-진대밭골-두리봉 지역은 계곡에는 소나무와 졸참나무가 고지대에는 신갈나무 등이 부분적으로 군락을 형성하고 있었다. 또한 남산제일봉과 북사면은 각각 등산로와 임도가 형성되어 있어 소나무와 졸참나무, 신갈나무 등이 혼재된 양상을 나타내었고, 백운동계곡 주변은 다른 사면과 달리 식생의 발달정도가 소나무와 관목위주로 매우 단순했다. 특기할만한 점은 상왕봉 주변에서 흰참꽃, 설앵초, 네귀쓴풀, 백리향. 솔나리, 구름송이풀 등의 희귀 또는 고산성 식물들이 분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가야산국립공원지역에 분포하는 양치식물 이상의 관속식물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91과 268속 373종 1아종 75변종 12품종 4잡종으로 총 465분류군이 조사 확인되었으며,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 4,071 분류군의 11.4%에 해당되었다. 한국특산식물은 11과 15속 15분류 군으로 조사지역내 분포하는 465분류군중 약 3.2%이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17과 21속 25분류군으로 이는 가야산 소산식물 465분류군의 5.4%이었고, 조사지역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은 5과 7속 7분류군으로 우리 나라전체 귀화식물종 177종류의 4%이다. 또한 가야산 단지봉(1,028.5m)에서 새로 발견된 산간습지 (forested wetland)와 자란초 자생 군락지에 대해 식생 및 층위별 종조성을 토대로 현존 식생 구조를 분석하였다.

충청복도 미동산의 자원식물상 (Resource Plants of Mt. Midong in Chungcheongbuk-do, Korea)

  • 유주한;진연희;장혜원;조흥원;김덕식;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2-134
    • /
    • 2004
  • 미동산의 자원식물상 조사는 2002년 3월부터 2003년 10월까지 20개월동안 수행하였고 관속식물상은 85과 266속 349종 48변종 3품종 등 총 400종류의 식물이 확인되었다. 자원식물상 조사결과 관상용 식물은 162종(40.5%), 식용 식물은 250종(62.5%), 약용식물은 257종(64.3%), 기타 용도 식물은 167종(41.8%)으로 확인되었다. 한국 특산식 물은 매미꽃, 터리풀, 자란초, 병꽃나무, 고려엉겅퀴, 분취 등 6종류로 조사되었고 산림청 지정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매미꽃과 층층둥굴레가 확인되었다.

충청북도 미동산의 관속식물상 (Vascular Plants of Mt. Midong in Chungcheongbuk-do)

  • 유주한;진영희;장혜원;조흥원;한주환;이철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2-122
    • /
    • 2003
  • 본 연구는 미동산의 관속식물상을 체계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충북지역 식물생태계 보전의 기초자료 제공과 아울러 희귀 및 멸종위기종에 대한 정확한 보전대책 수립 및 자생지복원을 위해 수행되었다. 충북 미동산(558m)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81과 215속 262종 38변종 3품종 등 총 303종류(Taxa)가 확인되었다.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매미꽃, 층층둥글레 등 총 2 종류로 조사되었고 한국 특산식물은 가는장구채, 매미꽃, 조팝나무, 터리풀, 자란초, 병꽃나무, 숫명다래나무, 고려엉겅퀴, 분취 등 9종류로 나타났다. 또한 본 조사지역 내 출현한 귀화식물은 소리쟁이, 다닥냉이, 아까시나무, 붉은토끼풀, 토끼풀, 수박풀, 달맞이꽃. 돼지풀, 개망초, 망초, 서양민들레 방가지똥 등 총 12종류이다.

경주국립공원 특별보호구역의 식생 특성 분석 - 애기송이풀, 애기등, 복주머니란 개체군을 대상으로 - (Analysis on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Special Protected Areas in Gyeongju National Park - Focused on Pedicularis ishidoyana Koidz. & Ohwi, Millettia japonica (Siebold & Zucc.) A.Gray and Cypripedium macranthos Sw. Populations -)

  • 유주한;권순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45-62
    • /
    • 2020
  •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basic data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natural resources of National Park by understanding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pecial protected areas located in Tohamsan District, Gyeongju National Park, South Korea.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106 taxa including 47 families, 79 genera, 96 species, 1 subspecies, 7 varieties and 2 forms. For status by sites, there were 59, 50 and 55 taxa in A area(Pedicularis ishidoyana), B area(Millettia japonica) and C area(Cypripedium macranthos), respectively. In the dominant species, the tree layer was Quercus serrata(A area), Platycarya strobilacea and Pinus koraiensis(B area) and Fraxinus rhynchophylla(C area), the subtree layer was Carpinus cordata and Quercus serrata(A area), Pinus koraiensis and Castanea crenata(B area) and Fraxinus rhynchophylla(C area), the 1st shrub layer was Toxicodendron trichocarpum and Rhododendron schlippenbachii(A area), Lindera erythrocarpa and Styrax japonicus(B area) and Fraxinus rhynchophylla and Lindera erythrocarpa(C area), 2nd shrub layer was Styrax obassis and Lespedeza maximowiczii(A area), Lespedeza maximowiczii and Rhododendron mucronulatum(B area) and Lindera erythrocarpa(C area), the herbaceous layer was Athyrium yokoscense, Dryopteris chinensis, Dryopteris lacera and Lindera obtusiloba(A area), Athyrium yokoscense, Millettia japonica, Carex humilis Leyss. var. nana and Carex ciliato-marginata(B area) and Hydrangea macrophylla (Thunb.) Ser. subsp. serrata, Ajuga spectabilis and Oplismenus undulatifolius(C area).

가야산국립공원의 관속식물상 및 희귀식물 (The Flora and Rare Plants in Kayasan National Park)

  • 김용식;강기호;신현탁;배준규;김종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91-211
    • /
    • 1998
  • 1997년 3월부터 9월까지 총 5차례에 걸쳐 가야산국립공원지역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100과 323속 522종 1아종 83변종 5품종 2교잡종 613종류로 조사되었다. 가야산국립공원지 역에서 솔나리, 백리향, 개불알꽃, 뻐꾹나리, 구상나무 등의 멸종 및 희귀식물의 자생지를 확인하였다. 이번 조사에서 새로 밝혀진 식물은 부들, 점현호색 자난초 등 100종이며, 도로를 따라 외래식물의 침입이 활발한 것으로 밝혀졌다. 가야산 국립공원에는 산림청 및 환경부 지정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총 14종류로 나타났으며 이들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에 대한 보존대책이 필요하다.

  • PDF

충남 오서산과 봉수산의 식물상 및 관리방안 (Management Methods and Vascular Plants of the Ohseosan and the Bongsusan, Chungnam)

  • 오현경;김동필;오구균;강기래;배중남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63-81
    • /
    • 2013
  • The vascular plants in the Ohseosan and the Bongsusan, Chungnam were listed 439 taxa (9.0% of all 4,881 taxa of vascular plants); 95 families, 268 genera, 339 species, 5 subspecies, 75 varieties and 20 forms. Furthermore, the Ohseosan were listed 339 taxa and the Bongsusan were listed 306 taxa. So, Hemicryptophytes (H) were 107 taxa (24.4%), Therophytes (Th), Geophytes (G) same as were 82 taxa (18.7%) showed high proportional ratio in life form. Based on the list of rare plants, 4 taxa; Aristolochia contorta, Viola albida, Scutellaria insignis (LC) and Scrophularia koraiensis (DD) and endemic plants, 8 taxa; Aconitum pseudolaeve, Ajuga spectabilis, etc. Based on the list of specific plants, 35 taxa; Wisteria floribunda for. floribunda in class IV, 5 taxa (Scutellaria insignis, Scrophularia koraiensis, etc.) in class III, 5 taxa (Acer triflorum, Cymopterus melanotilingia, etc.) in class II, 24 taxa (Pyrus ussuriensis var. ussuriensis, Campanula punctata, etc.) in class I. Based on the list of naturalized plants, 9 families, 20 genera, 24 taxa (Persicaria orientalis, Carduus crispus, etc.) and ecosystem disturbing plants were Rumex acetocella, Ambrosia artemisiifolia. Naturalization rate was 5.5% of all 439 taxa of vascular plants and urbanization index was 7.5% of all 321 taxa of naturalized plants. In particular, for rare plants, in and ex-situ conservation of genetic resources must surely be done, by preserving present natural habitats, discovering additional natural habitats and securing seeds. Moreover, ecosystem disturbing plants require long-term monitoring and consistent management, since not only do they disturb the ecosystem in competition with Korean native species, but damage humans, t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