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erobic Exercise Program

검색결과 175건 처리시간 0.024초

댄스스포츠 트레이닝이 중년여성의 에스트로겐 및 성장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ance Sports Training on Estrogen and Growth Hormone in Middle-aged Women)

  • 함용기;박병근
    • 운동영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69-73
    • /
    • 2010
  • The present study aims to discover the effects of Dance sports program upon the hormone reaction of middle aged women. For this aim, 18 women in their 40 s were randomly selected and assigned to the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evenly. The experiment group underwent a 12-week lesson of Dance sports program. Before training, and 4, 8 and 12 weeks after the onset of the lesson, the effects of hormone reaction of the group were investigated and the outcomes of the analysis could be concluded as follows: Both estrogen and growth hormone in the experiment group 12 weeks later result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0 week that practiced Dance Sports programs increased significantly (p<.001). In conclusion, it may be said that the 12-week session of Dance sports program exercised a positive effect to training seems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the dance lesson to have effects on the increase of estrogen and growth hormone. The study indicates a number of further are as into understanding that is worked out in consideration of practice period and proper weight for more efficient results, instead of a program that is just composed of an aerobic exercise only.

12주 복합운동이 비만 여중생의 렙틴과 인슐린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a 12-week compound exercise program on obese middle school girls' leptin and insulin levels)

  • 이선익;조영석;양정옥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3권5호
    • /
    • pp.895-904
    • /
    • 2012
  • 본 연구는 체지방률이 30%이상인 비만 여중생을 대상으로 복합운동집단 (n=20)과 통제집단 (n=20)으로 비교분석하여 12주 복합운동 (유산소운동+저항운동)이 비만 여중생의 운동 전과 후의 렙틴과 인슐린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19.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변인 간에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샤피로-윌크 검정 값을 이용해 정규성을 검정한 후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12주간 복합운동에 따른 전 후 전변인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이용하였다. 모든 통계적 분석을 위한 유의수준은 ${\alpha}=0.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 렙틴과 인슐린은 복합운동집단에서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규칙적인 12주 복합운동이 비만 여중생의 렙틴과 인슐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10주간의 복합운동프로그램 참여가 산후비만여성들의 대사증후군 관련인자 및 아디포사이토카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Ten-week Complex Exercise Program for Obese Postpartum Women on Metabolic Syndrome Related Risk Factors and Adipocytokines)

  • 이웅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525-533
    • /
    • 2020
  • 본 연구는 10주간의 복합운동프로그램 참여가 산후비만여성들의 대사증후군관련인자(HDL-C, TG, Glucose, 혈압, 허리둘레) 및 아디포사이토카인(Leptin, Adiponectin)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자는 출산 후 40개월 이내 여성 총 14명으로 복합운동군 7명, 통제군 7명으로 배정하였다. 복합 운동 프로그램은 리듬운동을 적용한 유산소운동과 근력운동을 실시하였으며 주 2회, 80분간, 10주간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해 Mann Whitney U-test, Wilcoxon test, Spearma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대사증후군 관련인자에서 운동 실시 전, 후모든 항목에서 그룹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룹 내 차이에서는 복합운동군에서 HDL-C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TG, Glucose, 허리둘레에서는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고 통제군에서는 TG, Glucose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아디포사이토카인의 결과를 보면, 그룹 내 차이에서만 복합운동군이 Adiponectin에서 운동 후 유의한 증가를 나타나냈다. 대사증후군 관련인자와 아디포사이토카인과의 상관을 보면 HDL-C, Glucose가 Adiponectin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 2형 당뇨병 여성 노인 환자의 혈당조절을 위한 국내 운동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The Effect of Exercise Program in Korea for Controlling Blood Glucose Levels in elderly women patients undergoing type II diabetes mellitus)

  • 방윤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121-12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제2형 당뇨병 여성 노인 환자의 혈당 조절을 위한 국내 운동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주요 결과를 고찰하고 중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은 국내 데이터베이스로 한국 교육학술정보원, 한국 학술정보, 대한의학 편집인 협의회, 한국 의학논문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검색하였으며, 2010년부터 2017년 5월까지 출판된 국내 논문을 분석하였다. 검색어로는 당뇨, 여성 당뇨, 노인 당뇨, 제2형 당뇨병을 사용하였으며, 중재 관련 검색어로는 프로그램, 중재, 운동, 혈당, 혈당장애, 혈당조절, 공복 시 혈당, 당화 혈색소를 사용하였다. 최종 12개의 논문이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연구결과 운동프로그램의 중재 기간은 12주(50%), 주당 3회(58.3%), 1회당 50-69분(83.4%)이 가장 많았다. 또한, 유산소와 무산소복합운동은 혈당뿐 만 아니라 당화 혈색소도 조절할 수 있는 효과적인 운동방법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제2형 당뇨병 여성 노인 환자의 체력 수준과 건강 상태를 고려하여 집단교육보다는 개별교육의 운동 프로그램 중재를 적용해야 하며 일회성 운동보다는 지속적인 운동을 통해 효과적인 혈당조절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중년여성에 대한 영양교육 및 운동 프로그램이 신체조성, 혈청지질 농도 및 휴식대사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ody Composition, Serum Lipid Level and Resting Metabolic Rate by Nutritional Education and Exercise Program in Middle Aged Women)

  • 이정숙;박지선;이가희;고영숙;김은경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4권1호
    • /
    • pp.64-76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body composition, biochemical index level, resting metabolic rate and daily activities by the public health center's health-promoted program in overweight middle aged women. The workout program of 12 subjects constituted by exercise(aerobic exercise & resistance training) and nutritional education for 10 weeks. As the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all the weight(59.0$\pm$8.9 vs 57.2$\pm$8.3kg, p<0.05), body fat percentage(33.4$\pm$4.3 vs 30.5$\pm$4.5%, p<0.05) and body fat mass(19.8$\pm$5.4 vs 17.7$\pm$4.9kg, p<0.05) after program. Fat free mass and RMR which tend to be higher after than before program were found not to be significantly. In addition, the serum HDL-cholesterol(54.3$\pm$8.1 vs 59.7$\pm$13.9mg/dl, p<0.05) and TG level(65.2$\pm$418 vs 89.4$\pm$65.6mg/dl, p<0.05) of the subjects increased at the end of the study significantly and significant correlation found between total-cholesterol and TG before program. When the other laboratory parameter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program, hematocrit(35.1$\pm$3.3 vs 39.7$\pm$3.3%, p<0.001), platelet(225.9$\pm$49.6 vs 244.3$\pm$49.7cell/ul, p<0.05) and fasting glucose(88.0$\pm$6.5 vs 76.6$\pm$9.7mg/dl, p<0.001) increased significantly but hemoglobin(13.3$\pm$1.3 vs 12.9$\pm$1.3mg/dl, p<0.01) decreased. And in activities analysis, 'moderate activity(18.8 vs 5.8minutes, p<0.05)' clearly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but 'severe activity(17.7 vs 11.4minutes, p<0.05)' showed a increa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ntinuous health-promoted program involved exercise and nutritional education at the public health center are effective to reduce body fat and to improve resting metabolic rate(RMR).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develop more effective public health program for the middle aged women in community.

  • PDF

Effects of and barriers to hospital-based pulmonary rehabilit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Kim, Sang Hun;Jeong, Jong Hwa;Lee, Byeong Ju;Shin, Myung-Jun;Shin, Yong Beom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9권2호
    • /
    • pp.82-89
    • /
    • 2020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 of hospital-based pulmonary rehabilitation (PR) on exercise capacity and quality of life as well as barriers to participation in person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in South Korea. Design: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Methods: A total of 14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in an 8-week PR program with two 60-minute sessions per week. The program included: flexibility exercises, breathing techniques, strengthening exercises, and aerobic exercises. The outcomes were defined as changes in the variables before and after the PR program. A change in the 6-minute walk distance (6MWD) was defined as the primary outcome, and changes in pulmonary function test, respiratory and grip strength, and the St. George's Respiratory Questionnaire (SGRQ) about quality-of-life results were secondary outcomes. A dropout was defined as missing >3 of the 16 sessions. Results: Patients who completed the program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of 43.57±39.43 m in the 6MWD (p<0.05),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for the other function tests. The SGRQ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activity and total score (p<0.05). The total dropout rate was 53.3%. Newly developed symptoms, exacerbation of COPD, transport problems, and lack of motivation were major barriers to PR. Conclusions: Our study showed that an 8-week hospital-based PR program improved exercise capacity and quality of life but had a high dropout rate in individuals with COPD. Since comprehensive PR has only recently been established in South Korea, patient motivation and education are critical.

한국 지역사회 노인의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수면에 미치는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Programs on Sleep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s in Kore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김아린;채명옥;전해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186-19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한국 노인을 대상으로 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수면에 미치는 효과를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메타분석하는 것이다. 자료수집을 위해 PRISMA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 가이드라인에 따라 2016년 11월 20일까지 출판된 연구물을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각 기준에 따라 선별한 결과 총 7편이 메타분석 대상 논문으로 선정되었다. 자료 분석은 Comprehensive Meta-Analysis 3.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Q 검정을 통하여 연구들 사이의 동질성 여부를 검정한 후 개별 연구의 효과크기를 병합한 평균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을 대상으로 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인, 힐링요가, 에어로빅댄스, 아쿠아로빅스, 한국무용, 베하스 운동, 운동프로그램, 타이치 운동이 수면에 미치는 총 효과는 Hedges' g=0.577(95% Confidence Interval (CI):0.337~0.817)로 유의한 효과크기를 보였다. 신체활동 프로그램 중 베하스 운동프로그램은 Hedges' g=0.758(95% CI:0.248~1.267)로 노인의 수면에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타이치 운동프로그램이 Hedges' g=0.697(95% CI:0.071~1.324), 운동프로그램은 Hedges' g=0.650(95% CI:0.141~1.159)의 순으로 효과크기를 보였다. 그러므로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수면의 질 향상을 위한 간호학적 중재를 적용함에 있어, 노인의 수면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베하스 운동과 타이치 운동을 프로그램화 하여 적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노인의 수면에 유의한 효과를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된 중재프로그램의 내용 및 특성, 문제점 등을 분석하여, 향후 노인을 대상으로 한 중재 개발 시 고려할 필요가 있다.

실내·외 운동 환경의 차이가 노년기 여성의 골밀도와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door and Outdoor Exercise Environments on Bone Mineral Density and Body Composition in Old Women)

  • 길은경;양정옥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8호
    • /
    • pp.1085-1091
    • /
    • 2012
  • 본 연구는 실내 외 운동 환경의 차이가 노년기 여성의 골밀도와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65세 이상 노년기 여성으로 실내운동집단 13명, 실외운동집단 13명 두 그룹으로 나누었으며, 20주간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운동강도는 주3회, 1회 60분 동안 HRmax 50~70%, RPE 11~15로 점진적으로 증가시켰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골밀도의 결과 집단 내 변화에서는 실외운동집단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집단 간 변화에서는 실외운동집단이 실내운동집단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신체구성의 결과 집단 내 변화에서는 실내운동집단에서 체지방량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실외운동집단에서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량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집단 간의 변화에서는 체질량지수에서 실외운동집단이 실내운동집단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들을 살펴볼 때 20주간 실외운동환경에서의 운동프로그램은 골밀도와 신체구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덩더꿍 체조의 유산소 운동적 가치분석 (Analysis of Aerobic Values on Deong-Deokoong Gymnastic)

  • 노성규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7-25
    • /
    • 1985
  • To evaluate the values of Aerobic on Deong-Deokoong Gymnastic that is variated Korean folk dance, 9 college women (from Soph. to Junior) who learned Korean Dance for 2 hours by week were volunteered as subjects from Sept. 1st to Nov. 3rd, 1984. Heart- rate of Deong-Deokoong Gymnastic performances recorded by 8 channel poly-graph system. 1. Critical values of Heart Rate in healthy college women is 142.54 bpm (mean). 2. Mean H.R. of Deong-Deokoong the 1st is $166.5{\pm}13.19bpm$, the 2nd is $164.06{\pm}13.93bpm$, the 3rd is $145.89{\pm}18.81bpm$, and the 4th is $151.5{\pm}16.7bpm$. 3. The ratio (%) of exercise H.R. by that of Maximum in Deong-Deokoong the 1st is $82.27{\pm}9.78%$, the 2nd is $79.91{\pm}8.65%$, the 3rd is $76.13{\pm}8.65%$, the 3rd is $76.13{\pm}9.15%$, and the 4th is $76.18{\pm}9.41%$. 4. Deong-Deokoong Gymnastic has the optimum load intensity as on aerobic function training program.

  • PDF

자색고구마 섭취와 유산소 복합운동이 비만 여중생의 건강체력, 혈중지질 및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urple Sweet Potato intake and Aerobic Combined Exercise on Health Related Fitness, Blood lipid profile and Insulin resistance)

  • 손원목;김도연;성기동;백영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524-7533
    • /
    • 2015
  • 본 연구는 자색고구마 섭취와 유산소 복합운동이 비만 여중생의 건강체력, 혈중지질 및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체지방률 30% 이상의 비만 여중생을 대상으로 자색고구마섭취 운동군(A, 6명), 운동군(B, 6명), 자색고구마섭취군(C, 6명), 대조군(D, 6명) 총 24명으로 실시하였다. 건강체력, 혈중지질 및 인슐린 저항성은 사전 사후 2회 측정하였으며, 유산소 복합운동은 12주간 주 3회, 1회 70분, 40~70%HRR 강도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집단 내 체지방률[(A(p<.01), C(p<.05) 그룹), TC[A(p<.05), B(p<.01), C(p<.01) 그룹] 및 인슐린저항성[A(p<.05) 그룹)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제지방량[A(p<.01), B(p<.01) 그룹], 근력[A(p<.01), B(p<.001), C(p<.05) 그룹], 근지구력[A(p<.05), B(p<.001) 그룹], 유연성[A(p<.05), B(p<.01) 그룹] 및 심폐지구력[A(p<.05), B(p<.001), C(p<.01) 그룹]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집단 간 체지방률, TC 및 TG는 A그룹이 D그룹보다 유의하게(p<.05) 감소하였다. 제지방량은 A, B그룹이 C, D그룹보다 유의하게(p<.001) 증가하였다. 근력, 심폐지구력 및 HDL-C은 A그룹이 C, D그룹보다 유의하게(p<.05) 증가하였다. 유연성은 A, B그룹이 D그룹보다 유의하게(p<.05) 증가하였다. 인슐린 저항성은 A, B, C그룹이 D그룹보다 유의하게(p<.05) 감소하였다. 유산소성 복합운동과 자색고구마 섭취가 건강체력, 혈중지질 및 인슐린 저항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