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ricultural labor

검색결과 552건 처리시간 0.022초

토양환경(土壤環境)의 특성(特性)과 벼 어린모의 생육(生育) (Soi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the Growth of Young Rice Seedlings)

  • 허봉구;조인상;엄기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5-60
    • /
    • 1991
  • 어린모 기계이앙(機械移秧) 재배기술(裁培技術) 확립(確立)에 필요(必要)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제공(提供)할 목적(目的)으로 중부지역(中部地域) 벼 생선기계화(省力機械化)(어린모) 시범단지(示範團地) 24개소(個所)에 대한 어린모와 중묘기계이앙(中苗機械移秧) 재배지(裁培地)의 본답(本畓) 초기생육(初期生育)과 토양(土壤) 및 수량(收量)을 조사(調査),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어린모 재배지(裁培地)의 표고(標高)는 5m에서 210m까지 였으며 보수일수(保水日數)는 평균 5.1일(日)이었고 토양(土壤) 배수(排水)는 약간양호(若干良好) 내지(乃至) 약간불량(若干不良)이었다. 2. 토양(土壤) 배수(排水)가 약간양호(若干良好) 및 약간불량(若干不良) 포장(圃場)에서는 어린모 기계이앙후(機械移秧後) 30일(日)에 점토함량(粘土含量)이 적을수록 초장(草長) 크고 경수(莖敎)는 적었으며 사토양(砂土壤)에서는 토양(土壤) 배수(排水)가 양호(良好)할수록 초장(草長)과 경수(莖敎)가 모두 양호(良好)하였다. 3. 어린모 재배지(裁培地) 토양(土壤)의 경도(硬度)는 사토양(砂土壤)에서, 용적밀도(容積密度)는 양토(壤土)와 미사질식양토(微砂質埴壤土)에서 낮았으며 배수(排水)가 불량(不良)한 포장(圃場)에서도 낮았으며 토양화학성(土壤化學性)은 토성간(土性間)에는 큰 차이(差異)가 없었으며 토양(土壤) 배수(排水)가 약간불량(若干不良)하거나 불량(不良)한곳이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이 높은 경향(傾向)이었다. 4. 어린모 기계이앙답(機械移秧沓)의 수량(收量)은 심토(心土)의 용적밀도(容積密度)와 유의성(有意性)있는 부(負)의 상관(相關)이 있었고 치환성(置換性) 칼슘함량(含量)과는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 있는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었다. 5. 어린모 기계이앙(機械移秧) 재배답(裁培沓)의 평균수량(平均收量)은 487kg/10a으로서 중묘(中苗) 기계이앙(機械移秧)의 475kg/10a보다 2.5% 증수(增收)되었다.

  • PDF

산지개간공법(山地開墾工法) (Engineering Aspect in Upland Reclamation)

  • 안재숙;신상혁;신호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71-281
    • /
    • 1979
  • 우리나라의 산지개간(山地開墾)은 부족(不足)한 토지자원(土地資源)의 확보(確保)를 위하여 필요(必要)하다. 산지(山地)를 농지(農地)로 조성(造成)하는 개간공법(開墾工法)은 종래에는 주(主)로 인력(人力)과 축력(畜力)에 의(依)하여 시공(施工)되어 왔다. 그러나 근간(近間)에는 노동력의 부족(不足)과 노임의 상승(上昇)에 따라 기계화(機械化) 시공(施工)이 공정관리(工程管理)와 경제적으로 유리(有利)하게 되었으며 앞으로 이런 현상(現象)은 더욱 증대될 것이다. 산지개간(山地開墾) 공법(工法)의 유형(類型)으로서는 원지형(原地形) 공법(工法), 개량원지형(改良原地形) 공법(工法), 계단형(階段形) 공법(工法), 사면형(斜面形) 공법(工法)이 있다. 앞으로 산지개간(山地開墾) 공법(工法)의 채택 방향(方向)은 경사(傾斜) 및 토지이용(土地利用) 조건에 따라 다소(多少) 다르겠으나 보통전(普通田)의 경우(境遇)는 가급적(可及的) 구획을 대형화(大型化)하고 경사(傾斜)를 완화(緩化)하여 기계화(機械化) 영농이 가능(可能)한 개량원지형(改良原地形) 공법(工法)이 바람직하다. 목야지(牧野地)를 위한 개간(開墾)의 경우(境遇)는 요철(凹凸)을 정형(整形)하는 개량원지형(改良原地形) 공법(工法)이 유리(有利)하며 수원지(樹園地) 조성(造成)의 경우는 등고선(等高線)에 따라 계단(階段)을 축조(築造)하고 경작도(耕作道)를 배치(配置)하는 사면형(斜面形) 공법(工法)으로 조성(造成)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PDF

작물 모형 개선을 위한 지역적응시험 자료의 정량적 품질 평가 (Quantitative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Regional Adaptation Trial Data for Crop Model Improvement)

  • 현신우;서보훈;이석인;김광수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94-204
    • /
    • 2020
  • 작물 모형의 품종에 따른 특성을 나타내는 품종 모수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생육 관측 자료가 요구되며, 이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과 노력이 요구된다. 고품질 자료는 아니더라도 공개되어 있는 작물 생육 자료를 활용하여 모수 추정에 사용할 수 있으나, 이러한 자료의 품질에 대한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자료에 대한 정량적 평가 도구인 DatasetRanker를 사용하여 벼에 대한 지역적응시험 자료를 평가하였다. 또한, 결과를 바탕으로 자료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관측체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평가 결과 각각의 품종들은 모두 네 등급 중 세 번째로 높은 은 등급으로 평가되었으며, 더 상위의 등급을 얻지 못한 것은 대체로 생육 및 생육환경에 대한 관측자료의 부족에 기인하였다. 결과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관측자료가 요구되며, 일부 재배관리 등의 기본적인 조건들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는 것만으로도 품질에 대한 평가 점수가 약 10%정도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또한, 정확한 위치정보가 공개될 경우 이를 기준으로 수집되는 토양 정보와 기상 정보의 불확실성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생육기간 중 시계열적인 관측자료가 수집된다면 품질이 상당히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이를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중 로지스틱 모형에 의한 농경지 휴경잠재성 분석 - 경상남도 창녕군 이방면을 대상으로 - (An Analysis of the Fallow Potential in Agricultural Area by Multi-logistic Model - A Case Study of Ibang-myeon, Changnyeong-gun, Kyungsangnam-do -)

  • 박인환;장갑수;서동조
    • 환경영향평가
    • /
    • 제15권1호
    • /
    • pp.53-65
    • /
    • 2006
  • Topographic condi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s in farming activities. The topographic condition didn't matter for farming in the past because agricultural products had competitive power in the market. So farmers tried to extend their farms without any concern of topographic condition. We need less labor-consuming farming as industrial structure has been changed and the competitive power of the farming has been getting weak. This study analyzed the fallow potential in agricultural area by topographic condition so that we have got results as follows. Maps of elevation, slope, distance from roads and water resources were made for getting a fallow probability model in farms, and these 4 factors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while a variable on whether it is fallow or not is a dependent variable in logistic regression model. In an analysis of the fallow potential depending on farm land types, the fallow probability in fallow orchard showed the highest value of farm lands, 0.973. Cultivated orchard had 0.730 and upland had 0.616 of the fallow probability. The fields having high fallow potential had high elevation, steep slope, and long distance from water resources and roads. Especially, fields having a probability over 0.99 appeared in orchards, fallow uplands and single cropping uplands, which were recognized to have several disadvantages related to the fallow like as high elevation, steep slope, and long distance from water resources and roads. With the logistic analysis, the suitable farm lands appeared at 16.45m of the mean elevation, 1.89 degree of the mean slope, 39.91m of the average distance from water resources, and 32.39m of the average distance from roads. On the contrary, non-suitable land appeared at 114.7m of the mean elevation, 24.9 degree of the mean slope. The distance from roads was more important variable than the distance from water resources for analyzing suitable farm land.

"북학의(北學議)"의 경제지리 (The Economic Geography of Bukhakui(北學議))

  • 손용택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16-232
    • /
    • 2008
  • 본 연구는 박제가의 [북학의]를 통해 그의 지리적 관심과 지리지식이 어느 정도이며 어떤면에 활용하고자 하였는지를 살피는데 있다. 특히 경제지리적 내용을 추출해서 농업 공업 상업지리 내용으로 분류 해석하였다. 농업지리 내용으로 농지, 종자파종, 시비, 가축사육, 농잠과 과일 등에 대해 섬세하고 치밀하게 필요성과 구체적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공업지리 내용으로 연경(북경)에 와 있는 서양학자들로부터 첨단과학 및 공학 기술과 지식을 받아들여 우리 것에 대한 근대화를 꾀할 것을 강조하였다. 상업지리 내용으로 양반들의 유휴 노동력을 실용적인 상업생산 노동력으로 전환시키며 수레를 통한 육로교통을 열고 이웃 나라(청, 일본, 유구, 베트남 등)들과 뱃길 통상의 길을 열어 지역 및 국가 경제의 활성화를 꾀할 것을 주장하였다. 연구를 통해 박제가는 경제지리 내용에 밝았고 깊은 관심을 기울였으며 경제지리 관련 지식을 활용해 국가경제력 제고를 위해 노력한 실학자임을 알수 있다. 그의 경제지리적 관심과 지식은 실사구시에 직결되는 것이다. 당시 박제가의 경제지리적 지식과 활용의 구체적 방법론 제시가 나라에 의해 효율적으로 채택되었다면 조선시대 후기의 국가 경제력은 크게 도약할 수 있었을 것이다.

  • PDF

솔잎혹파리의 약제방제에 관한 연구 VI. 입제형 침투성 살충제의 근계주변 토중처리효과 (Chemical Control of the Pine Gall Midges(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VI. Effect of the Root-Zone Treatments of Some Granular Systemic Insecticides)

  • 최승윤;박형만;정부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38-141
    • /
    • 1982
  • 본 시험은 침투성 살충제의 적송 근계주변 토중처리에 의한 솔잎혹파리의 방제효과를 검토하여 유교 살충제의 선발, 나아가 현행 근계주변 토중처리 방법을 성력적인 처리방법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Aldicarb$(Temik^{(R)}\;15G)$, Carbofuran$(Curaterr^{(R)}\;3G)$, Disulfoton$(Disyston^{(R)}\;5G)$를 고시, 흉고직후 cm 당 5g(유효성분량)을 근계주변원형처리(6월 25일)하여 솔잎 혹파리의 방제효과를 검토하였다. $Curaterre^{(R)},\;Temik^{(R)}$ 처리는 솥잎혹파리의 방제효과가 우수하였으나 Disyston 처리의 방제효과는 낮은 편이었다. 난, 무처리에서 건전엽률, 피해흔적엽율은 각각 $49.9\%,\;16.4\%,\;33.7\%$인데 비하여 $(Temik^{(R)}$ 처리에서는 그들이 각각 $27.9\%,\;65.4\%,\;6.7\%$이었고 $Curaterr^{(R)}$ 처리에서는 각각 $64.8\%,\;23.7\%,\;1.5\%$이었으며 $Disystone^{(R)}$ 처리에서는 각각 $49.6\%,6.3\%,\;24.1\%$ 이었다. 처리방법 개선을 위한 시험에서는 $Temik^{(R)}$ 공시, 균고직경 cm 당 5g(유교성분량)을 6월 2일에 점식구 처리 (Pit treatment), 방사상식고랑처리(Radical furrow treatment), 근계주변 원형식고랑처리(Circle furrow treatment)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점식구멍처리에서는 구멍수의 증가에 따라 충영엽율이 낮었으며 방사상식고랑처리는 고랑수에 따른 충영엽율에 현저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현행 근계주변 원형식고랑처리는 점식 3구멍처리와 대등한 솔잎혹파리의 방제효과가 있었다. 결론으로 $Temik^{(R)}$$Curaterr^{(R)}$의 토중처리효과는 대등하여 $Temik^{(R)}$의 대체 가능하다고 보며 $Temik^{(R)}$의 점식 3구멍 처리방법을 도입함으로서 토중처리에 소요되는 노동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ICT기반 시설원예 재해 경감장치 설계 (Design of ICT based Protected Horticulture for Recovering Natural Disaster)

  • 이명훈;여현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6권10호
    • /
    • pp.373-382
    • /
    • 2016
  • 우리나라의 농업은 사계절의 뚜렷함으로 기후의 영향을 받아 온실과 같은 시설을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는 농업이 발전하고 있다. 점차 첨단 기술의 농업으로 발전하고 있지만 아직 여러 자연 재해에 취약한 점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로 본 논문에서는 농업인의 고충을 줄이기 위해 폭설이나 풍해로 인한 작물 생산 및 시설 유지를 위한 비닐 회전을 이용하여 비닐하우스 제설 및 복구 시스템을 설계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온실의 실시간 피드백 제어를 위한 기본 연구로써, 자체 기술력을 바탕으로 개발된 무선 IoT 센서 시스템 및 시설원예 관리 시스템을 결합하여, IoT 장치를 통한 적설량 및 바람의 세기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기존 비닐하우스 제설 시스템의 경우 온수를 분사하여 제설하거나 기존 시설의 구조를 새롭게 하여 피해를 방지하였지만 본 논문에서는 비닐하우스의 실질적 외관인 비닐을 회전함으로 적설된 눈을 치우거나 파손 부위를 복구함으로 피해를 복구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먼저 MEMS 소자 및 무선 통신 모듈 기반의 무선 IoT 센서 유닛, 실시간 응답 측정이 가능하도록 운영 프로그램 등을 개발하였다. 이로 인하여 기존의 노동력 절감과 작물 성장의 피해를 막아 효율적인 시설 운영에 도움을 주게 될 것이다.

남부지방 조 이식재배시 육묘폿트의 적정규격 및 주당본수 (Adequate Standard Pot and Number of Plants Per Tree of Raising Seeding Pot on the Foxtail Millet Transplanting Culture in the Southern Province)

  • 김용순;김동관;최진경;박흥규;김명석;신해룡;최경주;윤종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23-28
    • /
    • 2015
  • 최근 웰빙 건강식품으로 용도가 다양한 조, 기장, 수수작물의 잡곡육성을 위한 연구개발 및 정책지원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조는 생육기간이 90~130일 정도로 짧고 생육온도에 대한 변이가 커서 넓은 지역에 적응할 수 있고 기상재해에 대한 내성도 크다. 본 연구는 남부지방 조 생력재배 기술을 개발하고 육묘방법과 이식방법의 현장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으며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 육묘방법의 폿트종류별 이식 당시 모소질은 406구, 200구, 162구간에 유의성이 없었으며 본포 활착률은 모두 94~95%를 나타내었다. 수량은 10a당 406구 305 kg > 162구 303 kg > 200구 302 kg을 나타내어 처리간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육묘이식재배시 폿트를 이용할 경우 406구 폿트가 200구 대비 상토 63%, 폿트 50%, 작업시간 18%가 절감되었다. 조 이식방법별 이식 당시 모소질은 이식본수가 적을수록 건조중은 높은 경향이었고 본포 활착률은 모두 95% 이상을 나타내었다. 10a당 수량은 2본 육묘이식 315 kg > 3본 육묘이식 304 kg > 1본 육묘이식 256 kg/10a 순으로 나타났다. 조 육묘이식재배시 폿트종류별 소요경비는 10a당 406구 폿트가 76,230원으로 200구에 비해 40%가 절감되는 것으로 나타나 406구폿트에 2본씩 육묘이식재배 하는 것이 생력화에 적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서남부 지역 양파 재배 시 완효성 비료 시용효과 (Effects of a Slow-Release Fertilizer on Onion (Allium cepa L.) Cultivation in Southwestern Area)

  • 이을태;조상균;송연상;장영석;최인후;오용비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4호
    • /
    • pp.476-482
    • /
    • 2001
  • 서남부지역 양파 재배 시 완효성 비료 시용에 따른 품질향상 효과를 구명하고자 실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시험 후 토양의 화학성은 속효성 비료보다 완효성 비료 시비구가 약간 높게 나타났고 생육은 조생, 만생종 모두 속효성 비료에 비하여 완효성 비료 시비구가 약간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노균병 이병률은 완효성 비료 시비구에서 1-7% 더 낮았으며 엽록소와 전질소함량은 관행 시비구가 완효성 비료 시비구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상품수량은 조생종인 소닉의 경우 관행 시비구 4,365kg/10a에 비하여 완효성 비료 시비구가 15% 증수되었으나 만생종인 창녕대고에서는 UF를 제외하고는 2-11% 감수되었다. 완효성 비료 시비구에서 수확된 양파의 경도, 당도, 인엽수, 인엽두께 등 저장형질은 관행 시비구보다 양호하게 나타났으며 다른 성분들은 유의성이 없었다. 완효성 비료 시비구에서 수확된 양파구의 부패율 및 맹아율은 조생, 만생종 모두 관행 시비구에 비하여 현저히 낮았다.

  • PDF

가족경영협약이 여성농업인의 경영참여 확대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Family Management Agreement on the Increase of Participation in Farm Management among Women Farmers)

  • 강경하;허미영;이진영;최윤지;김경미;황대용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53-363
    • /
    • 2008
  • Recently some Korean feminists have reported the family management agreement (FMA) can contribute to enhance the women farmers' legal status and to improve their farm management. The FMA is a formal document written each rights and responsibilities on the farm management, income allocation, and labor condition such as working time and work-off days agreed among family members. Since 2004, 161 farmer couples have signed and practiced the FMA after two-day workshop scheduled for the agre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FMA on the increase of participation in (am management among women farmers. Data were collected from 204 FMA couples through the structured questionnaires. Also interview and participating observation were carried out. Paired t-test were conducted using SPSS 12.0 for Windows program.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Women farmers'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of farming activities h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an before the FMA. However, husbands'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is higher than women farmers even after the FMA. After the FMA, labor compensation, regularly or irregularly, for women farmers has increased to 53.3%, 35.3% higher than 18% of the previous study and women farmers' ownership of their farm assets has increased to 48.1% from 29.1%. Also, there is a tendency women farmers' role as a representative of their farm has increased. In conclusion the FMA makes women farmers participate more in farm management as decision maker, income beneficiary, farm asset owner, and farm representative, which encourage them to get the legal status as a farmer and to control their farm management risk. It is suggested that the FMA be selected as a program in order to strengthen the agricultural competitivenes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