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olicy for Rural Cultural Landscapes and for Enhancing the Value of the Rural Community Groves and Dangsan Groves

농촌 문화경관 관련시책과 마을숲.당산숲의 위상 제고를 위한 기초연구

  • Choi Jai-Ung (Rural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
  • Kim Dong-Yeob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Sungkyunkwan University)
  • 최재웅 (농업과학기술원 농촌자원개발연구소) ;
  • 김동엽 (성균관대학교 조경학과)
  • Published : 2006.08.01

Abstract

Rural areas dominates the country landscapes in size with less population and rich traditional heritages as well as natural landscapes. Rural community groves (RCG) and Dangsan groves have been established by community residents during a few hundred years, and most of them have been disturbed. Only a few RCGs and Dangsan groves remain for an extensive period with efforts from community residents. These remnant RCGs and Dangsan groves are highly evaluated representing Korean rural cultural landscapes. Sound understa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rural landscapes and their role on the rural community environment is required to provide an appropriate policy for managing rural landscape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RCGs and Dangsan groves in the cultural landscapes, to investigate policies and issues of the advanced countries on RCGs and Dangsan groves, and to overview domestic policies for rural landscape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RCGs and main issues discussed in EU countries. Ministry of Agriculture & Forestry of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and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have to focus on the potential of RCGs and Dangsan groves for multi-functions of agricultural and rural areas, natural streams, rural amenity, direct subsidy for landscape preservation and rural tourism.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RCGs and Dangsan groves will provide benefits to develop rural-mountain-sea villages and to enhance country's landscapes as well as local landscapes.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2002) 자연친화적 하천관리지침
  2. 건설교통부(2005) 친환경 하천정비기본계획 수립지침
  3. 국가균형발전위원회(2006) 살기좋은 지역만들기 기본계획
  4. 권오상(2006) 농업, 농촌의 다원적 기능, 이론 발전 및 가치 예측. 한국농업경제학회 한국농업정책학회 2006년 하계 공동 학술대회 발표논문집(I). pp. 37-67
  5. 김덕현 (1986) 전통촌락의 동수에 관한 연구-安東내앞마을의 開湖松을 중심으로-. 지리학논총 13: 25-33
  6. 김용곤(2004) 21세기 농촌관광의 전망과 대응전략. 농촌자원과 생활지 97: 27-31
  7. 김창길(2006) 농업, 농촌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사회적 수요. 한국농업경제학회, 한국농업정책학회 2006년 하계 공동학술 대회 발표논문집 (I). pp. 68-94
  8. 김태곤(2002) 농촌지역 특성과 지원정책 방향 농업 . 농촌의 공익적기능 가치평가와 활용 심포지엄 자료집 pp. 119-140
  9. 김학범(2005) 마을숲과 문화. 전통마을숲의 이해와 복원운동의 방향 심포지엄 자료집. pp. 5-22
  10. 김학범(1991) 한국의 마을원림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농림부(2006) 농촌경관의 보전, 형성, 관리를 위한 농촌경관 종합대책 수립방안(안)
  12. 농림부 (2004a) 경관보전직불제 시범사업 시행방안 연구. 농업 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보고서
  13. 농림부(2004b) 농업, 농촌종합대책
  14. 농어업, 농어촌특별대책위원회 (2002) 농어업, 농어촌의 새로운 활로보고서
  15. 농어업, 농어촌특별대책위원회(2005) 농어촌 복합생활공간 조성방안
  16. 대한주택공사, 한국도시설계학회, 한국조경학회(2005) 경관 법제정을 위한 공청회 자료집
  17. 목정훈(2005) 미국의 도시경관 관리방향. 경관법제정에 따른 도시계획 법체계의 개선방향 모색 세미나 자료집. pp. 31-47
  18. 박재철(1999) 농촌정주생활권내의 미을비보숲과 미을쉼터숲의 비교 고찰-진안군 지역을 사례로-. 한국조경학회지 27(3) 32-38
  19. 변병설(2001) 친환경적 농촌관리전략: 농촌경관을 중심으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새국토연구협의회 공동개최 세미나농촌 계획, 어떻게 할 것인가- 자료집. pp. 129-149
  20. 성주인(2005) 농촌경관 관리실태와 정책방안. 농촌경관 전문가 Workshop 자료집. pp. 105-159
  21. 송미령, 박경철(2005) 농촌경관 보전을 위한 정책 동향과 시사점. 농촌경제 28(3): 121-137
  22. 오민근(2005) 일본의 경관법 제정 및 전개, 그리고 우리의 할 일 경관법 관련 워크삽 자료집 pp. 7-67
  23. 우효섭(1996) 지역사회에서 소하천의 역할과 자연형 하천 정비의 의의. 세계 물의 날 기념 원천천 살리기 심포지엄 자료집 pp. 17-39
  24. 유제헌(1979) 농촌경관의 형태적 연구 여주.이천지방을 중심으로. 지리학논총 6: 96-115
  25. 윤영활, 김학범, 장동수, 김정태(1998) 강원도 동해안지역 정주지 구성요소로서 풍숲(風數)의 경관과 그 효용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6(1): 59-81
  26. 윤진옥(2005) 어메니티 증진을 위한 농촌경관 보전 및 관리 방안 연구. 농촌경관 전문가 Workshop 자료집. pp. 161-209
  27. 이상훈(2005) 마을숲의 사회학적 의미 진안지역을 중심으로-. 전통마을숲의 이해와 복원운동의 방향 심포지엄. pp. 23-51
  28. 이정형(2005) 일본에서의 경관시책과 경관법 제정 및 우리 나라에의 시사점. 경관법제정에 따른 도시계획 법체계의 개선 방향 모색 세미나 자료집. pp. 17-29
  29. 이창석, 유영한(2001) 한국의 문화경관, 그 실체, 변화와 새로운 패러다임에 의한 가치 평가. 한국생태학회지 24(5): 323-332
  30. 이희정(2005) 국토계획법과 경관법의 상호관계와 역활 경관법 관련 워크삽 자료집. pp. 71-95
  31. 장동수, 이규목(1997) 경주, 포항시 전통도시숲(읍수, 임수)의 보존과 관리.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5(1) : 1-15
  32. 정동양(1995) 독일, 스위스의 근자연형 하천공법. 한국건설 기술연구왼 하천환경 심포지엄 자료집. pp. 56-92
  33. 최일홍(2005) 경관법 추진 배경과 과제, 경관법 제정에 따른 도시계획 법체계의 개선방향 모색 세미나 자료집. pp. 1-15
  34. 최재웅, 김동엽(2005a) 하천경관으로서 당산숲, 마을숲의 경관 생태학척 기능 고찰. 환경정책연구 4(2): 31-55
  35. 최재웅, 김동엽 (2005b) 농촌경관 보전, 활용을 위한 당산숲, 마을숲의 관리실태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2005년 추계 학술논문 발표집. pp. 106-111
  36. 최재웅(2004a) 농촌관광 인프라-당산숲. 농촌자원과 생활지 98: 63-67
  37. 최재웅(2004b) 마을숲 문화가 있는 아름다운 우리 농촌마을 (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편, '한국의 전통생태학'). 서울: 사이언스북스. pp. 378-407
  38. 최재웅, 김동엽(2003) 농촌 문화경관으로서 강릉시 구정리 마을숲의 경관 특성. 국토계획 38(4): 171-181
  39. 최재웅, 김동엽(2000) 마을숲문화가 있는 농촌 마을숲의 구조 및 보전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8(3): 51-64
  40. 최찬호(2000) WTO 체제하 농업의 다원적기능 유지 전략. 농업의 다원적기능 심포지엄 자료집. pp. 1-28
  41.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2005) 국토환경관리종합계획(시안) 공청회 자료집
  42. 행정자치부 국립방재연구소(1999) 소하천정비 종합계획
  43. 환경부 수질보전국(2003) 2004 자연형 하천정화사업 추진지침
  44. Choi. J. U. and D. Y. Kim(2004) The multifunctionality of Dangsan forests in rural communities in Korea. The 41st IFLA World Congress Proceeding. Taipei: 2004 IFLA Taiwan Organizing Committee. pp. 434-445
  45. Takeuchi. K. R. D. Brown. J. Washitani. A Tsunekawa. and M. Yokohari(2003) Satoyama: the Traditional Rural Landscape of Japan. Berlin. Heidelberg. New York: Springer
  46. Land & Water Australia (2003) National Riparian Lands Research and Development Program
  47. OECD Joint Working Party on Agriculture and the Environment(2003) First Questionnaire for Environmental Indicators for Agriculture
  48. OECD(2001) Environmental Indicators for Agriculture: Volume 3 Methods and Results
  49. OECD(l999) Cultivating Rural Amenities: an Economic Development Perspective. 오현석, 김정섭 (역), 어메니티와 지역개발. 서울: 새물결, 2002
  50. Forman. R. T. T.(1995) Land Mosaics: the Ecology of Landscape and Regions. 홍선기, 김동엽(역), 토지모자이크 지역 및 경관생태학.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0
  51. USDA National Agroforestry Center (2002) Agroforestry: Working Trees for Communities
  52. http://www.maf.go.kr/index.jsp
  53. http://www.maff.go.jp/hakusyo/nou/h16/html/index.htm
  54. http://www.maff.go.jp/www/press/cont2/20040819press_5b.pdf
  55. http://www.mlit.go.jp/crd/city/plan/townscape/keik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