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erial survey

검색결과 300건 처리시간 0.032초

차량용 지리조사 시스템의 효율성 분석 (Efficiency Analysis of Mobile Geographic Survey System)

  • 서상일;이병길;김종인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87-493
    • /
    • 2014
  • 수치지형도 제작 공정에서 많은 시간이 요구되는 지리조사는 지형 지물에 대한 보완측량 및 속성조사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장조사에 의존하고 있다. 선행 연구에서 현장조사와 후처리에 필요한 업무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연구로 위치기반 영상을 사용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참고하여 위치기반 영상을 획득하고 처리하기 위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군지역과 시지역의 1/5,000 도엽에 대한 지리조사를 수행하여 그 성과를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차량용 지리조사 시스템을 이용하여 현장조사를 대부분 대체할 수 있으며, 시지역에서는 작업시간이 37.5%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차량의 진입이 안 되는 지역에 위치하거나 주차된 차량에 의해 가려진 지형 지물의 속성은 보완조사가 필요하였다.

우리나라 전국자연환경조사 현황과 발전방안 (Status and Development of National Ecosystem Survey in Korea)

  • 김창회;강종현;김명진
    • 환경영향평가
    • /
    • 제22권6호
    • /
    • pp.725-738
    • /
    • 2013
  • The National Ecosystem Survey in Korea provides information to policy makers for preservation of natural environment and implementation of international agreement. The 1st and 2nd National Ecosystem Survey were carried out between 1986 and 1990, and between 1997 and 2005, respectively. The 3rd National Ecosystem Survey began in 2006 and ended in 2012. In 2013 the pilot survey for the 4th National Ecosystem Survey is ongoing. The 4th National Ecosystem Survey due to the revis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which has been done every 10 years would change into every five years. It is planned to be conducted from 2014 to 2018. The survey method of the 4th National Ecosystem Survey has been modified to obtain more accurate data for many taxa. The survey for a nocturnal animals will be introduced. In addition, monitoring by setting the grid will get quantitative data seasonally. The vegetation survey will be conducted with a mobile device contained files of aerial image maps including classified vegetation map. National Ecosystem Survey will be improved as follows. First, each survey methods suitable for the purpose should be developed. Second, monitoring methods for obtaining quantitative data should be developed. Finally, the research using the data should be developed in the field of not only ecosystem and biological diversity but also habitat assessment.

산림지역에서 LiDAR 측량의 정확도 평가 (Accuracy Evaluation of LiDAR Measurement in Forest Area)

  • 이상훈;이병길;김진광;김창재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45-553
    • /
    • 2009
  • 국가 공간정보 중 지형의 형태를 나타내기 위해 수치표고모형(DEM)을 사용한다. 수치표고모형을 생성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 중 항공 LiDAR를 활용한 방법은 지형의 변화에 신속하게 자료를 획득할 수 있고, 사진측량기법에 비해 기상조건에 따른 제약을 덜 받는다. 이러한 항공 LiDAR는 최근 국가공간정보의 제작에 다양하게 활용되기 시작하였으나, 다양한 식생이 우거진 한반도의 산림지역에서 일반적으로 평가되고 있는 항공 LiDAR 측량의 정확도가 얻어지는 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식생이 존재하는 산림지역을 연구대상지역으로 선택하여 수목의 특성에 따라 항공 LiDAR 자료의 정확도가 어떻게 다른지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낮은 식생이 존재하는 나대지를 포함하고 있는 지역과 이 나대지의 경계부분과 인접하고 있는 다양한 수목이 존재하는 산림지역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지역에 대하여 대상지역에 고르게 분포하도록 검사점을 선점하고 GPS 측량을 실시하였다. 이렇게 측량된 검사점과 항공 LiDAR 자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정확도 평가 결과, 활엽수 지역에서는 상당히 큰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항공 LiDAR 측량에서도 촬영시기를 낙엽이 떨어진 이후로 하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산림지역 조사 및 관리를 위한 무인항공 스캐너의 활용 (Utilization of Unmanned Aerial Scanner for Investigation and Management of Forest Area)

  • 이근왕;박준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1호
    • /
    • pp.189-194
    • /
    • 2019
  • 산림조사는 산림보전 및 산림자원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주기적인 데이터 취득과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산림조사는 단순한 산림의 현황을 파악하는 조사가 대부분이며, 공간정보로서 다양한 활용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인항공 스캐너를 이용하여 산림지역의 자료취득 및 처리를 수행하고, 성과물의 분석을 통해 효율적 산림조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무인항공 스캐너는 식생 하부의 지면을 추출할 수 있기 때문에 산림지역 관리를 위한 DEM을 효과적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기존의 사진측량방법에서 불가능한 정확한 지형 데이터의 생성으로 산림조사 및 관리를 위한 공간정보로써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산림지역에서 전력선과 식생간의 간격 측정이나 송전선로 관리에 이용될 수 있다. 식생의 조사를 위한 정확한 연직방향의 거리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 방법에 비해 수고측정의 정확도 및 작업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향후 무인항공 스캐너의 활용은 산림지역에서의 데이터 취득 효율성을 향상시킬 것이며, 기존의 인력에 의한 조사에 비해 정확도 개선 및 경제성 확보에 기여할 것이다.

드론을 활용한 고정밀 토공량 산출 시스템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High-precision Earth-work Calculating System using Drone Survey)

  • 김세원;김영석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87-95
    • /
    • 2019
  • 토공량 산출은 건설현장에서 최적 공사비 산정을 위한 데이터로 정확한 토공량은 토목 공사의 설계 단계에서 시공단계까지 고려되어야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토공량 산출을 위해서는 정확한 지형 자료와 정밀한 토공 부피 계산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짧은 시간에 정확한 지형 파악이 가능하고, 경제성 측면에서도 장점을 갖는 드론 측량 기술을 이용하여 고정밀 토공량 산출 시스템을 도출하였다. 시스템의 정확도 검증을 위해 현장 검증시험을 수행하였으며, 드론을 이용한 토공량 산출 결과와 GPS 측량 장비를 이용한 토공량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새롭게 개발한 토공량 부피 계산 알고리즘을 기존 항공사진측량 소프트웨어(Pix4D) 계산 방식과 비교하여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부등각사상변환을 이용한 저고도 UAV 영상의 지형보정 (Geocoding of Low Altitude UAV Imagery using Affine Transformation Model)

  • 김성삼;정재훈;김의명;유환희;손홍규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79-87
    • /
    • 2008
  • 위성측량이나 기존의 항공측량에 비해 경제적이면서 기상영향을 덜 받는 저고도 고해상 영상의 취득과 항공사진측량의 많은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신속한 맵핑을 위한 UAV(Unmanned Aerial Vehicle)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효율적인 지형보정에 관한 연구가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민간분야 활용을 위한 UAV의 높은 잠재력에 비해 최근까지 직접 지형보정과 같은 사진측량측면에서의 기술개발은 초기 단계에 머물고 있으며, 지속적인 연구와 추가적인 기술개발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최소한의 지상기준점 정보를 이용하여 간편한 부등각사상변환식과 부등각사상변환의 블록조정에 의해 자동으로 저고도 UAV 영상을 기하보정하는 기법을 제안하였으며, 상용 프로그램 처리결과와 비교를 통하여 UAV 정지영상 기하모형식으로서의 적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 PDF

해안 매립지에서 과거 해안선의 산정 (I): 항공사진의 이용 (Estimation of Historical Shorelines on a Coastal Reclaimed Land (I): The Use of Aerial Photographs)

  • 김백운;이창경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371-379
    • /
    • 2009
  • 본 논문은 매립지에서 과거의 해안선을 산정하는 방법과 문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우리나라 해안토지의 미등록 실태는 공유수면 매립 시 복잡한 토지소유권 분쟁을 초래할 수 있다. 과거의 해안선은 지적경계와 달리 해안선 정의에 대한 제도적 미흡과 더불어 해안선 변화의 특성으로 인하여 다양한 위치의 해안선이 제시될 수 있으며, 이는 해안빈지 및 포락지의 면적 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안정국가산업단지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이러한 문제를 저감할 수 있는 체계적인 해안선 조사 방법을 제시하였다. 해안선 변화가 없는 암반해안을 대상으로 매립 이전에 촬영된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조위에 근거하는 해안선을 산정하였다. 이를 지상 지형 측량 성과와 비교한 결과, 항공사진측량에 의한 해안선의 정확도는 신뢰할 만한 수준이었다.

세종 테스트베드에서 항측용 디지털카메라의 기하학적 검정 (Geometric calibration of digital photogrammetric camera in Sejong Test-bed)

  • 서상일;원재호;이재원;박병욱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81-188
    • /
    • 2012
  • 최근 항공측량분야에서 항측용 디지털카메라와 라이다 및 GPS/INS와 같은 센서들을 이용해 다양한 공간정보를 획득하고 있다. 또한 GPS/INS와 항측용 디지털카메라의 연계를 통한 Direct Georeferencing 기술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여러 센서의 결합에 따른 센서검정(Sensor Calibration)을 실시해야 하는 문제점이 따른다. 특히, 통합센서의 Boresight Calibration은 GPS/INS 항공삼각측량 및 Direct-georeferencing을 사용하는 작업절차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항공기용 센서의 검정을 위한 국가차원의 테스트베드를 세종시 부지에 설치하고 항공영상의 항공삼각측량에 의해 함께 사용되는 GPS와 INS 센서결합에 따른 정확한 검정을 수행하여 시스템 변수의 정의, 시스템적인 에러를 평가하고 Direct Georeferencing에 필요한 외부표정요소 직접결정을 위한 효율적인 방법의 조사와 통합된 센서의 정확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지질공원 모니터링을 위한 3D 공간데이터 구축과 데이터 교차활용 방안연구: 무인항공기와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3D spatial data generation and data cross-utilization for monitoring Geoparks: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and Virtual Reality)

  • 박해경;이동근
    • 지질학회지
    • /
    • 제54권5호
    • /
    • pp.501-511
    • /
    • 2018
  • 지질공원은 환경적 측면이나 유산적 측면으로도 보존가치가 높다. 이러한 지질공원의 보존과 보호를 위해서는 모니터링과 국민적 관심은 필수적이다. 무인항공기와 SfM 알고리즘의 활용은 인력대비 넓어 관리가 어려웠던 지질공원의 효과적인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해주며, 이로부터 파생되는 다양한 공간정보 데이터는 부족했던 지질공원 인지도 향상을 위해서도 활용이 가능하다. 우리는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한탄-임진강권역 국가 지질공원중 하나인 화적연을 사례로 하여 무인항공기와 SfM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3차원 공간데이터를 생성하여 화적연을 측량하였다. 그리고 이 데이터를 가상현실과 3D 프린팅에 적용하고 간단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지질공원 홍보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지질공원 모니터링을 목적으로 생성된 각 단계별 데이터들을 조사하고 지질공원의 홍보 및 연구를 위한 교차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도심소하천 식생조사에서 현장사진과 UAV 근적외선 영상의 비교평가 (Comparative Evaluation of UAV NIR Imagery versusin-situ Point Photo in Surveying Urban Tributary Vegetation)

  • 이정주;황영석;박성일;엄정섭
    • 환경영향평가
    • /
    • 제27권5호
    • /
    • pp.475-488
    • /
    • 2018
  • 현재 도심 소하천의 식생조사는 주로 현장조사에 의존하여 이루어진다. UAV NIR(Unmanned Aerial Vehicle Near Infrared) 영상은 매우 낮은 고도에서 취득할 수 있어 도심 소하천과 같이 폭이 매우 좁은 표적(10m 내외)에 필요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UAV NIR영상이 도심소하천의 식생 조사도구로서 검증되지 않아, UAV NIR 영상과 현장사진을 통합한 선행연구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원격탐사의 영역이 아니었던 국부적인 대상인 도심소하천 식생조사에서 UAV NIR 영상과 현장사진의 비교평가를 실시하였다. 하천 식생조사 결과를 실무에서 활용하는데 필요한 요구 사항을 고려하여 광역공간정보, 미시적인 정보 및 정량적인 데이터 확보 등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이 수행되었다. UAV NIR 영상은 전통적인 현장조사에서 취득할 수 없었던 거시적인 주변 환경(예: 인공적인 토지 이용에 따른 영향)에 따른 식생군집패턴의 변화를 추적할 수 있었다. 현장조사는 전세계적으로 도심 소하천 식생 모니터링 방법으로 정착되었지만, 거시적인 정보의 취득에서 상당한 한계를 노출하였으며 정량적인 정보를 확보하는 과정에서도 신뢰성에 한계를 노출하였다. 본 연구가 도심 소하천의 식생조사에서 거시적이고 정량화되고 객관적인 데이터가 부재하여 직면하였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계기가 되어 향후 UAV NIR 원격탐사에서 확보할 수 있는 정보의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