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aptability to College

검색결과 251건 처리시간 0.024초

부모와의 심리적 독립과 가족의 적응성이 자녀의 대학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Parents and Family Adaptability on Child's Adjustment to College)

  • 조윤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8권2호
    • /
    • pp.17-26
    • /
    • 2010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parents, family adaptability, and child's adjustment to college, in order to assess general standards and sex difference. It also investigated explaining variables on children's adjustment to college. The study subjects were 243 college students(male students; 123, female students; 120).The data collected from questionnaire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parents of college students were lower than those of average score. But family adaptability and adjustment to college of stud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average score. Secondly,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parents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adjustment to college, but family adaptabil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adjustment to college. Finally, variables that explain child's adjustment to college was cohavitation with parents and family adaptability. In addition to these variables,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parents was a major factor for female students.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대학생활 적응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ocial Support and Adaptability to College Life on Teacher's Efficacy)

  • 최인숙;박유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332-34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대학생활 적응과 교사 효능감의 수준과 관계를 분석하고 사회적지지 및 대학생활 적응이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와 충청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3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 유아교사 39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 된 연구도구는 사회적지지 척도, 대학생활 적응 척도, 교사효능감 척도(STEBI)를 예비유아교사에게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및 대학생활 적응, 교사효능감은 모두 3점 이상으로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및 대학생활 적응, 교사효능감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및 대학생활 적응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과대학과 의학전문대학원생들의 진로적응성에 따른 직업관, 진로선택, 전공미결정요인 비교 (Work Value, Career Choice, and Specialty Indecision Based on Career Adaptability of Medical College and Graduate School Students)

  • 천경희;박영순;이영환
    • 의학교육논단
    • /
    • 제14권2호
    • /
    • pp.69-77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medical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 school students with regard to the factors that shape career choice and specialty indecision. One hundred and thirty-three students from a medical school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tudents completed a survey, which collected information on career choice, specialty indecision, and career adaptabilit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high and low career adaptability groups in factors that affected specialty choice and indecision. Students with high career adaptability were significantly more affected by 'intellectual content of specialty,' 'ages and characteristics of patients,''patient contact experience during the early years of medical school,' and 'greater opportunity for research.' Among the specialty indecision factors, students with high career adaptability were affected by 'several specialties equally appealing to me' and 'many interests,' while students with low career adaptability were affected by being 'unaware of my abilities,''unaware of my interests' and having 'learned my choice was not possible for me.' The factor having the greatest influence on specialty indecision was 'need more information and support,'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se factors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development of career counseling and education programs need to be designed for medical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in terms of career adaptability and specialty indecision.

Assessment of surface ship environment adaptability in seaways: A fuzzy comprehensive evaluation method

  • Jiao, Jialong;Ren, Huilong;Sun, Shuzheng
    • International Journal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 /
    • 제8권4호
    • /
    • pp.344-359
    • /
    • 2016
  • Due to the increasing occurrence of maritime accidents and high-level requirements and modernization of naval wars, the concept of ship environment adaptability becomes more and more important. Therefore, it is of great importance to carry out an evaluation system for ship environment adaptability, which contributes to both ship design and classification. This paper develops a comprehensive evaluation system for ship environment adaptability based on fuzzy mathematics theory. An evaluation index system for ship environment adaptability is elaborately summarized first. Then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and entropy weighting methods are applied to aggregate the evaluations of criteria weights for each criterion and the corresponding subcriteria. Next, the multilevel fuzzy comprehensive evaluation method is applied to assess the ship integrative environment adaptability. Finally, in order to verify the proposed approach, an illustrative example for optimization and evaluation of five ship alternatives is adopted. Moreover, the influence of criteria weights, membership functions and fuzzy operators on the results is also analyzed.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계획된 우연기술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Adaptability)

  • 박윤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89-9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계획된 우연기술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진로적응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3, 4학년 학생 256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회귀분석방법을 이용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계획된 우연기술과 진로적응성 간에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계획된 우연기술은 진로적응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계획된 우연기술과 유연성을 제외한 계획된 우연기술의 모든 하위요인들이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진로적응성 강화를 위하여 진로준비행동과 계획된 우연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창의적 리더십, 자아효능감이 학교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 일 간호대학을 중심으로 (Influence of Creative Leadership and Self-Efficacy on College Adaptability : Focused on a Nursing College)

  • 최미정;허명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487-49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 리더십과 자아효능감이 간호대학생들의 학교적응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를 위해 G시의 간호대학 학생들 380명을 대상으로 창의적 리더십 검사, 자아효능감 검사, 학교적응력 검사가 진행되었으며 SPSS24.0 프로그램을 통해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학교적응력은 자아효능감, 그리고 창의적 리더십의 하위변인인 개인적 리더십, 사회적 리더십, 문제해결적 리더십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상관관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변인들을 중심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교적응력에 주는 변인은 개인적 리더십, 사회적 리더십, 그리고 자아효능감 순으로 나타났으며 41.1%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중국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진로적응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on Chinese College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 : Based on the Mediating Role of Career Adaptability-)

  • 유륜륜;고정;왕수양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389-399
    • /
    • 2023
  • 요즘에는 중국 대학생들의 창업 의지가 동기부여 행동의 초점이 되고 있지만 기존의 선행연구들은 사회적 지지가 중국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실제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 연구는 드물다.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 대학생들의 창업 의지를 증진시키고, 사회적 지지와 창업 의지 사이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의 매개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중국에서 민영 경제 1위인 저장성(浙江省)은 강력한 경제 발전 동력과 혁신적인 창업 분위기를 갖추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저장성 소재 4년제 대학교의 3-4학년 대학생 194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사회적 지지, 진로적응성, 창업의지 척도를 활용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측정 변수 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SPSS26과 Stata17SEM builder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정량화 및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사회적 지지가 창업의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진로적응성과 각종 하위변수를 통해 간접적으로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는 진로적응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진로적응성은 창업의지에 긍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의 창업교육과 진로적응성 등 관련하여 이론적 및 실무적인 시사점과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멀티미디어콘텐츠 전공 대학생의 성격강점과 진로관여행동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The Effect of Character Strength, Occupational Engagement on Career Adaptabilit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Multimedia Content)

  • 이정희;김치용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861-87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멀티미디어콘텐츠 전공을 선택한 대학생의 성격강점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진로관여행동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 일 대학의 멀티미디어콘텐츠 관련 전공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성격강점 척도, 진로관여행동 척도, 진로적응성 척도를 설문조사하였고, 총 446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 대학생의 진로적응성이 여자 대학생에 비해 높았다. 둘째, 멀티미디어콘텐츠 전공 대학생의 성격강점은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멀티미디어콘텐츠전공 대학생들의 성격강점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진로관여행동은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여대생의 진로적응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지원이 필요하고, 성격강점의 개발과 함께 진로관여행동을 늘리는 것이 진로적응성을 높이는데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Emotion-Based Control

  • Ko, Sung-Bum;Lim, Gi-Young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0년도 춘계 학술대회 및 국제 감성공학 심포지움 논문집 Proceeding of the 2000 Spring Conference of KOSES and International Sensibility Ergonomics Symposium
    • /
    • pp.306-311
    • /
    • 2000
  • We, Human beings, use both powers of reason and emotion simultaneously, which surely help us to obtain flexible adaptability against the dynamic environment. We assert that this principle can be applied into the general system. That is, it would be possible to improve the adaptability by covering a digital oriente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with analog oriented emotion layer. In this paper, we proposed a vertical slicing model with an emotion layer in it. And we showed that the emotion-based control allows us to improve the adaptability of a system at least under some conditions.

  • PDF

대학생 자녀와 부모의 가족결속력과 가족적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of College Students and Parents)

  • 박안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539-550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생 자녀와 그들 부모 간에 가족결속력 및 가족적응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어떤 요인들이 가족결속력과 가족적응력에 영향을 미치는 지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일 대학의 대학생 자녀 197명과 그들의 부모 19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기술통계와 t-검정, ANOVA를 이용한 차이검증, 요인분석,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 등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가족기능지수는 10점 만점에 평균 $7.42{\pm}2.28$이었으며, 정상 가족기능군은 65.48%였다. 대학생 자녀와 부모의 가족결속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가족적응력은 훈육(t=-3.100, p<.01)과 역할(t=.212, p<.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학생 자녀의 가족적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족 간의 가족활동의 공유, 정서적 친밀감 및 가정행사 모임이었으며, 45.9%의 설명력을 보였다. 부모의 가족결속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사분담, 가족 간의 정서적 친밀감 및 가정행사 모임이었으며 이들은 51.4%의 설명력을 보였다. 따라서 대학생의 가족적응력은 가족간 정서적 친밀감 및 가정행사 모임과 더불어 가족활동의 공유가 중요하고, 부모의 가족결속력은 가족 간 정서적 친밀감 및 가정행사 모임과 더불어 가사분담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