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ro by-products

검색결과 186건 처리시간 0.031초

Determination of Sulfur Dioxide in Herb Drugs

  • Ko, Suk-Kyung;Seung, Hyun-Jeung;Yu, In-Sil;Kim, Hwa-Soon;Park, Noh-Woon;Kang, Hee-Gon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103.1-103.1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sulfur dioxide in herb drugs.(Puerariae Radix, Lycii Fructus, Platycodi Radix, Dioscoreae Rhizoma, Mori Radicis Cortex, Nelumbo Seed, Paeoniae Radix, Remotiflori Radix, Astragali Radix, Polygonatum Rhizome) Experimental subjects included 105 cases of 10 species of herb drugs collected in Kyung-dong market from December in 2001 to February in 2002. Sulfur dioxide was determined by Optimized Monier-Wiliams method. In 65 cases(61.9%) of the 105 cases, we detected $SO_2$ over 10mg/kg. (omitted)

  • PDF

경기도내 유통 생즙 원료 농산물의 잔류농약 실태조사 및 위해성 평가 (Monitoring and Risk Assessment of Pesticide Residues in Agricultural Products for Raw Juice in Gyeonggi-Do, Korea)

  • 유경신;박포현;김기유;임부건;강민성;이유진;강충원;김윤호;이선영;서정화;박용배;윤미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39-346
    • /
    • 2018
  • 본 연구는 2017년 1월부터 9월까지 생즙 원료 농산물 12품목 297건에 대한 잔류농약의 실태를 조사한 것이다. GC/ECD, GC/NPD, TOF/MS, LC/PDA, LC/FLD, LC/MSMS를 이용하여 다종농약다성분 분석법으로 220종의 잔류농약을 분석하였고, 검사결과 14건(4.7%)에서 9종의 농약성분이 검출되었다. 검출된 농약은 클로로피리포스, 사이플루페나미드, 클로로탈로닐, 펜디메탈린, 아족시스트로빈, 피리달릴, 이마잘릴, 플루디옥소닐, 프로사이미돈이였으며, 검출된 농산물은 감귤, 당근, 사과, 셀러리, 치커리, 오렌지, 포도였다. 농약 검출량을 바탕으로 일일섭취추정량(EDI)과 일일섭취허용량(ADI)을 이용하여 위해성평가를 하였으며, %ADI값의 범위는 0.0011~6.7087%로 안전한 수준이었다.

채소류 섭취에 따른 연령별 잔류농약 노출평가 (Dietary Exposure Assessment by Ages due to Pesticide Residues in Vegetables)

  • 장미라;문현경;김태랑;육동현;김은희;홍채규;최채만;황인숙;김정헌;김무상;채영주
    • 농약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1-27
    • /
    • 2012
  • 200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서울시민의 연령별 채소섭취량을 산정하여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서울지역에서 유통 중인 채소류에 대한 잔류 농약을 모니터링 하여 채소류섭취에 따른 연령별 농약성분의 노출량을 평가하였다. 서울시민에 대해 연령별 평균 채소류 섭취량을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연령그룹 중 40~59세 그룹의 채소류 섭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5세 이하 그룹의 채소류 섭취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채소류 섭취에 따른 연령별 잔류농약의 %ADI(Acceptable Daily Intake)는 모두 1 이하로 나타나 잔류농약으로 인한 위해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판단된다.

서울 강남지역 채소류 경작지의 토양 중 잔류농약 실태조사 (Monitoring of Residual Pesticides in Agricultural Land from the Southern Area of Seoul)

  • 최채만;육동현;홍채규;김태랑;황영숙;황인숙;김정헌;김무상;채영주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60-165
    • /
    • 2011
  • 본 연구는 강남일부(강남구, 강동구, 송파구)지역 시설재배지에서 시기별 잔류농약의 오염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각 지역에서 2010년 4월부터 2011년 6월까지 토양시료 60 점을 채취하여 시료 중 농약 잔류량을 다성분 동시 스크리닝 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시설재배지 잔류농약 조사결과, endosulfan 0.002-0.999 mg/kg, procymidone 0.002-1.200 mg/kg, diazinon 0.003-0.024 mg/kg, metalaxyl 0.012-0.075 mg/kg로 검출되었다. 시설재배지 토양의 잔류농약 모니터링 결과 검출빈도가 높게 나타난 endosulfan을 대상으로 참나물, 상추에 대하여 흡수 이행 정도를 조사하였다. 강남구 지역의 토양에서 잔류농약을 검사한 결과 endosultan이 0.445 mg/kg로 잔류하였고, 이 토양에서 참나물을 60일 재배 후 잔류농약 검사를 실시한 결과 endosulfan 0.157 mg/kg로 잔류하여 토양 대비 참나물 중 endosulfan 이행률은 35.3%를 보였다. 또한 강동구 지역의 토양에서 잔류농약을 검사한 결과 endosulfan이 0.358 mg/kg로 잔류하였고, 이 토양에서 상추를 60일 재배 후 상추 중 잔류농약 검사를 실시한 결과 endosultan 0.004 mg/kg로 잔류하여 토양 대비 endosulfan 이행률은 1.1%를 보였다.

가락동 농수산물도매시장 반입 들깻잎과 상추의 잔류농약 실태 및 안전성 평가 (Pesticide Residues Survey and Safety Evaluation for Perilla Leaf & Lettuce on the Garak-dong Agricultural & Marine Products Market)

  • 박원희;황인숙;김은정;조태희;홍채규;이재인;최수정;김진아;이윤정;김미선;김지혜;김무상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51-160
    • /
    • 2015
  •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서울 가락동 농수산물도매시장에서 경매되는 채소류 중 들깻잎 4,063건 상추 2,248건을 대상으로 잔류농약 검사를 실시하였다. 들깻잎은 812건에서 농약이 검출되었고 40건이 부적합판정을 받았다. 상추의 경우 108건에서 농약이 검출되었고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상품은 10건이었다. 검출된 농약은 들깻잎 61종, 상추는 28종이었다. 들깻잎 및 상추 섭취에 따른 다종농약 성분에 대한 안전성 평가는 들깻잎이 0.05% 이하, 상추가 0,1% 이하로서 인체에 대한 위해성은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GC-NPD 동시분석법을 이용한 유니코나졸 잔류실태조사 (Monitoring of Uniconazole by GC-NPD)

  • 김은정;최부철;최수정;홍채규;김은희;최재만;서영호;황영숙;장미라;황인숙;김무상;채영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78-381
    • /
    • 2012
  • 2011년 6월부터 11월까지 농산물 중 GC-NPD 및 GC-MSD를 이용한 동시 다성분 분석법을 이용하여 uniconazole의 잔류실태 조사를 실시하였다. 2011년 6월부터 11월까지 서울지역에 유통되고 있는 농산물 121종 총 3,939건에 대하여 잔류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49건에서 uniconazole이 검출되었다. 품목별로는 겨자채가 69.4%로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Uniconazole의 검출양은 0.09 mg/kg에서 17.89 mg/kg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uniconazole에 대하여 GC-NPD 및 GC-MSD를 이용한 동시분석법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GC-NPD의 검출한계와 정량한계는 각각 0.006 mg/kg와 0.018 mg/kg이었다. 겨자채에 표준용액을 0.5, 5 mg/kg 농도로 하여 회수율을 측정한 결과 83.4%에서 101.4%까지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동시분석법으로 보다 효율적인 검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온라인 판매 농산물 잔류농약 실태 및 안전성 평가 (Monitoring and Safety Assessment of Pesticide Residues on Agricultural Products Sold via Online Websites)

  • 박덕웅;김애경;김태순;양용식;김광곤;장길식;하동룡;김은선;조배식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2-31
    • /
    • 2015
  • 본 연구는 2014년도 온라인으로 판매되고 있는 농산물의 잔류농약 실태와 안전성 평가를 시행하였다. 총 124건의 농산물(엽채류 98건, 엽경채류 26건)을 2014년도 3월부터 8월까지 6차례 20곳의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무작위로 수거 및 전처리 후 GC-ECD/NPD와 LC-MS/MS를 사용하여 208종의 농약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깻잎, 깻순, 부추, 쑥, 열무, 대파, 취나물 7종 11건(8.9%)의 농산물에서 11종의 농약 19건이 검출되었다. 농산물 중 2건(깻순, 쑥)에서는 잔류허용기준치 이상의 농약이 검출되었다. 검출된 농약의 EDI(Estimated daily intake)와 ADI(Acceptable daily intake)를 비교하여 안전성 평가를 시행한 결과 %ADI가 100%를 넘는 대상은 없었으나 클로로타로닐이 잔류허용기준치 이상 검출된 깻순에서는 95.7%의 결과를 보이는 등 안전성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앞으로 국가 농산물 잔류농약 안전성 검사 정책 결정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동시 다성분 분석법에 의한 농산물 중 펜시쿠론 분석 (Analysis of Pencycuron in Agricultural Products by Simultaneous Determination)

  • 박영혜;한창호;김애경;신재민;이재규;박선희;윤은선;김무상;채영주
    • 농약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62-167
    • /
    • 2013
  • GC-NPD를 이용하여 pencycuron의 다종농약다성분 분석법을 확립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제시된 분석법의 검증을 위해 예비 실험을 거쳐 농약이 검출되지 않은 상추, 시금치, 엇갈이배추, 근대, 아욱, 배추를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Pencycuron 표준용액을 0.02-2 mg/kg의 농도로 희석하여 분석한 검량선의 직선성($r^2$ = 0.9999)은 우수하였다. 검출한계는 0.005 mg/kg이고 정량한계는 0.02 mg/kg이며 회수율은 79.6-112.1%, 분석오차는 최대 4.9%미만으로 잔류농약 분석법에서 허용되는 회수율 기준 70-120% 범위와 분석오차 20% 이하의 기준에 적합하였다. 정밀도는 intra-day test에서 1.6-3.0%, inter-day test에서 5.3-11.5%를 나타내어 다종농약다성분 분석법을 통해 pencycuron의 직선성, 검출한계, 정량한계, 회수율과 정밀도를 검증하고 정확성을 증명하였다. 오랜 시간이 걸려 추출, 정제, 유도체화 과정을 거치는 분석법보다 빠르고 간편한 실험법인 다종농약다성분 분석법이 pencycuron의 분석시에 유용한 분석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동시 다성분 분석법에 의한 농산물 중 Diflubenzuron 분석 (Analysis of Diflubenzuron in Agricultural Commodities by Multiresidue Method)

  • 박선희;한창호;김애경;신재민;이재규;박영혜;김지민;황래홍;장민수;송미옥;박주성;윤은선;김무상;정권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69-277
    • /
    • 2014
  • HPLC-UVD를 이용하여 diflubenzuron이 다종농약다성분 분석법 제2법에 적합한지를 검증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농약이 검출되지 않은 시금치, 엇갈이배추, 가지, 애호박, 청피망, 오이, 참외 등 7종 농산물을 대상으로 직선성, 특이성, 검출한계, 정량한계, 정확성, 정밀성을 확인하였다. Diflubenzuron 표준용액을 0.05-5 mg/kg 농도로 희석하여 분석한 표준검량선의 직선성은($R^2=0.99999$)은 매우 만족할 만한 수준이었다. 검출한계는 0.008 mg/kg, 정량한계는 0.02 mg/kg 이며 회수율은 77.5-105.6%, 상대표준편차는 최대 20% 미만, 정밀도는 intra-day test에서 0.4-1.9%, inter-day test에서 0.7-1.9%를 나타내어 잔류농약분석법에서 허용하는 회수율 기준 70-120% 범위와 상대표준편차 20% 이하의 기준에 적합하였다. LC-MSD를 이용한 재확인 과정을 통해 잔류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따라서 유통농산물 중 diflubenzuron의 일상적 검사법으로 빠르고 간편한 다종농약다성분 제2법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Economic Empowerment of Agro Tourism "Jawaunik" (Java Unique): A Case Study in Indonesia

  • NURLAELA, Siti;MURSITO, Bambang;SHODIQ, M. Fajar;HADI, Pramono;RAHMAWATI, Rahmawati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5호
    • /
    • pp.741-748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o empower the community in developing Unique Javanese Agro Tourism in the Klaten regency, Central Java Indonesia. Community economic empowerment is carried out by 1) conservation-based development, namely the pattern of community development while maintaining the authenticity of ecosystems by seeking to preserve natural, historical, cultural, and recreational natural resources. Community development can be done in stages, that is, carried out before the area becomes an object of agro-tourism and after the area becomes an object of agro tourism, 2) Community empowerment in the development of unique Javanese agro-tourism can be done with the development of community-based agro-tourism, intended to pattern community development that places agrotourism as empowering farmers to obtain good value from agricultural products as well as from tourist visits; the dual effect of absorp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by tourism businesses and developers of agro-tourism areas/regions; by the government as an area to develop agrotourism; synergy between communities; and the role of tourism institutions and agricultural institutions in fostering agro-tourism so that this can enhance the aesthetic value and beauty of n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