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jective

검색결과 266건 처리시간 0.021초

영어 트위터 감성 분석을 위한 SentiWordNet 활용 기법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Using SentiWordNet for English Twitter Sentiment Analysis)

  • 강인수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317-324
    • /
    • 2013
  • 트위터 감성 분석은 트윗글의 감성을 긍정과 부정으로 분류하는 작업이다. 이 연구에서는 SentiWordNet(SWN) 감성 사전에 기반한 트윗글 감성 분석을 다룬다. SWN은 전체 영어 단어에 대해 단어의 의미별로 긍정, 부정의 감성 강도를 저장해 둔 감성 사전이다. 기존 SWN 기반 감성 분석 연구들은 문서에 출현하는 각 용어의 감성을 SWN으로부터 결정한 다음 이를 바탕으로 문서 전체의 감성을 결정하였는데, 그 방법들이 매우 다양하다. 예를 들어, 한 용어의 감성 결정 시 해당 용어의 SWN 내 의미별 긍정, 부정 감성 강도 차이들의 평균을 계산하거나 긍정과 부정 각각의 감성 강도 평균 혹은 최대값을 구하기도 하며, 문서 전체의 감성을 결정하는 경우에도 문서 내 용어들의 감성 값들에 대해 평균 혹은 최대값을 취하기도 하였다. 또한 SWN 내 형용사, 동사, 명사, 부사의 품사 집합 전체 혹은 특정 부분집합에 대해 위의 감성 결정 작업을 적용하기도 한다. 이처럼 기존 연구에서는 SWN 기반의 다양한 감성 자질 추출 절차가 시도되고 있으나 이들 자질 추출 기법 전반에 대한 성능 비교 연구는 찾기 힘들다. 이 연구에서는 SWN을 트위터 감성 분석에 활용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일반화하는 절차들을 소개하고 각 방법들의 성능 비교 및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지역이미지 활성을 위한 사운드 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ound Design to Improve Regional Image -Focused on the Jeonju Area-)

  • 김미숙;정성환;형성은
    • 감성과학
    • /
    • 제10권4호
    • /
    • pp.613-622
    • /
    • 2007
  • 최근 사운드 디자인은 기업에서 제품에서부터 마케팅, 웹에 이르기까지 기업이미지를 고려한 기억에 남을 만한 경험의 멜로디를 디자인하여 사용하고 있고, 생활환경이나 공공시설 등 여러 분야에서도 사운드가 각 분야의 아이덴티티 확립에 필요한 요소로 사용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시대를 맞이하여 각 지자체에서는 지역 활성화를 위한 지역 아이덴티티의 확립에 지역의 정체성 확보와 지역의 잠재력, 자원을 활용한 지역개발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도시이미지 제고를 위해 지역이미지통합사업(CIP) 등 적극적인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련의 사업들은 시각적인 측면에 치우치거나 인식의 부족으로 인하여 아이덴티티 구축에 한계가 있다. 소리의 고장인 전주에 소리에 관련된 축제와 대회가 많이 개최되고 있으나, 정작 소리에 대한 아이덴티티가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전주만의 특색 있는 소리의 조건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지역이미지 활성화를 위한 아이덴티티 구축에 필요한 요소로서 활용될 수 있도록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 의 소리 이미지를 찾기 위한 소리 샘플은 지역민이 가장 선호하는 자연의 소리 중 한국의 아름다운 소리100을 사용하였다. 이중 선호 샘플을 추출하여 각 샘플에 대한 형용사이미지를 설문을 통해 요인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전주지역의 특색 있는 소리이미지 요인으로는 조화, 강약, 대비, 문화성을 고려한 밝고, 경쾌하며, 편안한 소리 이미지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이는 지역이미지 활성화를 위한 아이덴티티 구축에 필요한 요소로서 활용될 수 있도록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 PDF

도로경관 설계를 위한 감성요인 추출 방법에 관한 연구 (Abstraction Method of Sensibility Factors for Streetscape Design)

  • 이병주;김명수;조경도;남궁문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51-61
    • /
    • 2010
  • 경제성장과 함께 삶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도로 계획 및 설계분야에서도 기능 중심의 설계에서 이용자들의 시각 및 심리적 특성인 감성을 고려한 경관 중심의 설계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하게 조사된 감성형용사들을 개인의 감성인지 특성 차이를 최소화 하면서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추출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어의구별법(Semantic Differential)의 5점 척도에 의해 조사된 감성형용사를 바탕으로 기존 연구에서 사용한 요인분석과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판별분석을 통해 감성형용사를 추출하고 상관 분석을 통해 대표적인 감성형용사를 추출한 후 수량화 I 모형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구축된 수량화 모형을 이용하여 만족도를 예측한 후 실제 관측 만족도와의 쌍체비교 검증을 통하여 판별 및 상관분석에 의한 방법이 실제 관측 만족도와 가장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어 연속적인 도로경관 설계시 판별 상관분석에 의해 적용가능한 감성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적합한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조등 조도변동에 대한 운전자의 인식연구 : 3. 운전자의 심리적 특성 (A Study on Driver's Perception over the Change of the Headlamp's Illuminance : 3. Driver's psychological property)

  • 김현지;김현진;김기훈;김훈;안옥희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19-26
    • /
    • 2006
  • 본 연구는 전조등 밝기변화에 따른 운전자의 심리적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심리평가를 실시하였다. 피험자는 20대 남, 녀 각각 20명 총 40명이며, 실험조건은 파형, 전압, 변동시간으로 구성한 32개 조건이다. 평가는 8개의 주관적 평가항목과 19쌍의 형용사로 구성된 5점 SD척도의 평가지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SD법의 심리평가 결과, 요인분석에서 4요인으로 나타났으며, A파형은 안전감과 자극감 요인에서, B파형은 안전감 요인에서 유의차가 나타났다. 또한 A파형은 안전감 요인에서 12[V], 자극감 요인에서 11[V]가 전압변동의 한계치로 나타났으며, B파형에서는 안전감 요인이 12.6[V]가 한계치로 나타났다. 2. 주관적 평가 결과, A파형의 밝기변화의 한계치는 12[V]로 나타났다. 또한B파형의 밝기변화는 12.67[V], 불쾌감은 12.12[V], 어두워짐에 대해서는 12.71[V]가 전압변동의 한계치로 나타났다. C파형의 밝기변화의 한계치는 12[V]로 나타났다.

TV 화질에 대한 감성평가척도 개발 (Development of Emotion Assessment Scale in Evaluation of Television Picture Quality)

  • 장은혜;최상섭;이경화;손진훈
    • 감성과학
    • /
    • 제12권1호
    • /
    • pp.121-128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TV 화질에 대한 사용자들의 심리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화질평가척도를 개발하고, TV 화질의 심리 특성과 물리적 특성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TV 화질과 관련된 형용사 152개 중 집단설문(남녀 대학생 80명)을 통하여 TV 화질을 잘 표현하는 형용사로 19개의 형용사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형용사는 다음과 같다; '깔끔하다-지저분하다', '깨끗하다-더럽다', '산뜻하다-침울하다', '편안하다-긴장된다', '매끄럽다-거칠다', '밝다-어둡다', '화려하다-수수하다', '변화스럽다-단조롭다', '자연스럽다', '감각적이다', '만족스럽다'. 126명의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들 형용사의 유사성 평정을 실시하고, 유사성 점수에 대하여 요인분석(주성분분석, oblique 회전)을 실시한 결과, '깔끔함' 차원과 '화려함' 차원으로 분류되었다. 그리고 31명의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TV 화질에 대한 감성과 물리적 특성과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TV 화질에 대한 감성 형용사들은 밝기, 명암, 색농도와 색상의 변화에는 민감하였으나, 선명도의 변화에는 민감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사회복지사와 타분야 원조전문직 간 대중이미지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Public's Image on Helping Professions: Comparison between Social Welfare Professional and Other Professionals)

  • 강철희;최명민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1호
    • /
    • pp.171-197
    • /
    • 2007
  •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사회복지사가 어떤 이미지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파악하면서 향후 사회복지전문직이 나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고등학생, 대학생, 일반인 1,156명을 대상으로 16개의 형용사 쌍으로 구성된 어의미분척도(semantic differential scale)를 활용하여, 사회복지사를 포함한 의사, 간호사, 상담심리사 및 목회상담가 등의 5개 원조전문직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을 비교차원에서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사회복지사는 5개 원조전문직 중 가장 긍정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전문직으로 나타났다. 대응분석을 활용했을 때, 사회복지사의 대표적 이미지는 실제성과 편안함이라는 이미지와 가장 근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존에 논의되어 온 바와 같이,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은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 이미지를 놓고 분산분석을 한 결과에서는, 사회복지사와 다른 원조전문가들 중 상담심리사가 사회복지사와 변별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복지사에 대한 이미지에만 초점을 두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MANOVA를 통해 분석했을 때, 성별만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조사결과에 기초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긍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하는 성과를 거두어온 사회복지사가 앞으로 전문성 강화를 위하여 학문내적인 차원, 교육 차원, 실천현장 차원, 대사회적 홍보 및 연구 차원에서 다각적이고도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필요함을 논의한다.

  • PDF

도시공원에서 벤치의 시각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Visual Satisfaction of Benches at Urban Park)

  • 유상완;권상준;정정섭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88-96
    • /
    • 200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reference and visual characteristic of user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benches at urban community parks. The types of benches are separated into four patterns and located in four representative places at urban community parks. Each relations between visual preference and adjective related factors are calibrated by the estimated results of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oreover,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visual preference are obtain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o calibrate the each factors significant level, the method of multivariate variance analysis is appl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zrized as belows: 1. Four types of factors which consist the visual characteristic are classified as emotional factor of visual images(aesthetic factor(F1), texture related factor(F2)) and physical factor(physical factor(F3), transformable factor(F4)). Each factor's eigenvalue is appears as 5.27∼1.78 and the eigenvalue of emotional factor of visual images is more higher than the physical factor. 2.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visual preference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benches(X21) and aesthetic factor(f1) is estimated as 0.79, which is highest value among the four factors.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texture related factor(f2), physical factor(F3) and transformable factor(F4) is estimated as 0.14, 0.04 and 0.08 respectively. 3. The visual preference of user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benches is greatly affected by the emotional factor of visual images(F1, F2) and the physical factor(F3, F4) are poorly rel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effective guidelines for the location of leisure facilities. Moreover the design and planning of leisure facilities at the urban community park have to be reexamined. What must be examined from now on is as follows: First, the preference research of rest facilities in the urban park through the multiple approach must be carried out continuously. Second, the research about the visual quality of the environmental sight observed in sitting on the bench as well as the visual quality of the showed object and place needs to be supported. Nevertheless, through this study the utilization into the useful data of the plan and the design for the systematic disposition of landscape architecture equipments centered on the users can be expected.

  • PDF

색채조화의 정량적 감성평가에 기초한 이미지 검색법 (An Image Retrieval Method based on Quantitative Emotion Evaluation on Color Harmony)

  • 김돈한;정재욱
    • 감성과학
    • /
    • 제15권1호
    • /
    • pp.87-96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감성적 요구에 적합한 이미지를 탐색한 후 문-스펜서(P. Moon&D. E. Spencer)의 색채 조화론에 기초하여 조화의 정도가 가장 높은 이미지들을 순위별로 제시하는 이미지 검색법을 제안하였다. 이미지 검색은 키워드로 주어진 감성어휘와 관련된 색채성분이 가장 많이 포함된 이미지 화상을 검색하여 미도(Aesthetic Measure)를 계산한 후 순위별로 제시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문-스펜서의 색채 조화론을 적용한 이미지 검색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200개의 샘플 이미지를 대상으로 시스템이 제시한 미도순위와 사용자 만족도 평가에 의한 순위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15개의 감성어휘별로 시스템이 출력한 이미지들의 미도 순위에 대한 실험 참가자들의 평균 만족도는 7점 척도 중 5.0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스템이 산출한 이미지들의 미도 순위와 설문 참가자가 평가한 만족도 순위 사이와의 일치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감성어휘 'Clear'를 제외한 14개의 어휘 모두에서 상관계수 0.5 이상의 양호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로부터 문-스펜서의 색채 조화론을 바탕으로 제안한 감성검색법이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시각자극의 검색에 있어서도 사용자의 감성을 적절히 반영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지능형 알고리즘 기반 RGBW Dimming control LED 감성조명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RGBW Dimming Control Sensitivity Lighting System based on the Intelligence Algorithm)

  • 오성권;임승준;마창민;김진율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359-364
    • /
    • 2011
  • 본 연구는 감성 공학과 인공 지능 알고리즘의 하나인 퍼지 추론을 이용하여 LED 색온도 제어시스템의 체계적인 제어를 위한 퍼지 추론 기반 LED 감성 조명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감성공학 영역에서 하나의 형용사 언어로 표현되는 감성과 색상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감성언어를 결정하고, 인간의 뇌에서 나오는 뇌파의 파장과 색온도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수업과목의 종류를 결정한다. 결정된 감성언어와 수업과목의 종류를 이용하여 RGB LED의 색온도를 조정한다. 더불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로 위도와 경도의 정보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태양의 고도를 산출하고, 온도 및 습도센서의 정보를 이용하여 불쾌지수를 산출한다. 결과로 나온 태양의 고도와 불쾌지수의 변화에 따라 LED 조명시스템의 White LED의 조도와 RGBLED의 색온도를 조정한다. 개발된 LED 감성조명 시스템은 상황에 알맞은 분위기를 연출함으로써 학습능력과 업무능력의 효율 향상 등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게임 캐릭터의 성격 정의를 위한 자아 상태와 5대 성격 요인의 연관성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Ego-state and Five Factor Model for Game Character's Personality)

  • 김미선;고일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75-83
    • /
    • 2015
  • 플레이어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서 보다 현실감 있는 캐릭터의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캐릭터 디자인 단계에서 성격을 적용하여 사람처럼 행동하는 캐릭터가 필요한 시점이다. 그러나 기존 게임 캐릭터는 개발 단계에서 성격이 정해진 것이 아니므로 사람과 비슷한 행동을 하고 표현을 하는 캐릭터를 창출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게임 캐릭터에 적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5대 성격요인과 자아 상태의 연관성을 증명한다. 5대 성격요인과 자아 상태는 모두 사람의 성격적인 특성과 관련된 이론이다. 5대 성격요인은 사람의 내부적인 특성을, 자아 상태는 외부적으로 관찰 가능한 사람의 특성을 중점으로 하고 있다. 이점에서 두 이론은 어떠한 특성을 정의하고 이에 따라 행동하도록 설계된 캐릭터에 적용하기 적합하다. 즉, 5대 성격요인의 성격에 따라 설정되고, 자아 상태를 이용하여 이 성격에 따른 행동을 표현하는 캐릭터를 개발할 수 있다. 이 작업을 위해서는 우선 두 이론에 관련이 있음을 밝혀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기존 성격연구에 활용된 방법론인 형용사 체크리스트를 이용해 두 이론의 연관성을 밝혀내고 이 결과를 설문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향후 이 두 이론의 연관성에 따른 성격 모델을 구축하여, 캐릭터가 성격에 따라 행동하는 즉, 사실적 행위에 기반을 둔 캐릭터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