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ir Quality.

검색결과 4,857건 처리시간 0.028초

ISO 12219-5 (Static chamber법)를 이용한 모듈내 구성부품별 VOCs 영향도 분석 (VOCs impact factor analysis of unit components in Part assembly by ISO 12219-5 method)

  • 이신종;장혜진;곽동환;김만구
    • 분석과학
    • /
    • 제27권6호
    • /
    • pp.284-291
    • /
    • 2014
  • 차량 실내 공기질 대응 프로세스는 두 단계의 시험 방법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모듈 부품평가를 통해 차량 실내 VOCs의 주요 원인을 찾고, 절단 시험편을 이용하여 VOCs가 주로 방출되는 소재를 찾는다. 만약 VOCs가 주로 방출되는 소재를 확인 시, 소재 개선을 통해 차량과 모듈 부품에서 방출되는 VOCs를 줄일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절단 시험편을 이용한 시험법은 VOCs 원인을 찾는데는 절단면에서의 방출 문제가 있기 때문에, 구성 부품 단위의 평가방법 적용이 필요하다. ISO 12219-5 시험 방법은 부품 절단없이 평가를 하기 때문에 소재 및 표면적의 영향이 함께 고려되어, 모듈 부품에서 구성 부품의 VOCs 영향도 확인이 가능하였다. 트림과 콘솔의 구성부품 평가를 통해 모듈내의 주요 원인 부품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ISO 12219-5 모듈 부품 시험법과 구성 부품 시험법간의 정량적 상관관계 규명을 통해 품질관리를 위한 관리값을 설정할 수 있었다.

생물학적 첨가제 살포에 의한 밀폐형 돈사에서의 악취 저감 평가 (Evaluation of Odor Reduction in the Enclosed Pig Building Through Spraying Biological Additives)

  • 김기연;최홍림;고한종;이용기;김치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3호
    • /
    • pp.467-478
    • /
    • 2006
  • 본 연구는 지금까지 돈사 악취 제어를 목적으로 이용되었던 여러 종류의 첨가제를 살포 방법을 통해 실제 돈사 현장에 적용하여 악취 저감 효율 및 지속성을 비교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소금물, 인공 식향료, 식물성 천연향료를 제외한 나머지 4개의 첨가제는 살포 전과 후의 악취 저감 현상이 뚜렷이 관찰되지 않았다. 소금물의 경우 특히 암모니아 농도의 시간에 따른 저감율이 현저했는데, 이는 소금물의 염소 이온이 피트 분뇨내 암모늄 이온과 결합, 수용액 상태로 존재하게 하여 대기 중으로 암모니아 발생을 억제했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인공 식향료의 경우 악취 원인 물질 농도의 저감 현상은 보이지 않았으나, 관능법으로 평가된 악취 강도와 불쾌도 측면에서는 상당한 제어 효과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인공 식향료가 돈사내 피트 슬러리에서 발생되는 악취 원인 물질을 분해한다기 보다는 돈사내 악취 은폐제로써 작용하여 지속성은 짧지만 효율적인 악취 저감 작용을 한 것으로 사료된다. 식물성 천연향료의 경우 악취 강도와 불쾌도, 황 계열 악취 물질의 저감 효과가 다른 첨가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월등하게 나타났다. 인공 식향료와는 달리 식물성 천연 향료는 은폐 효과와 더불어, 분뇨내 황 계열 악취 원인 물질을 생성하는 혐기성 미생물 군집의 생장을 제어하는 antimicrobial agent로서의 역할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악취 센서기를 통해 측정된 악취 농도는 위와는 상반된 결과가 나타났는데, 이는 악취 센서기가 인공 식향료와 식물성 천연향료가 자체적으로 지닌 향 성분도 악취의 한 범주로 인식되어 유도된 결과라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현장에서 수행된 분석 결과로 실험 당일 날의 외부 기후 상황 및 돈사내 환경 여건에 따른 돼지들의 반응 행동 양상에 따라 실험 결과에 상당한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염두하여 고찰할 필요가 있다.

Analysis of Solar Irradiance Measurement From a Multi-Filter Radiometer At Kwangju, South Korea.

  • Ogunjobi, K.O.;Kim, Y.J.;He, Z.;Ryu, S.Y.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35-335
    • /
    • 2001
  • Direct-normal, total horizontal and diffuse horizontal irradiance data obtained from a multi-filter rotating shadowband radiometer over seven different wavelength bands (416nm, 151nm, 616nm, 675nm, 870nm and 940nm and the entire spectrum) has been analyzed at Kwangju, South Korea from June 1998 December 2000. The maximum hourly global radiation flux ranged from 0.44 MJ/$m^2$ to 2.68 MJ/$m^2$ at around 11:00-12:00 Hr local time while the maximum hourly diffuse radiation flux ranged from about 0.96 MJ/$m^2$ to 1.37 MJ/$m^2$. The maximum hourly direct irradiance ranged from 1.42 MJ/$m^2$ to 2.92 MJ/$m^2$ from June1998-2000. During the period under consideration, the average monthly global radiation recorded were 13.09 MJ/$m^2$/day, 10.58MJ/$m^2$/day and 9.78MJ/$m^2$/day for years 1998, 1999 and 2000 respectively, while the diffuse irradiance were 6.54 MJ/$m^2$/day, 5.33 MJ/$m^2$/day and 5.14 MJ/$m^2$/day for f998, 1999 and 2000 respectively. The direct irradiance values at the site were 11.63 MJ/$m^2$/day, 8.24MJ/$m^2$/day and 7.75 MJ/$m^2$/day for 1998, f999 and 2000 respectively. It was observed that each of the years has its own unique meteorological parameters that affect the quality and quantity of radiation received for each month. The annual average daily fractions of the diffuse to the global radiation (KD) were 0.51, 0.61 and 0.59 for years 1998, 1999 and 2000 respectively. Analysis indicated that the average daily KD ranged from 0.13 to a maximum value of 0.99 in May for irradiance measured at the broadband channel while the maximum and minimum KD value of 0.91 and 0.23 was recorded at wavelength band 870nm and 940nm in January and September respectively. The lowest average daily clearness index (Kt) value recorded was 0.03 in May (Spring) and the annual average daily clearness indexes are 0.45, 0.34 and 0.35 for years 1998, f999 and 2000 respectively. The frequency of clear days annually at Kwangju is 67.95%, 29.57% and 40.72% for years 1998, 1999 and 2000 respectively.

  • PDF

CMAQ-pollen 모델을 이용한 참나무 꽃가루 확산 고해상도 수치모의 및 검증 (A High-resolution Numerical Simulation and Evaluation of Oak Pollen Dispersion Using the CMAQ-pollen Model)

  • 오인보;김규랑;방진희;임윤규;조창범;오재원;김양호;황미경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1-44
    • /
    • 2017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ccuracy and variability of the oak pollen concentrations over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SMR) simulated by the Community Multiscale Air Quality (CMAQ)-based pollen dispersion model, which is the CMAQ-pollen model integrated with the improved oak pollen emission model(PEM-oak). The PEM-oak model developed is based on hourly emission flux parameterization that includes the effects of plant-specific release, meteorological adjustment, and diurnal variations of oak pollen concentrations. A 33 day-run for oak pollen simulation was conducted by the CMAQ-pollen model with a 3 km spatial resolution for the SMR during the 2014 spring pollen season. Modeled concentrations were evaluated against the hourly measurements at three Burkard sampling sites. Temporal variations of oak concentrations were largely well represented by the model, but the quantitative difference between simulations and measurement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some periods. The model results also showed that large variations in oak pollen concentrations existed in time and space and high concentrations in the SMR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regional transport under strong wind condition. This study showed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the CMAQ-pollen modeling system to simulate oak pollen concentration in the SMR. Our results could be helpful in providing information on allergenic pollen exposure. Further efforts are needed to further understand the oak pollen release characteristics such as interannual variation of the oak pollen productivity and its spatio-temporal flowering timing.

A Suggestion for the Strategic Choice of Seoul to be a Network Center in Northeast Asia

  • Ahn, Kun-Hyuck;Ohn, Yeong-Te
    • 지역연구
    • /
    • 제15권2호
    • /
    • pp.155-187
    • /
    • 1999
  • The East Asian Region has experienced remarkable economic growth and transformation of interurban networking over the past three decades, and urban competiti veness for a networking hub in this region has become a critical issue confronting cities. Competitiveness of the Seoul capital region for a networking hub in Northeast Asia is outstripped by other competing cities in East Asia, notwithstanding its geo-politically and geo-economically advantageous location in this region. In this paper, we aim to appraise the Seoul capital region's competitiveness in terms of logistics distribution, financial function and logistics distribution, financial function and agglomeration of transnational corporations (especially of RHOs and other managerial functions), and to advance the networking strategies of the region for a Northeast Asia hyb. As a result of analysis, we suggest that the Seoul capital region be developed as a Northeast Asian center for regional headquarters or leading global corporations and financial services for being a strategic nodal point in Northeast Asia in the 21st century. A recent survey shows that where to locate an RHQ is influenc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potential market and manufacturing site in the city's hinterland, quality of life, such things as culture, health, safety, education, a well-educated, English-speaking population, reliable air transport, state-of-the-art communications, and an active policy to offer foreign companies generous incentives. The Seoul capital region, which is located at a strategic nodal point advantageous as a springboard for its Northeast Asian hinterland, cannot meet the other conditions mentioned above. To overcome these drawbacks in attracting transnational capital and to create competitiveness as a strategic hub of RHQs in Northeast Asia, it is urgent to initiate a structural reform of the Korean economy, politics, and overall society, to minimize the regulation of FDI, and to provide various incentives for foreign investment. Moreover, we propose the construction of an 'International Business Town' in the Seoul capital region, as a medium to intermediate these strategies and to shape them in a spatial scale. The projected 'International Business Town(IBT)' will be a 'free city' open to international business in which liberal economic activities are guaranteed by special legislation and administration, infrastructures needed for international and improved accessibility to the airport are furnished, and the preference of foreign high-income investors for cultural and living environment are satisfactorily met. IBT is conspicuously differentiated from a raft of other cities' incentives in that it combines deregulation and incentive programs to attract the investment of transnational capital, with a spatial program of offering an urban environment preferred by the high-income investors for cultural and living environment are satisfactorily met. IBT is conspicuously differentiated from a raft of other cities' incentives in that it combines deregulation and incentive programs to attract the investment of transnational capita, with a spatial program of offering an urban environment preferred by the high-income and managerial class. Furthermore, it can be an excellent way of overcoming the xenophobia that has spread among the Korean population by concentrating foreign businesses and their lifestyles in a specific foreign businesses and their lifestyles in a specific zone. In conclusion, 'International Business Town', in line with other legislative and administrative incentive programs, will function as a driving force to make the Seoul capital regional more competitive as a regional business hub in Northeast Asia.

  • PDF

목탄계 건축자재에 의한 포름알데히드 흡착 (Adsorption of Formaldehyde by Wood Charcoal-Based Building Materials)

  • 이오규;최준원;조태수;백기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3호
    • /
    • pp.61-69
    • /
    • 2007
  • 실내 공기질 향상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목탄과 모르타르 또는 천연 페인트가 혼합된 건축재료에 대한 포름알데히드 제거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포름알데히드를 소정의 농도로 조절한 밀폐 용기에 이들 목탄계 건축자재를 넣고 일정시간 동안의 처리 과정을 거친 후 잔류 포름알데히드를 DNPH (2,4-Dinitrophenyl hydrazine) 카트리지를 통해 수집하고 HPLC 분석을 통해 잔류농도를 측정하여 목탄건축자재에 의한 포름알데히드 제거성능을 조사하였다. 목탄 및 목탄 바이오 모르타르의 포름알데히드 흡착 실험결과, 두 시료군 모두에서 목탄 5, 10, 15%를 함유한 시료의 단위중량 당 포름알데히드 제거량은 목탄을 함유하지 않은 시료에 비해 3배 이상 높았으며 포름알데히드 제거율은 약 80~90% 이상이었다. 수성 목탄 페인트의 포름알데히드 흡착 실험결과 또한 비슷하여, 목탄 15, 20, 25%를 함유한 시료의 단위중량 당 포름알데히드 제거량은 목탄을 함유하지 않은 시료에 비해 3배 가량 높았으며 포름알데히드 제거율은 90% 이상이었다. 포름알데히드는 목탄 제조 과정 중 목재의 리그노셀룰로스 성분의 구조변화로 인해 형성된 탄소 골격인 그라핀(Graphene)층 표면이나 가장자리에 형성된 흡착형 'O' 또는 'OH'관능기와 결합하여 흡착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식육의 동결, 냉동냉장 및 해동시 내부압력 변화 (Changes of Internal Pressure during Freezing, Frozen Storage and Thawing of Meats)

  • 정진웅;김종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682-687
    • /
    • 1999
  • 식품동결에 의한 품질손상에 있어 크게 영향을 미치는 인자중의 하나가 체적변화에 의한 조직 파괴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압력변환기를 사용하여 식육의 동결, 냉동냉장 및 해동시에 일어나는 내부압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우육은 $-20^{\circ}C$에서 밀도는 $942.17\;kg/cm^2$으로, 체적은 6.33% 증가하였으며, 급속 및 완만동결시 우육의 내부압력 변화 경향은 동결 직전에 급격히 상승한 후 동결 초기부터 최대빙결정생성대를 통과하는 동안은 급격히 감소하다가 다시 온도가 내려감에 따라 압력변화는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여 상승하는 경향을 보여 주었고, 동결시의 내부압력 크기는 약 $8{\sim}10\;psig$ 수준이며, 내부압력의 변화 경향은 정지공기식보다 침지식에서 약 1 psig 정도 크게 나타났다. 냉동냉장시에 일어나는 내부압력의 상하변화는 돈육의 품온차가 ${\pm}1^{\circ}C$일 때, 시료중량에 마라 $1.84{\sim}2.32\;psig$ 정도의 내부압력 차가 반복적으로 발생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돈육의 해동시 내부압력은 해동 개시 후 급격히 상승하여 5분 이내에 최고압력에 도달한 이후에는 서서히 하강하였으며, 해동시에 발생한 내부압력의 값은 동결시의 내부압력 값보다도 대부분 크게 나타났다. 또한, 균온처리한 우육의 동결시 내부 압력 값은 약 $1{\sim}4\;psig$ 수준으로 균온처리하지 않은 우육에 비하여 매우 적게 나타났으며, 동결소요시간도 약 $10{\sim}20%$ 정도 짧게 나타났다.

  • PDF

스낵제조를 위한 보리의 압출성형공정 (Extrusion Process of Barley Flour for Snack Processing)

  • 목철균;알.이.파일러;이.맥도날드;남영중;민병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29-436
    • /
    • 1984
  • 스낵가공을 위한 보리의 압출성형특성을 조사하였고 가공조건이 제품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압출성형을 위한 원료 보리의 적정 수분함량은 20%였으며 extrudate의 수분함량은 extrusion 온도가 증가할수록 die 크기가 감소할수록 낮았으며 Harper의 실험식에 의한 예측수분함량과 잘 일치하였다. Die swell은 0.98-2.18 정도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150^{\circ}C$ 이상에서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Extrudate의 밀도는 온도가 높을수록 die 크기가 작을수록 감소하였다. 또한 색택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L, a, b 치가 큰 값을 나타내었다. 흡수율과 용해율은 $180^{\circ}C$에서 최대치를 나타내었으며 호화도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Extrudate의 파괴응력, 영률, 최대응력은 온도가 높을수록 die 크기가 작을수록 감소하였으며 파괴점까지의 변형은 반대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extrudate의 내부기공의 크기 및 비율이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때, 보리 스낵가공을 위한 최적 extrusion 조건은 스크류 회전속도 160 rpm에서 원료수분함량 20%, 온도 $180^{\circ}C$, die 크기 4.5 mm인 경우이었다.

  • PDF

레토르트 파우치 미반(米飯)의 가열살균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Thermal Processing of Cooked Rice Packed in Retort Pouch)

  • 이신영;이상규;변유량;유주현;한병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53-159
    • /
    • 1981
  • Retort pouch 식품의 가열살균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軍用(군용) 및 야외휴대용(野外携帶用)으로의 활용이 크게 기대되는 미반(米飯)에 대해 미생물학적으로 안전하면서 품질의 손실을 최소로 할 수 있는 적정 가열살균조건을 수증기 공기 혼합계(系) 가견수냉식(加堅水冷式) 살균장치를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두께 $15{\sim}25mm$인 retort pouch 미반(米飯)에 대해 열처리온도 $110{\sim}120^{\circ}C$범위에서 열침투시험을 행한 결과 수증기비(比) 65%이상에서는 열전달속도는 수증기비(比)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j_h$값은 $1.11{\sim}1.17$로 두께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한 값을 보였고 $f_t$값은 두께에 따라 증가하여 $12.0{\sim}16.5$분이었다. 미생물학적으로 안전한 retort pouch 미반(米飯)의 살균조건은 장기 저장시험결과 $F_0$6.0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열처리 공정의 C값 및 살균한 미반(米飯)의 가열변색을 검토한 결과 최적 품질보유가 가능한 온도-시간조건은 시료두께 15mm의 경우 $120^{\circ}C$에서 승온 및 하강시간을 포함한 38분이였다.

  • PDF

동결속도에 따른 쇠고기의 냉동저장중 이화학적 변화 (The Effect of Freezing Rates on the Physico-Chemical Changes of Beef during Frozen Storage at $-20^{\circ}C$)

  • 김영호;양승용;이무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47-452
    • /
    • 1988
  • 냉동육에 대한 동결속도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송풍동 결기를 이용하여 직경 10cm, 높이 10cm규격의 세절된 원통형 쇠고기를 0.97cm/hr, 2.05cm/hr, 3.71cm/hr의 속도로 동결시켰으며 $-20^{\circ}C$ 냉동고에서 16주간 저장하여 저장 중 쇠고기의 이화학적 성질을 조사하였다.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pH는 다소 증가하여 16주 저장육에서 $0.1{\sim}0.2\;unit$의 pH상승을 보여주고 있으며, 동결속도가 빠를수록 pH 변화는 적었다. 유리지방산 함량 및 TBA가 역시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계속 증가하고 있으나 3. 71cm/hr의 동결속도에서 가장 낮은값을 유지 하고 있었으며, TBA 가와 유리지방산 함량과의 상관계수가 0.804로 나타나 지방산패 에 유리 지방산이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0.97cm/hr, 2.05cm/hr, 3.71cm/hr의 동결속도에서 16주 저장육의 염용성단백질 추출성은 각각 17.7%, 6.1%, 1.6% 감소를 보여준 반면 수용성단백질 추출성은 26.0%, 21.2%, 18.5%의 감소를 나타내고 있어 동결속도의 영향이 염용성단백질추출성에 더욱 크게 나타났으나 동결변성은 오히려 수용성단백질이 더욱 빨리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