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ricultural R and D

검색결과 1,356건 처리시간 0.032초

LC-MS/MS를 이용한 농산물 중 살충제 Broflanilide 및 대사물질 동시시험법 개발 (Development of a Simultaneous Analytical Method for Determination of Insecticide Broflanilide and Its Metabolite Residues in Agricultural Products Using LC-MS/MS)

  • 박지수;도정아;이한솔;박신민;조성민;김지영;신혜선;장동은;정용현;이강봉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24-134
    • /
    • 2019
  • 본 연구는 농산물 중 2019년 기준신설 예정농약 Broflanilide에 대한 공정시험법을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Broflanilide는 meta-diamide계 살충제로 중추신경계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인 gamma-aminobutyric acid (GABA) 수용체에 대하여 비경쟁적으로 작용하여 해충을 마비시키는 강한 살충작용을 하고 담배거세미나방 방제에 효과적이다. 잔류물의 정의는 모화합물 broflanilide로 규정하여 관리할 예정으로 향후 대사산물의 안전관리를 고려하여 broflanilide 및 대사산물의 동시시험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아세토니트릴으로 추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 및 염화나트륨을 첨가하였고 원심분리하였다. 상등액을 취하여 PSA와 $C_{18}$ 흡착제를 사용해 간섭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한 후 LC-MS/MS로 분석하는 시험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broflanilide 시험법의 직선성은 결정계수($r^2$)가 0.99 이상으로 우수하였으며,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는 각각 0.004, 0.01 mg/kg으로 높은 감도를 나타내었다. 대표 농산물 5품목(현미, 감자, 대두, 감귤, 고추)에 대하여 시험법 검증결과 평균 회수율(5반복)은 broflanilide는 90.7~113.7%, DM-8007은 88.2~105.0%, S(PFP-OH)-8007은 79.8~97.8%이었으며 RSD는 8.8% 이하로 정확성 및 반복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외부실험기관인 서울지방식약청과의 실험실간 평균 회수율은 broflanilide의 경우 86.3~109.1%, DM-8007은 87.8~109.7%, S(PFP-OH)-8007은 78.8~102.1%으로 상대표준편차(RSD)는 모두 20.8%이하로 국제식품규격위원회 가이드라인(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CAC/GL 40-1993, 2003)의 잔류농약 분석 기준 및 식품의 약품안전평가원의 '식품등 시험법 마련 표준절차에 관한 가이드라인(2016)'에 적합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개발된 시험법은 낮은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 우수한 직선성, 회수율 실험을 통한 정확성과 정밀성, 재현성 등이 입증되어 농산물 중 broflanilide의 잔류검사를 위한 공정시험법으로 활용되기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미세조류 바이오연료 상용화를 위한 주요 인자 연구 (A Review on Major Factors for Microalgae Biofuel Commercialization)

  • 강도형;허수진;오철홍;주세종;전선미;최현우;노재훈;박세헌;김태영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4권4호
    • /
    • pp.365-384
    • /
    • 2012
  • Microalgae are photosynthetic microorganisms that are highly productive in the presence of basic renewable natural sources (light, $CO_2$, water and nutrients). They can synthesize lipids, carbohydrates and proteins in a small number of days. Subsequently, these carbon-captured products can be processed into both biofuels and valuable co-products. Additionally, microalgae would be an ideal feedstock for replacing land-based food crops with cellular products as high energy density transportation fuels. These microscopic organisms could contribute a significant amount of renewable energy on a global scale. In Korea, microalgae biofuel research was common in the early 1990s. The research activities were unfortunately stopped due to limited governmental funds and low petroleum prices. Interest in algal biofuels in Korea has been growing recently due to an increased concern over oil prices, energy security,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the potential for other biofuel feedstock to compete for limited agricultural resources. The high productivity of microalgae suggests that much of the Korean transportation fuel requirements can be met by biofuels at a production cost competitive with the increasing cost of petroleum seen in early 2008. At this time, the development of microlalgal biomass production technology remains in its infancy. This study reviewed microalgae culture systems and biomass production, harvesting, oil extraction, conversion, and technoeconomical bottlenecks. Many technical and economic barriers to using microalgal biofuels need to be overcome before mass production of microalgal-derived fuel substitutes is possible. However, serious efforts to overcome these barriers could become a large-scale commercial reality. Overall, this study provides a brief overview of the past few decades of global microalgal research.

Characterizing Milk Production Related Genes in Holstein Using RNA-seq

  • Seo, Minseok;Lee, Hyun-Jeong;Kim, Kwondo;Caetano-Anolles, Kelsey;Jeong, Jin Young;Park, Sungkwon;Oh, Young Kyun;Cho, Seoae;Kim, Heeba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3호
    • /
    • pp.343-351
    • /
    • 2016
  • Although the chemical, physical,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bovine milk have been extensively studied, only a few studies have attempted to characterize milk-synthesizing genes using RNA-seq data. RNA-seq data was collected from 21 Holstein samples, along with group information about milk production ability; milk yield; and protein, fat, and solid contents. Meta-analysis was employed in order to generally characterize genes related to milk production. In addition, we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ilk related traits, parity, and lactation period. We observed that milk fat is highly correlated with lactation period;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is effec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model in order to accurately detect milk production related genes. By employing our developed model, 271 genes were significantly (false discovery rate [FDR] adjusted p-value<0.1) detected as milk production related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Of these genes, five (albumin, nitric oxide synthase 3, RNA-binding region (RNP1, RRM) containing 3, secreted and transmembrane 1, and serine palmitoyltransferase, small subunit B) were technically validated using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qRT-PCR) in order to check the accuracy of RNA-seq analysis. Finally, 83 gene ontology biological processes including several blood vessel and mammary gland development related terms, were significantly detected using DAVID gene-set enrichment analysis. From these results, we observed that detected milk production related genes are highly enriched in the circulation system process and mammary gland related biological functions. In addition, we observed that detected genes including caveolin 1, mammary serum amyloid A3.2, lingual antimicrobial peptide, cathelicidin 4 (CATHL4), cathelicidin 6 (CATHL6) have been reported in other species as milk production related gene. For this reason, we concluded that our detected 271 genes would be strong candidates for determining milk production.

각종 누룩 균을 이용한 실험실조건에서의 막걸리 제조 (Production of Korean Traditional Rice-wines Made from Cultures of the Single Fungal Isolates under Laboratory Conditions)

  • 이상선;김교숙;엄안흠;성창근;홍인표
    • 한국균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1-65
    • /
    • 2002
  • 한국 전통주인 막걸리의 원료인 누룩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각종 누룩 균주를 단독 접종하여 술담그기를 한 후 맛과 알코올 농도등을 기존의 방법으로 생산된 막걸리와 비교 연구하였다. 무작위로 선정된 4가지의 균의 성장과정을 무균 상태에서 다양한 수분 첨가조건으로 조사하였으며, 전분 분해능도 관찰하였다. 균사의 성장과정에서 이산화탄소 생산과 무게 손실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균종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났다. Abisida와 Rhizopus 균에서는 수분 함량이 적은 곳에서 잘 자라는 반면 Aspergillus와 Mucor는 비교적 수분함량이 많은 곳에서 잘 자랐다. 수분 첨가량이 적을수록 전통 누룩에서 발견된 균들이 잘 자랐다. 본 연구에서는 고두밥을 이용해 술을 담그는 전통적인 방법에 의한 경우와 단독 누룩 균을 이용하여 술담그기를 한 경우 그 술의 성분과 맛을 서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우리의 전통주는 접합균을 이용한 많은 누룩으로 만들어지고, 대표적인 균들은 Absidia, Mucor 및 Rhizopus로 생각되었고, 전통 누룩은 효소원이라기 보다는 균종원으로 추론되었다.

판매용 숙주나물의 형태(形態) 및 녹화(綠化)에 미치는 광질의 효과 (Effect of Light Quality on Shape and Greening of Selling Mungbean Sprouts)

  • 홍동오;전승호;강진호;류영섭;이야성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19-124
    • /
    • 2008
  • 유통기간중의 환경조건은 숙주나물의 상품성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유통과정중 필연적으로 부딪히는 빛이 숙주나물의 상품성에 미치는 영향을 추적하여 판매용 소봉지 도안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광질(청색, 녹색, 황색, 적색 및 초적색) 처리가 $8^{\circ}C$에 저장중인 숙주나물의 녹화 시간, 저장 5일후까지 매일 형태와 무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숙주나물의 녹화에는 $2.5{\sim}3.5$일이 소요된 청색광, 적색광과 초적색광에 비하여 6일 이상 소요된 녹색광과 황색광 처리에서 상대적으로 길었다. 2. 발생된 개체당 세근수는 광질 처리간 차이가 없었으나 전체 길이는 황색광 처리에서, 하배축 직경은 청색광 처리에서 가장 길고 굵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3. 개체당 전체 생체중과 건물중은 적색광 처리에서 가장 많았던 반면, 초적색광 처리에서 가장 적었다. 4. 녹화에 걸리는 시간이 가장 길었던 녹색과 황색 모두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숙주나물의 길이, 직경과 무게가 감소되었으나 그 영향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5. 이상의 결과로부터 숙주나물의 판매용 소봉지는 형태와 무게의 변화보다는 녹화로 인한 상품성 손실이 크기 때문에 주로 녹색과 황색으로 도안이 이루어져야 한다.

Malathion 저항성 및 감수성 복숭아혹진딧물의 온도에 따른 발육특성 (Effect of Temperatures on the Growth of Susceptible and Malathion Resistant Green Peach Aphid Strains)

  • Seung Seok Song;Naoki MOTOYAMA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97-301
    • /
    • 1996
  • 온도가 살충제의 저항성과 감수성계통, 복숭아혹진덧물의 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핵형이 정상인 감수성 계통(URY-O)과 저항성 계통(ABURABI : 유일) 및 핵형이상(AI, 3 전좌)으로 저항성인 O-RY 계통을 사용하였다. $25{\circ}C$에서의 약충 기간은 저항성과 감수성 계통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30{\circ}C$에서는 감수성 인 URY-O 계통은 8.3일간에 성층이 되었었음에 비하여 저항성인 O-RY 계통은 조사기간인 20일까지 약충상태로서 성충으로 발육하지 못하고 사망하였다. 감수성인 URY-O 계통과 저항성인 ABURABI 계통의 산자수는 $28^{\circ}C\;와\;25^{\circ}C$에서 서로 차이가 없었으나, 저항성인 O-RY 계통의 산자 수는 $28^{\circ}C\;에서\;25^{\circ}C$에서보다 1/10밖에 자충을 낳지 못하였다. 또한 충체중은 $28^{\circ}C$에서 URY-O와 유일은 각각 0.22와 0.27 mg/♀이었으나, O-RY는 0.16 mg/♀로서 차이가 컸다. 가수분해활성(n mol/IS min/female)이 19인 O-RY(-)9t 88인 O-RY(+)는 $28^{\circ}C에서\;G_1$, sub-strain의 산자수는 각각 3.4마리와 0.8마리로서 에스테라제 활성이 높은 O-RY(+)계통이 에스테라제 활성이 낮은 O-RY(-)계통보다 새끼수를 적게 낳았다.

  • PDF

무창육성돈사의 환기시스템에 따른 환기효율 평가 (Evaluation of Ventilation Systems in an Enclosed Growing Pig House)

  • 송준익;최홍림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1호
    • /
    • pp.135-144
    • /
    • 2002
  • 본 실험은 우리 나라의 양돈농가에서 노동력 절감이라는 이점 때문에 자돈사 및 분만사의 무창돈사는 일반농가에까지 보급되고 있으나, 육성.비육돈사에 있어서 무창돈사는 거의 전무한 실정으로 질병의 근원적인 차단 및 관리를 위하여 지금까지 회피되어 왔던 무창 육성.비육돈사의 활성화를 위하여 환기시스템을 자체적으로 고안하여 최적의 환기시스템을 여름철 및 겨울철로 구분하여 건축하였으며, 자체적으로 고안한 환기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고자 겨울철 및 여름철로 구분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무창 육성.비육돈사에 있어서 돼지 생활공간(하부) 지점에서의 공기유속은 겨울철 최소환기 수준(1,440 $m^3/h$)으로 하였을 때 0-0.19 m/s 였으며, 여름철 최대환기 수준(24,000 $m^3/h$)에서는 0.07-0.42 m/s로 분포되어 여름철 및 겨울철의 무창돈사내 공기유속으로 보아 환기시스템이 우수하였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종합해 보면 무창 육성.비육사의 환기시스템은 여럼츨 때는 측벽을 통한 환기와 겨울철은 천장을 통한 환기시스템이 적합하다고 판단되었으며, 한쪽 측벽에 의한 배기시스템이라도 입기구는 양쪽 측벽을 통한 입기가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가치 사슬과 지역의 중진국 함정: 태국 동북부 지방의 상위 설탕 가치 사슬을 사례로 (Value Chains and Regional Middle Income Traps: The case of the upstream sugar industry in Northeastern Thailand)

  • 최우혁;에도 안드리에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817-831
    • /
    • 2014
  • 본 연구는 중진국 함정과 가치 사슬 분석을 결합하여 태국 동북부 지역의 사탕수수 산업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태국의 동북부 지방을 주목하는 것은 중진국 함정의 지리적인 차이에 대한 깊은 이해를 줄 수 있다. 연구의 실증적인 결과들은 설탕 산업과 관련된 정책 입안자들이 동북부 지방의 여러 문제점들에 주목해야 한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그 문제점들은 첫째, 현재의 규제 환경이 중개상의 역할을 충분히 고려하고 있지 않다. 둘째, 사탕 수수 재배 농민들은 현행 제도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알지 못한다. 셋째, 재배 농민들과 공장 설탕 공장 간의 불신이 존재한다. 넷째, 연구 개발 활동이 활발하지 않다. 다섯째, 농민 협회의 지원이 불충분하다. 여섯째, 노동력이 부족하다. 일곱째, 농민, 중개상, 그리고 설탕 공장이 스스로를 개선할 유인이 부족하다. 동남아시아의 농업 가치 사슬은 주로 빈곤한 농촌 지역에서 시작하는 경우가 많기에 정책 입안자들은 가치 사슬 내의 행위자들간의 균형을 맞추어야만 한다. 그러나 가치 사슬의 중간에 위치한 행위자(설탕 공장)과 도매상들의 강한 영향력 때문에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점들은 소규모 자작농들이 행위자로 참여하는 동남 아시아의 여러 상위 가치 사슬과의 비교 자료로써 쓰일 수 있을 것이다.

  • PDF

GA3 처리가 유색칼라 괴경의 개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3 Treatment on the Flowering in Tuber of Zantedeschia 'Black Magic')

  • 박노복;임회춘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7권1호
    • /
    • pp.90-96
    • /
    • 2005
  • GA3 침지시간과 농도에 따른 출현소요일수는 GA3 처리가 무처리에 비하여 1.1~4.0일 단축되었으며 생육특성도 GA3 처리가 양호한 경향이었으나 GA3 침지 시간과 농도에 따른 차이는 적었다. 개화소요일수는 GA3 처리가 무처리보다, 30분 침지가 10초 침지보다, 그리고 농도가 높을수록 단축되었으나 화경장, 화경폭, 화고 및 화폭 등은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또한 개화수는 GA3 농도에 따른 효과가 커서 250~500 mg·L-1 처리가 4.0~4.3개로 최고 2배 많았으나 GA3 침지 시간에 따른 개화수 차이는 크지 않았다. 정상화율과 구근비대상황은 침지시간 및 농도에 관계없이 비슷하였다. 이로써 GA3 처리는 개화수 증가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며 침지시간에 상관없이 처리농도는 250~500mg·L-1가 적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느타리버섯의 볏짚배지(培地) 발효방법(醱酵方法)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Fermentation of Rice Straw Substrates for Cultivation of Pleurotus ostreatus)

  • 정환채
    • 한국균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77-181
    • /
    • 1983
  • 느타리버섯의 안전다수확(安全多收穫) 재배(栽培)를 위(爲)해 볏짚다발 배지(培地)는 야외(野外)에서 발효(醱酵)시키고 볏짚퇴비배지(堆肥培地)는 터널에서 살균(殺菌) 및 발효(醱酵)를 실시(實施)한 결과(結果) 1. 볏짚다발 배지(培地)는 야외(野外) 발효기간(醱酵期間)이 증가(增加)될수록 균사생장(菌絲生長)이 양호(良好)하였고 균사활착소요일수(菌絲活着所要日數)도 단축(短縮)되었다. 2. 볏짚다발 배지(培地)의 발효기간별(醱酵期間別) 느타리버섯 자실체(子實體) 수량(收量)은 야외(野外)에서 6일간발효(日間醱酵)(3회(回)뒤집기)한구(區)에서 $50.5kg/3.3m^2$로 가장 높았으며 관행방법(慣行方法)보다 24%증수(增收)되었다. 3. 느타리버섯 재배용(栽培用) 볏짚퇴비(堆肥)는 터널내(內)에서 4일간발효(日間醱酵)한 배지(培地)에서 균사생장(菌絲生長)과 초발용(初發茸) 소요일수(所要日數)가 빨랐으며 수량(收量)도 $67.6kg/3.3m^2$로 대조구(對照區)보다 17%가 증수(增收)되었다. 4. 느타리버섯 퇴비배지(堆肥培地)는 터널을 이용(利用)하여 살균(殺菌)과 발효(醱酵)가 가능(可能)하였으며 관행방법(慣行方法)보다 생산비(生産費)가 22. 3% 절감(節減)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