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ilanthus altissima communitie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2초

가죽나무군락의 공간별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Spatial Diffusion Patterns of Ailanthus altissima Communities)

  • 이창우;황선민;길지현;김영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50-560
    • /
    • 2012
  • 본 연구는 가죽나무의 확산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공간분포를 조사하고 입지특성, 식물상 분석을 실시하여 관리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지점은 군락의 우점도가 높고, 생육입지가 균질한 유형을 고려하여 김천, 산청과 양평의 3장소를 선정하여 Line-transect 방법으로 전수조사를 실시하였다. 분포 면적 크기는 양평 1,435 $m^2$, 김천 1,118 $m^2$, 산청 760 $m^2$ 순으로 확인되었으며 총 510개체가 공간상에서 무작위(random)적으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흉고직경(DBH) 계급범위(Class) 중 I(1.0-3.4 cm), II(3.5-6.4 cm))에 포함되는 가죽나무는 평균 83.2%로 가죽나무군락은 직경이 작은 개체가 우점하며 생육지의 교란정도에 따른 분포 패턴이 밝혀졌다. 식물상은 총 43과 75속 91종이 조사되었으며 3지역 모두 일년생식물(Th)이 가장 높게 나타나, 생육지가 최근에 교란이 발생된 지역임을 알 수 있었다. 가죽나무개체군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선 도로변 개체군 제거와 동시에 산지개체군제거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낙동강 상류의 하천변 식생의 군락생태학적 연구 - I. 삼림 및 관목성 식생 - (A Synecological Study of the Riverside Vegetation of the Upper Stream of Nakdong River, Korea1a - I. Forest and Shrub Vegetation -)

  • 송종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43-452
    • /
    • 2008
  • 경상북도 낙동강 상류부의 삼림 및 관목식물군락에 대해 식물사회학적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3군강에 속하는 10군락단위와 상급단위 미결정 4군락단위를 식별하였다: A-1 단풍나무-너도밤나무군강군, 물푸레나무-느릅나무군목, 미정의 군단: 1) 들메나무군락: 느티나무군목(가칭), 느티나무군단(가칭): 2) 느티나무군락, A-2 나도버들군강, 버드나무군목, 버드나무군단: 3)버드나무-왕버들군집, 4) 버드나무군집, 5) 시무나무군집, 6) 갯버들군집, 7) 눈갯버들군집, 8) 선버들군집, A-3 찔레꽃군강, 마-칡군목, 쥐다래-왕머루군단: 9)국수나무군락, 10)구기자나무군락, A-4 상급단위 미결정의 군락: 11) 누리장나무군락, 12) 가죽나무군락, 13) 아까시나무군락, 14) 족제비싸리군락. 본 연구에서 식별된 군락단위는 cluster분석의 결과와 아주 잘 일치하였다. 다변량 분석에 있어서 주성분분석의 결과는 이보다 덜 일치하였으나 인위적 영향에 따라 집합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들 삼림 및 관목의 식생단위는 일본의 것과 공통성이 높은 초본군락과는 달리, 군집레벨에서 한국에 고유한 다섯 개의 식생단위를 포함하였다. 이상의 군락생태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각 군락과 환경과의 관계, 자연보호 등에 관해 논하였다.

월드컵공원 사면지구 식생현황 및 변화 특성 연구 (A Research on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s of the Vegetations in the World Cup Park Landfill Slope District)

  • 한봉호;박석철;최한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1-15
    • /
    • 2023
  • 본 연구는 월드컵공원 사면지구의 현존식생과 식물군집구조 조사를 통해 매립지 사면지역의 식생구조 특성 및 변화 경향을 밝혀 쓰레기매립지의 식생복원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현존식생 변화 분석은 1999년, 2003년, 2005년, 2007년, 2008년, 2012년, 2016년, 2021년 현장조사 결과를 비교하여 주요 식생의 변화양상을 파악하였다. 식물군집구조 조사는 자연발생림 내 1999년에 설정한 고정조사구 총 6개소를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존식생 변화상을 종합해보면 2010년 태풍 곤파스(Kompasu)의 영향으로 사면지구의 아까시나무는 강풍으로 인해 도복되면서 분포면적과 세력 변화가 발생하였고, 특히 건조하고 불량한 식재기반 위에서 군락을 형성하던 습지성 목본인 버드나무는 세력이 감소하게 되었다. 식물군집구조 변화상을 종합해보면 아까시나무군락은 2010년 이후 목본 종수와 개체수가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 향후 아까시나무림이 유지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가죽나무-아까시나무-참오동나무군락은 종수 및 개체수가 아까시나무군락과 유사한 변화를 보였으며, 교목층의 참오동나무와 가죽나무는 도태된 상태로 아까시나무림으로 변화가 예측되었다. 능수버들군락은 아까시나무림으로 천이된 상태였으며, 일부 조사구에서만 교목층에 아까시나무와 함께 능수버들이 생육하고 있으나 대부분 능수버들이 쇠퇴된 상태이었다. 이들 식생군락은 월드컵공원 사면지구의 대표식생으로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군락별 생태계 변화를 파악해야 하며, 생태계 복원 차원의 매립지 내 조경수식재지 조성에 있어서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대덕연구단지 산림식생 구조 (Forest Vegetation Structure in Daedeok Science Town)

  • 송호경;이규석;이선;지윤의;이미정;허승녕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3호
    • /
    • pp.169-180
    • /
    • 2001
  • 대덕연구단지의 산림식생은 이차림식생과 조림식생으로 구분되었다. 이차림식생은 소나무군락(Pinus densiflora community)과 상수리나무군락(Quercus acutissima community)으로, 조림식생은 아까시나무군락(Robinia pseudoacacia community), 리기다소나무군락(Pinus rigida community), 곰솔군락(Pinus thunbergii community), 밤나무군락(Castanea crenata community)으로 구분되었다. 본 조사지역에서 출현한 종수는 총 217종이었으며, 각 군락별 평균 출현종수는 소나무군락이 21종, 상수리나무군락 20종, 아까시나무군락 20종, 리기다소나무군락 21종, 곰솔군락 21종, 밤나무군락 18종으로 밤나무군락에서 출현종이 가장 적었고, 이차림군락과 조림군락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귀화식물은 조사구내에서 닭의장풀, 미국자리공, 개망초, 가중나무 등 12종이 출현하였고, 등산로와 산림주변부에서는 오리새, 미국가막사리, 도꼬마리, 까마중 등 19종이 출현하여 총31종의 귀화식물이 조사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