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ult occurrence season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17초

벼밤나방(Sesamia inferens (Walker, 1856))(나비목: 밤나방과) 성충 발생시기와 연중 세대수 추정 (Estimation of Adult Season of Occurrence and Annual Generation Numbers of the Asiatic Pink Stem Borer, Sesamia inferens (Walker, 1856) (Lepidoptera: Noctuidae))

  • 김은영;박영미;배순도;이관석;백채훈;김도익;이원훈;정진교;서보윤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2권4호
    • /
    • pp.227-243
    • /
    • 2023
  • The Asiatic pink stem borer, Sesamia inferens (Walker, 1856) (Lepidoptera: Noctuidae) is a pest that attacks rice stems. In this study, we estimated the annual generation of insect in several regions of the Republic of Korea. Adult trapping using a sex pheromone trap detected the occurrence of S. inferens adults in the three northernmost areas around 38° latitude and showed that the insect inhabits all of Korea. In most areas investigated, the seasons of the adult generations estimated using the single-sine degree-day model did not deviate from the corresponding observed seasons of adult occurrence. We estimated that the overwintering larvae hypothetically-estimated using the model could be originated from the last generation of adults. When larvae collected in paddy fields during the autumn season in a few middle and southern areas were reared at 25℃, ca. 70% of pupae did not show additional larval molting before their pupation. All larvae collected in early March in a southern area (Goseong, Gyeongsangnam-do) pupated without additional larval molting when reared at 25℃. Based on these results, we presumed that S. inferens could overwinter as mainly the last instar larval stage in the area. Taken together, we conclude that S. inferens primarily has two generations per year in areas around 38° latitude, and three generations in the areas between 35.3° and 37.3° latitude. In addition, approximately 35% of insects captured by the sex pheromone trap were species other than S. inferens, as determined by analyzing the nucleotide sequences of the cytochrome c oxidase 1 gene. These species were not morphologically misidentified as S. inferens.

시화호에서 보름달물해파리 Aurelia aurita (s.l.)의 개체군변동 (Population Dynamics of Jellyfish Aurelia aurita (s.l.) in Sihwa Lake)

  • 홍현표;한창훈;유정규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5권3호
    • /
    • pp.205-217
    • /
    • 2013
  • We investigated the population dynamics of Aurelia aurita in Sihwa Lake from April to October in 2009. Salinity ranged from 5.9 to 30.7 psu at the surface. Abundance of mesozooplankton ranged from 3 to 111,874 indiv. $m^{-3}$. Ephyrae occurred from April to May with the peak in abundance occurring on 17 April. Maximum density of ephyrae was observed near the power transmission towers that are known to be habitats of polyps. Mortality of ephyrae was lower than in other areas because of the abundant prey concentration and the absence of predators. Young medusae occurred from April to July with the peak in abundance occurring on 8 May. Adult medusae occurred from May to July with the peak in abundance on 25 June and they disappeared before the rainy season. Planula occurred only in May and June with the peak in abundance on 25 June. Growth rates of Aurelia aurita ranged from -0.06 to 0.34 $d^{-1}$, and decreased rapidly after May. The period in which adult medusa occurred was restricted, compared with those in other area in Korea (e.g., Masan Bay) and Japan (e.g., Tokyo Bay). In the period of this study, the available food was limited in June and salinity decreased to ca. 20 psu in May because of the beginning of the wet season. We assumed that the exceptionally short period of occurrence of the medusa may be a response of adults to changes in temperature, salinity or food limitation which leads to the precocious maturation of young medusa and the release of planula and that the brief occurrence of medusa was caused by an abrupt decrease in activity after the release of planula.

Diet composition and feeding strategy of John Dory, Zeus faber, in the coastal waters of Korea

  • Kim, Han Ju;Kim, Hyeong-Gi;Oh, Chul-Woong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4권1호
    • /
    • pp.54-61
    • /
    • 2020
  • Background: Most fish undergo prey switch from juvenile to adult. It is thought that slightly different feeding habits occur among adult fishes due to growth, spawning, habitat change, and so on. Therefore, the diet of the John Dory Zeus faber (≥ 24 cm TL) was studied in the coastal waters of Korea by analysis of stomach contents, with comparison by season and size class of diet composition and prey diversity. Monthly samples were taken from February 2017 to January 2018.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John Dory was a piscivorous predator, and pisces had occupied 82.3% of IRI%. Trichiurus lepturus and Trachurus japonicus were important preys in all size classes and seasons. Diet composition differed among the size classes and seasons (Chi-square test, P < 0.05). As body size of Z. faber increased, the occurrence of benthic fish (Glyptocephalus stelleri) tended to increase. The seasonal prey composition also changed depending on the abundant species of each season. Conclusions: Z. faber is a piscivorous predator. The consumption habits of Z. faber appear to different results by their size and seasons. This study suggests that Z. faber could be considered an opportunistic predator.

Prevalence of surgical affections with their clinical management in crocodiles (Crocodylus porosus) in Bangladesh

  • Arif, Abu S.M.;Hashim, M.A.;Runa, R.A.;Chowdhury, E.H.;Rahman, Md Siddiqur;Song, Hee-Jong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13-317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saltwater crocodile (Crocodylus porosus) for the occurrence of various surgical affections with their clinical management. During the period of January 2006 to June 2008, a total of 68 adult crocodiles were considered as reference population from the Reptiles Farm Ltd. at Bhaluka, Mymensingh. The occurrence of surgical affections of adult female (88.9%) was significantly (P<0.01) higher than male (11.1%). Prevalence of common surgical affections were wound: 72.2%, fibroma: 11.1% abscess: 5.6%, fracture: 5.6%, tail necrosis: 2.8%, myiasis: 2.8%. Wound was the highest among the affections. Among the identified wounds, biting wound was higher. In summer (57.7%) the occurrence of wound was higher compared to other seasons. In winter season (7.7%) the occurrence of abscess, myiasis, fibroma were higher compared to other seasons. Wounds and fibroma are the major surgical affections in salt water crocodile. The most common site of surgical affection was recorded in crocodile's tail (30.6%). It was suggested that minimal stress, allowing constant and easy access to water, removal of roots of the tree in the basking land of crocodiles pen, basking land of the pen is better filling up by sand, clinical surgical managements are essential for better health and production.

해충관리 수준이 다른 이앙재배 논에서의 거미의 발생과 개체군 동태 (Occurrence and Population Dynamics of Spiders in Transplanting Rice Fields under Different Levels of Pest Management)

  • 박홍현;이준호;김승태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5호
    • /
    • pp.287-293
    • /
    • 2005
  • 본 연구는 1996년부터 1998년까지 경기도 화성시 발안 지역의 이앙재배한 논에서 발생하는 거미의 개체군 동태 및 군집자료를 바탕으로 관행의 살충제 살포가 거미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3년간 조사에서 조사 포장들에서 거미군집은 연간 변이가 적은 안정된 발생을 보였으며, 발생밀도에서 천적군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최대 우점군이었다. 이 지역의 벼 생육기간동안 단위면적당$(0.25m^2)$ 평균 거미밀도는 약 10마리 정도였으며, 늑대 거미과(Lycosidae), 갈거미과(Tetragnathidae), 접시거미과(Linyphiidae)가 우점하였다. 거미군집의 밀도는 본답 초기에 벼의 이앙과 함께 이입으로 인해 형성되기 시작하여 중기부터 급격한 밀도 증가를 보이며, 후기에 최고밀도를 유지하다가 수확시기에 밀도가 감소하는 패턴을 가졌다. 특히, 비래 해충의 발생이 적었던 해에는 관행적인 살충제 살포에 의한 거미군집의 교란 효과가 적게 나타났다. 우점종인 황산적거미와 턱거미는 다소 다른 개체군 동태를 가졌는데, 황산적거미는 7월 중순부터 밀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후기에는 성체보다는 유체들의 발생비율이 높았던 반면, 턱거미는 8월 말부터 밀도가 급격히 증가하였고, 후기에 성체형태로 대부분 발견되었다.

고추포장에서 담배나방의 성충 발생소장과 약제방제 (Seasonal Occurrence of Oriental Tobacco Budworm (Lepidoptera: Noctuidae) Male and Chemical Control at Red Pepper Fields)

  • 양창열;전흥용;조명래;김동순;임명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49-54
    • /
    • 2004
  • 고추의 주요 해충인 담배나방은 유충이 과실 속에서 가해하기 때문에 방제가 어려운 해충이다. 수원지역의 고추 포장에서 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성충의 발생소장을 조사한 결과 전체 발생기간은 5월 하순부터 10월 상순까지였으며 각 세대의 발생 최성기는 6월 하순, 7월 하순 8월 상순, 8월 하순 9월 상순이었다. 월동세대와 1세대 성충 발생기간 중에 트랩유인 수준은 그 이후에 발생하는 유충에 의한 과실의 피해정도를 잘 반영하였다. 그러나 고추 생육후기에 발생하는 2세대의 경우 트랩에 유인되는 성충의 수는 매우 많았으나 유충에 의한 피해율은 그다지 높지 않았다. 페로몬 트랩으로 조사된 세대별 성충 발생시기에 관한 정보를 토대로 약제방제 시험을 수행한 결과, 각 세대별 성충 발생 최성기를 중심으로 연 5회에 걸쳐 살충제를 살포하면 유충에 의한 과실 피해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화명나방의 발생양상 변동에 관한 연구 (Changes in the Occurrence Pattern of the Striped Rice Borer, Chilo suppressalis Walker, in Korea)

  • 이승찬;박해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49-257
    • /
    • 1991
  • 우리나라 33개 예찰소를 대상으로 1968년부터 1989년까지 지역별 이화명나방의 발생시기 및 발생량의 변동과 이앙시기에 따른 성충과 유충발생 및 피해와의 관계, 이앙시기별 월동유충의 우화율 등의 관계를 조사 분석한 결관느다음과 같다. 이화명나방의 발생시기 변동을 보면 1968~1972년에 비하여 1985~1989년에는 1화기 발생이 30일 가량 앞당겨진 지역이 광주이고, 20~25일이 상주, 나주이며, 10~15일이 울진, 지누, 고양, 밀양, 김제, 고창등 11개지역이고, 5일정도 앞당겨진 지역은 수원, 진천, 대전, 남원, 해남등 10개지역이며, 지금까지 발생시기 변동이 별로 엇는 지역은 원성, 충주, 서산, 영주, 논산 등지이다. 또한 2화기의 발생이 20일 가량 앞당겨진 지역이 울진이고, 15일이 충주, 영덕, 함천이며, 영주를 제외하고는 그 밖의 대부분지역이 5~10일 정도 더 빨리 발생하였다. 전국 이화명나방 발생량 변동을 보면 1969~1972에 비하여 195~1989년에는 1화기 발생량이 전국적으로 감소하였으나 2화기에는 중부, 서남부일부 지역에서, 특히 광주, 나주, 대구 등지가 3배이상, 진주, 밀양, 공주 등지는 2배 가량 증가하고, 상주, 청주, 김제 등 8개 지역에서 모두 증가한 반면, 보은, 서산, 논산, 해남 등 19개지역은 감소하였다. 이앙시기를 달리한 포장에서는 유충 발생밀도를 보면 1화기는 이앙이 빠른 포장일수록 발생이 빨고 발생량도 많으며, 2화기의 유충은 중기이앙답(5월 30일)에서 유충발생이 빠르고 peak도 빨리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5월 15일, 6월 15일, 4월 30일 순으로 나타났다. 대체적으로 성충발생 peak보다 유충발생 peak는 1화기에는 15일, 2화기에는 10일 정도 후에 나타났다. 이앙시기별 이화명나방의 발생피해는 1화기에는 조기 이앙할수록 피해가 더 심하지만, 2화기에는 증기이앙시(5월 30일)에 피해가 가장 심하였다. 이앙시기별 월동전 평균 유충체중은 조기이앙답이 65.6 mg, 중기 이앙답이 61.2 mg, 후기이앙답이 55.5 mg의 순으로 낮았다. Field cage내에서는 이앙시기별 월동유충의 우화율은 평균 28.3%~39.8%로 매우 낮은 편으로 빨리한 이앙답일수록 월동유충의 체중이 무거웠고 제중이 무거울수록 우화율이 높은 편이었다. 이앙시기별 월동유충에서 우화시기까지의 기간은 조기이앙답이 44일, 중기이앙답이 47일, 후기 이앙답이 51일간으로 늦게 이앙할수록 기간이 더 긴 경향이었다.

  • PDF

동백가는나방(Caloptilia theivora)의 생활사, 발생소장 및 천적의 종류 (Life History, Seasonal Occurrence and Natural Enemies of Caloptilia theivora (Lepidoptera: Gracillariidae) at Tea Tree Plantation)

  • 이승찬;김상수;김도익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29-233
    • /
    • 1995
  • 우리나라 주요 녹차재배지에 발생하는 동백가는나방(차굴나방 전가칭. Caloptilia theivora (Walshingham))의 생활사와 발생소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동백가는나방은 야외 사육상 조건에서 년 6세대 경과하였는데, 난에서 우화까지의 평균기간은 봄.가을에는 32.1~38.6일, 여름에는 24.8~32.7일이었으며, 성충수명은 봄.가을에 8.4~14.5일, 여름에는 6.3~8.6일이었고 산란수는 55~71개였다. 유충의 연중 발생소장을 보면, 1992~1993년에는 5월 중순에 발생 peak를 보이기 시작하여 3~4회의 peak가 나타났으나 1994년에는 발생량이 감소하여 초기에는 뚜렷한 발생 peak가 나타나지 않다가 9월 하순~10월 초순에 발생량이 가장 많았으며, 잎에서 용태로 월동하였다. 동백가는나방의 유증기생봉으로는 Stenomesius japonicus (Ashmead). Sympiesis ringoniellae Kamijo, S. dolichogaster Ashmead와 Elasmus sp.등 4종이 채집 동정되었으며, S. dolichogaster가 우점종이다.

  • PDF

Seasonal Occurrence and Control of Rice Skipper, Parnara guttata Brener et Grey (Lepidoptera: Hesperiidae) in Paddy Field

  • Choi, Man-Young;Lee, Geon-Hwi;Paik, Chae-Hoon;Seo, Hong-Yul;Kim, Jae-Duk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37-339
    • /
    • 2005
  • 익산지역에서 벼 줄점팔랑나비(Parnara guttata)는 1년에 3세대를 경과하며, 5월중 하순부터 월동처에서 우화하여 논으로 이동한 다음 벼 잎에 산란하기 시작하였다. 유충에 의한 벼의 피해는 7월 하순부터 증가하여 8월 중 하순 사이에 가장 많은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3세대 성충이 우화하기 시작하는 시기는 9월 중순이었다. 벼의 이망시기와 줄점팔랑나비에 의한 피해는 만식한 논에서 켰다. 살충제를 유충발생 최성기 약 1주일 전인 7월 하순에 처리하였을 때 91.2%의 방제효과를 나타낸 반면 8월 초순에 처리할 경우에는 방제효과가 57.2%로 낮았다.

헤어리베치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발생양상 및 기주에 따른 발육 및 선호성 (Seasonal Occurrence, Development and Preference of Riptortus pedestris on Hairy Vetch)

  • 서미자;권혜리;윤규식;강민아;박민우;조신혁;신효섭;김세희;강은진;유용만;윤영남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47-53
    • /
    • 2011
  • 충남 아산의 보리와 헤어리베치가 혼작된 포장과 대전 유성의 헤어리베치 포장에서 5월 중순부터 채종 후인 7월 중순까지 집합페로몬트랩을 이용해 유인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발생양상을 조사한 결과, 종자의 결실이 이루어지는 6월 하순부터 포장내로 유입되어 들어오는 개체수가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나 7월 중순 채종작업이 끝나면서 유입개체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후에도 11월 초까지 계속적으로 유인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헤어리베치 포장에서는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외에도 닮은수염노린재, 알락수염노린재, 변색장님노린재, 실노린재를 포함한 총 33종의 노린재목 곤충이 채집되어 많은 종류의 노린재류들이 서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내에서는 헤어리베치를 먹이로 제공하였을 경우에는 정상적인 발육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4령 약충 이후부터 생존율이 감소하고 성충으로의 우화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먹이 선호성에 있어서도 헤어리베치보다는 콩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헤어리베치는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가 정상적인 발육을 하면서 개체군을 발달시키기에 적합한 기주식물로 판단되지 않으며, 종자결실기에 맞춰 종자를 흡즙하기 위한 방문서식처로서 작용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