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ricultural Heritage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22초

농촌 문화경관 관련시책과 마을숲.당산숲의 위상 제고를 위한 기초연구 (A Study on the Policy for Rural Cultural Landscapes and for Enhancing the Value of the Rural Community Groves and Dangsan Groves)

  • 최재웅;김동엽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1-58
    • /
    • 2006
  • Rural areas dominates the country landscapes in size with less population and rich traditional heritages as well as natural landscapes. Rural community groves (RCG) and Dangsan groves have been established by community residents during a few hundred years, and most of them have been disturbed. Only a few RCGs and Dangsan groves remain for an extensive period with efforts from community residents. These remnant RCGs and Dangsan groves are highly evaluated representing Korean rural cultural landscapes. Sound understa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rural landscapes and their role on the rural community environment is required to provide an appropriate policy for managing rural landscape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RCGs and Dangsan groves in the cultural landscapes, to investigate policies and issues of the advanced countries on RCGs and Dangsan groves, and to overview domestic policies for rural landscape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RCGs and main issues discussed in EU countries. Ministry of Agriculture & Forestry of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and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have to focus on the potential of RCGs and Dangsan groves for multi-functions of agricultural and rural areas, natural streams, rural amenity, direct subsidy for landscape preservation and rural tourism.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RCGs and Dangsan groves will provide benefits to develop rural-mountain-sea villages and to enhance country's landscapes as well as local landscapes.

국가중요농어업유산 의성 전통수리농업시스템 소류지의 식물상 및 분포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Flora and Distribution in Uiseong Traditional Irrigation System Reservoirs as National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

  • 차두원;위사양;이준영;오충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69-84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basic data for the management of the Uiseong Traditional Irrigation Agricultural System by identifying plant diversity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The total number of plant taxa was identified as 88 families, 250 genera, 368 species, 7 subspecies, 9 varieties and 384 taxa. In the case of life form, the domancy form was in the therophytes(th), the radicoid form was a R5(monophyte), the disseminule form was the gravity D4(having no special modification for dissemination), and the growth form was the erect form was high. The number of plant taxa by land use type was higher in mountainoustype reservoirs and plain type reservoirs than other land use types. The distribution of plants by land use type according to the hemeroby grade was plantation in the case of 3 grade(meso-hemeroby) forests, and the understory were mainly photophilic plants. With 4 grade(β-euhemeroby), traditional cemetery, plain type reservoirs, mountainoustype reservoirs, stream, and rice terraces are areas with relatively low intensive management and have a wide variety of flora, whereas 5 grade(α-euhemeroby) orchard were mainly distributed with ruderal plant due to high intensive management. As for the number of plant taxa by reservoirs, the Wisgol pond in the case of plain type reservoirs, Ungok pond was high in mountainous type reservoirs. The protected species were rare plants 2 classification groups of Vulnerable(VU) species, 4 classification groups of Least Concrned(LC) species, 1 classification group of Data Deficient(DD) species, 5 classification groups of Korean endemic plants, and 49 classification groups of invasive alien plants, and the total naturalization index was 12.2%.

19세기 베를린 '미츠카제리네' 블록하우징에 관한 고찰 - Hackesche Hoefe 리모델링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Mietskaserne' Blockhousing in the late 19th Century in Berlin -Remodeling of Hackesche Hoefe-)

  • 이명주
    • 건축역사연구
    • /
    • 제13권1호
    • /
    • pp.71-81
    • /
    • 2004
  • The $18^{th}$ century's Industrial Revolution brought about influx of commerce, industry, and agricultural population into the urban areas, entering the $19^{th}$ century. Quality of rural communities declined, and the exploding population in the cities gave rise to various problems. 'Mietskaserne' Blockhousing was constructed by the 'Hobrechtplan', but led to social problems such as poor living conditions, insufficient sunshine due to overcrowding, slums due to incomplete urban infrastructure, epidemics, and so on. Starting in the early $20^{th}$ century, Berlin has driven forward a remodeling plan under the motto of 'critical reconstruction (kritische Rekonstruktion)'. It is performed in the place, which represents the vicissitudinous history of Berlin with site plans coexisting past with presence, using modern vocabulary of architectural forms. Reconstructing a city is a process which not only raises the economic value of each building consisting a city, but also a redevelopment process that brings out cultural value of an era. When a new era emerges buildings get reconstructed or rebuilt, and thereby form the identity of a city by reflecting its society, culture, politics, economy, and history. Old German architecture were not destroyed or rebuilt recklessly just by the fact that they are functionally or aesthetically outdated. Each building is treated as precious cultural heritage reflecting the history. This is how Berlin is being transformed today.

  • PDF

A Review on Monitoring the Everglades Wetlands in the Southern Florida Using Space-based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Observations

  • Hong, Sang-Hoon;Wdowinski, Shimon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77-390
    • /
    • 2017
  • Space-based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observations have been widely and successfully applied to acquire invaluable temporal and spatial information on wetlands, which are unique environments and regarded as important ecosystems. One of the best studied wetland area is Everglades, which is located in southern Florida, USA. As a World Heritage Site, the Everglades is the largest natural and subtropical wilderness in the United States. The Everglades wetlands have been threatened by anthropogenic activities such as urban expansion and agricultural development, as well as by natural processes, as sea level changes due to climate change. In order to conserve this unique wetland environment, various restoration plans have been implemented. In this review paper, we summarize the main studies using space-based SAR observations for monitoring the Everglades. The paper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two sections: (1) review of backscattered amplitude analysis and observations, and (2) review of interferometric SAR (InSAR) analysis and applications. This study also provides an overview of a wetland InSAR technique and space-based SAR sensors. The goal of this review paper is to provide a comprehensive summary of space-based SAR monitoring of wetlands, using the Everglades wetlands as a case study.

지리정보콘텐츠를 활용한 토지특성의 평가 방안 (A Study on Assessment of Land Characteristics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Contents)

  • 김항집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4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0-174
    • /
    • 2004
  • 공간계획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전략영향평가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토지적성평가가 2003년부터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시행되고 있다. 토지적성평가는 토지의 물리적 사회적 공간적 특성에 따라서 개발사업의 시행 이전에 토지의 용도를 결정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토지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지리정보콘텐츠를 중심으로 하는 디지털DB의 활용은 필수적이며, 법률상으로도 GIS를 활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지자체의 여건은 아직 이 제도를 실시하기 위한 물적 인적 기반이 미비한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사례연구를 통하여 토지평가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토지평가제도의 효율성과 실행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였다.

  • PDF

세계유산 자연성지 잠재지로서의 부안군 격포리 일원 당산숲의 경관특성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the Sacred Dangsan Forests in the Neighborhood of Gyeokpo-ri, Buan-gun as a Potential World Heritage-Sacred Natural Site)

  • 최재웅;김동엽;이창환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03-114
    • /
    • 2015
  • 유네스코 세계자연보전연맹은 전세계의 생물다양성 보전, 문화다양성 보호를 위해 '자연성지' (특정 민족이나 공동체에게 특별한 영적 중요성을 갖는 육상 또는 해상의 지역) 개념을 정립하였다. 수 백년 이상의 당산제 역사를 갖고 있는 농어촌 전통마을숲인 당산숲은 한국을 대표하는 '자연성지'라고 할 수 있다. 부안군 격포리 죽막마을은 작은 해안마을이지만, 국내최대의 고대 해양 제사터가 있는 중요한 곳이다. 부안군청에서는 '부안 죽막동 제사유적' 에 대해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부안 죽막동 제사유적' (5~6세기, 삼국시대 백제)이 마을 당집(수성당)을 둘러싸고 있는 당산숲 안에서 발굴된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연구는 부안 격포리를 중심으로, 인근의 대리, 내소사 석포리, 고창 동호리 등 네 곳 당산숲의 경관 특성과 그 문화를 고찰한 것이다. 그리고, 이들 네 곳의 당산숲을 연계하여, 세계유산-'자연성지 보호지역'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고찰하였다. 격포리 일원 당산숲은 저 마다의 경관 특징을 간직한 채 생활문화로서의 전통이 잘 남아있다. 격포리 일원 당산숲의 자연성지로서의 잠재력과 제한요인을 검토하기 위한 SWOT 분석 결과, WT(약점-위협)전략을 중점전략으로 선정하였다. 그 이유는 현재 당산숲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체계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이들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되기 위해서는 먼저, 국내에서 이들 당산숲으로 이루어진 경관의 특성이 밝혀지고, 자연성지 보호지역으로 지정되기 위한 선행 조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중국(中國) 전통원림(傳統園林) 공간(空間) 조영(造營) 원리의 현대적 탐구(探究) - 곡강지(曲江池) 유적공원(遺蹟公園)을 중심으로 - (A Modern Translation of Chinese Traditional Garden Space - Focusing on Qujiang Pool Heritage Park -)

  • 위첨첨;김정문;전조양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93-10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전통원림 공간조영의 원리를 어떻게 현대공원에 접목시키며 전통원림 공간조영의 전승 및 창신의 방법을 탐구하는 것이다. 전조양 등은 '중국 고전원림 및 현대전역십오강(中國古典園林与現代轉譯十五講)'에서 중국 전통 원림은 시간과 공간이 결합된 원림이며, 간략(簡略)화된 기본 조영원리 모식도(模式圖)를 제시하였다. 제시된 공간구성원리에 따라 중국현대공원인 곡강지 유적공원에 전통 원림요소와 현대 원림요소를 어떻게 접목시켰는지와 이 요소들이 공원 공간에 표현된 방법을 탐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곡강지 유적공원의 복합형 공간은 공원 경계부와 복합형 동선으로 조영하였다. 공원경계부에 위치해 있는 원림 요소는 다리, 광장, 식물, 선형(線形)으로 배열된 건축물군집으로 구성하였다. 공원의 중심 수공간은 곡강지 옛 수계유적흔적에 따라 설계하였으며 공간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고 구불구불한 자연적인 호안선으로 공간을 확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공원 수공간은 대지(大池)와 소지(小池)로 나눴으며 대지 내에 연파도(煙波島)를 설치하고 소지 안에 조도(鳥島)를 조영하였다. 공원 내에 있는 건축물들이 공원 동선의 볼록한(철각(凸角)) 부분에 위치하여, 공원 관람자의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하였기 때문에 시간과 공간을 확장하는 효과를 실현하였다. 본 연구 과정을 통해 곡강지 유적공원의 시간과 공간설계구성의 공간조영원리를 검증하였으며, 현대공원의 전체 공간 구조에 간략화 된 공간 설계 기법으로 원림의 복잡한 조합에 그 본질적인 공간구조가 나타난다. 또한, 곡강지 유적공원의 원림요소는 현대기법으로 진(秦)·한(漢)·수(隋)·당(唐)의 전통문화를 계승하고 곡강지 공원을 지역의 특색을 지니는 공간으로 재조영 하였으며, 당나라 문화를 주제로 하여 공간구성원리에 따라 시대별, 공간별 조영요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곡강지 유적공원은 제시된 공간조영원리가 적용된 공간이며, 중국 전통원림 공간 구성원리가 적용된 결과물이다. 그리고 곡강지 원림요소가 전통역사문화와 결합해서 창출된 경관은 현대 원림요소의 창신한 부분이다. 즉, 곡강지 유적공원은 중국의 특색있는 현대 원림으로 계승 및 창신 되었다.

부산 '좌수영성지(左水營城址)'의 진정성(authenticity) 회복방안 고찰 (Present State of the Dangsan Forest at 'Jwasuyeongseongji' in Busan and the Perspectives on It's Authenticity Restoration as a Historic Remain)

  • 최재웅;김동엽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4권1호
    • /
    • pp.138-161
    • /
    • 2011
  • 연구대상지인 부산시 '좌수영성지(左水營城址)'는 현재 대부분의 성곽 시설물은 소실되었으며, '수영 사적공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좌수영성지'의 가장 큰 장소성은 이곳이 역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임란 성지(聖地)라는 것에서 찾을 수 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고 좌수영성을 함락시킨 왜군에 의해 좌수영성 안팎의 수 많은 주민들이 무참히 살륙 당한 곳이다. '좌수영성지'는 국가사적(國家史蹟)급 유적이지만 마을놀이터로 오용되고 있다. 공원내 과다한 통행로와 보도블럭으로 인해 숲이 여러 조각으로 분리되어 있고, 체육 시설물들의 난립 및 음주가무 등이 일상화되고 있다. "유적의 진정성"을 중시하는 국제적 관리사례에서는 원래의 용도에 어긋나는 이러한 이용행태는 철저히 금지되고 있다. 본 논문은 지금은 많은 부분이 훼손되었으나 부산에서 소멸되지 않고 살아남은 소중한 전통 문화유산으로서, 큰 가치를 지니고 있는 좌수영성지와 당산숲의 현황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상실된 채 관리되고 있는 좌수영성지 및 당산숲의 진정성을 회복할 수 있는 방안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좌수영성지의 당산숲은 곰솔림으로 되어 있으며, 약 $230{\times}130m$ 규모로 남아 있다. 좌수영성지는 부산광역시 시도기념물 제8호로 지정되어 있으면서 수영 사적공원으로 이용되고 있고, 좌수영성지 당산숲 안의 당산나무 두 그루는 각각 천연기념물 제270호, 제311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러한 복잡한 관리체계는 '부산 구포동 당숲'(천연기념물 제309호)의 예와 같이 현재 남아 있는 좌수영성지 전체를 '부산 좌수영 당산숲'으로 명명하여 천연기념물이나 국가사적으로 지정할 필요가 있다. 당산숲은 당산신(堂山神)과 자연을 위해 할애된 공간으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그러므로 당산숲 공간 안에 있는 제반 시설물들이 제거되고 숲으로 이루어진 원래의 모습이 회복되면 좌수영성지의 진정성이 보존될 수 있을 것이다. 좌수영성지의 관리 주체는 부산광역시 수영구청에서 문화재청으로 이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울·경기지역 청동기시대 전기 생계자원(生計資源) 생산방식 (Patterns of Subsistence Production in the Early Bronze Age in the Seoul/Gyeonggi Region)

  • 이민영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6권3호
    • /
    • pp.22-44
    • /
    • 2023
  • 청동기시대 전기 생계경제는 문화유형, 환경적 요인 등에 의해 발현될 수 있는 생산방식의 다양성이 충분히 고려되지 않은 채, 농경 수행의 강도를 설명하는데 초점을 맞추어왔다. 이러한 상황은 신석기-청동기시대 이행을 얼마나 단절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이해할 것인가의 문제를 진지하게 고민하지 않는 데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인식은 생계자원 생산방식의 점진적인 변화를 탐색할 수 있는 경로를 차단해 왔다. 본고에서는 청동기시대 생계자원의 생산방식이 연속·점진적으로 변화되었다는 것을 전제로 하면서, 청동기시대 전기 생산방식에 영향을 주었을 다양한 요소에 따른 생산자원 생산양상을 복원해보고자 하였다. 청동기시대 전기는 문화유형과 생태적소가 다양하게 확인되는바, 특정 시기의 생계자원 생산방식을 복원하는 작업은 단편적인 한두 가지 분석으로는 달성되기가 어렵다. 따라서 생계자원 생산과 관련된 몇 가지 측면을 분리하여 분석·해석하고 종국에는 모두를 종합하는 것이 적절한 방법적 경로가 될 듯하다. 구체적인 연구 방법으로 생계자원 생산과 밀접한 연관을 지니는 문화·환경적 요소-문화유형, 지리·지형적 요소, 토양생산성, 취락규모-에 따라 기능상 분류된 석제 생산도구 구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서울·경기 지역의 청동기시대 전기 생계자원 생산양상에 있어 문화유형과 지리·지형적 입지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는 반면, 취락규모와 토양생산성에 따른 생산도구 구성의 차이에서는 통계적으로도 제법 유의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취락규모와 종합생산토양 비율이 증가할수록 수렵·무구, 목가공구, 수확구가 증가하는 반면 어로구의 비율에 있어서는 그 반대의 양상이 관찰되었다. 취락규모나 작물재배의 생산성에 따른 수렵 혹은 농경에 대한 의존도 사이에 상관관계를 기대하게 하나, 취락규모와 토양생산성 비율 간의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상호 유의미한 관계로 해석되지 않았다. 즉, 이는 여러 요인에 따라 생산양상도 상이하며, 어느 단편적인 요소가 특정 취락의 생계자원의 생산방식을 채택하는데 결정적이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청동기시대 전기 사회에서의 취락을 구성하는 다양한 문화·환경적 요소에 따라 생계자원 생산양상 검토가 필요하다.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from Fermented Goat Milk in Tajikistan

  • Cho, Gyu-Sung;Cappello, Claudia;Schrader, Katrin;Fagbemigun, Olakunle;Oguntoyinbo, Folarin A.;Csovcsics, Claudia;Rosch, Niels;Kabisch, Jan;Neve, Horst;Bockelmann, Wilhelm;Briviba, Karlis;Modesto, Monica;Cilli, Elisabetta;Mattarelli, Paola;Franz, Charles M.A.P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11호
    • /
    • pp.1834-1845
    • /
    • 2018
  • The lactobacilli associated with a fermented goat milk product from Tajikistan were isolated to characterize their technological properties and antibiotic resistances in order to assess their suitability for development as starter cultures. In this study, twenty three strains were identified by 16S rRNA sequencing as typical dairy-associated lactic acid bacterial strains, i.e. L. plantarum, L. pentosus, L. delbrueckii, L. helveticus and L. paracasei. These strains were generally susceptible to most antibiotics tested in this study and this allowed a selection of strains as safe starters. The draft genomes of four representative strains were sequenced and the number of contigs of the four assembled genomes ranged from 51 to 245 and the genome sizes ranged from 1.75 to 3.24 Mbp. These representative strains showed differences in their growth behavior and pH-reducing abilities in in vitro studies. The co-inoculation of these Lactobacillus spp. strains together with a yeast Kluyveromyces marxianus MBT-5698, or together with the yeast and an additional Streptococcus thermophilus MBT-2, led to a pH reduction to 3.4 after 48 h. Only in the case of fermentation inoculated with the co-culture, the viscosity of the milk increased noticeably. In contrast, fermentations with single strains did not lead to gelation of the milk or to a decrease in the pH after 24h.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predominant lactobacilli related to Tajikistani fermented milk produ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