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ute type B aortic dissection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19초

Mid-Term Results of Thoracic Endovascular Aortic Repair for Complicated Acute Type B Aortic Dissection at a Single Center

  • Hong, Young Kwang;Chang, Won Ho;Goo, Dong Erk;Oh, Hong Chul;Park, Young Woo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4권3호
    • /
    • pp.172-178
    • /
    • 2021
  • Background: Complicated acute type B aortic dissection is a life-threatening condition with high morbidity and mortalit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port a single-center experience with endovascular stent-graft repair of acute type B dissection of the thoracic aorta and to evaluate the mid-term outcomes. Methods: We reviewed 18 patients treated for complicated acute type B aortic dissection by thoracic endovascular aortic repair (TEVAR) from September 2011 to July 2017. The indications for surgery included rupture, impending rupture, limb ischemia, visceral malperfusion, and paraplegia. The median follow-up was 34.50 months (range, 12-80 months). Results: The median interval from aortic dissection to TEVAR was 5.50 days (range, 0-32 days). There was no in-hospital mortality. All cases of malperfusion improved except for 1 patient. The morbidities included endoleak in 2 patients (11.1%), stroke in 3 patients (16.7%), pneumonia in 2 patients (11.1%), transient ischemia of the left arm in 1 patient (5.6%), and temporary visceral ischemia in 1 patient (5.6%). Postoperative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at 1 year showed complete thrombosis of the false lumen in 15 patients (83.3%). Conclusion: TEVAR of complicated type B aortic dissection with a stent-graft was effective, with a low morbidity and mortality rate.

Endovascular Repair in Acute Complicated Type B Aortic Dissection: 3-Year Results from the Valiant US Investigational Device Exemption Study

  • Lim, Chang Young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0권3호
    • /
    • pp.137-143
    • /
    • 2017
  • Acute complicated type B aortic dissection (TBAD) is a potentially catastrophic, life-threatening condition. If left untreated, there is a high risk of aortic rupture, irreversible organ or limb damage, or death. Several risk factors have been associated with acute complicated TBAD, including age and refractory hypertension. In the acute phase, even uncomplicated patients are more prone to develop complications if hypertension and pain are left medically untreated. Innovations in stent graft technologies have incrementally improved outcomes since their first use for this condition in 1999, though improvement is needed in mitigating periprocedural complications, adverse events, and mortality. In the past decade, endovascular repair has become the preferred treatment because of its superior outcomes to open repair and medical therapy. The Valiant Captivia Thoracic Stent Graft System is a third-generation endovascular stent graft with advancements in minimally invasive delivery, conformability to the anatomy, and the minimization of adverse sequelae. Herein, this stent graft is briefly reviewed and its 3-year outcomes are presented. Freedom from all-cause and dissection-related mortality was 79.1% and 90.0%, respectiv ely. The Valiant Captiv ia Stent Graft represents a safe, effective intervention for acute complicated TBAD. Continued surveillance is needed to verify its longer-term durability.

Thoracic Endovascular Repair for Complicated Type B Acute Aortic Dissection with Distal Malperfusion

  • Choo, Suk-Jung;Jung, Sung-Ho;Kim, Ji-Eon;Lim, Ju-Yong;Ju, Min-Ho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4권6호
    • /
    • pp.427-431
    • /
    • 2011
  • Successful thoracic endovascular repair for complicated Stanford type B acute aortic dissection in two patients is herein reported. The true lumen flow was immediately restored following stent graft deployment in the descending thoracic aorta with subsequent resolution of the distal malperfusion syndrome. One patient is doing well more than 15 months after surgery and another patient who was treated more recently is also doing well 7 months postoperatively.

Intensive care unit management of uncomplicated type B aortic dissection in relation to treatment period: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 Lee, Chul Ho;Jang, Jae Seok;Cho, Jun Woo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9권4호
    • /
    • pp.294-299
    • /
    • 2022
  • Background: Medical therapy is the standard treatment for uncomplicated acute type B aortic dissection (ATBAD), but there is little evidence of the need for intensive care unit (ICU) management. Therefore, we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CU treatment on uncomplicated ATBAD. Methods: We retrospectively studied patients with uncomplicated ATBAD who were medically treated between January 2010 and July 2020. Patients were divided into short-term ICU stay (SIS) and long-term ICU stay (LIS) groups, according to a 48-hour cutoff of ICU stay duration. The incidence of pneumonia and delirium, rate of aortic events, hospital mortality, and survival rate were compared. Results: Fifty-five patients were treated for uncomplicated ATBAD (n=29 for SIS and n=26 for LIS). The incidence of pneumonia (3.6% vs. 7.7%) and delirium (14.3% vs. 34.6%) was higher in the LIS group than in the SIS group, but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urvival rates at 1, 3, and 5 year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SIS: 96.4%, 92.2%, and 75.5% vs. LIS: 96.2%, 88.0%, and 54.2%, respectively; p=0.102). Multivariate Cox regression analysis for aortic events showed that using a calcium channel blocker lowered the risk of aortic events. Conclusion: Long-term ICU treatment is unlikely to be necessary for the treatment of uncomplicated ATBAD. Active use of antihypertensive agents, such as calcium channel blockers, may be needed during the follow-up period.

하행 대동맥 내 스텐트-도관 삽입 후 발생한 역행성 대동맥 박리 - 2예 보고 - (Retrograde Aortic Dissection after Thoracic Endovascular Aortic Repair for Descending Aorta - 2 case reports-)

  • 홍순창;김정환;이희정;윤영남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6호
    • /
    • pp.758-763
    • /
    • 2010
  • 흉부대동맥 질환에서 대동맥 내에 스텐트-도관(stent-graft)을 삽입하는 흉부 혈관내 대동맥 성형술(Thoracic endovascular aortic repair, TEVAR)은 최근 이의 적용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이 술식은 endoleak으로 인한 치료 실패, 시술 중 안착지점(landing zone)에서 발생하는 혈관벽의 손상으로 인한 역행성 대동맥박리 및 스텐트-도관 감염으로 인한 대동맥 파열 등의 심각한 합병증 발병의 위험성을 내재하고 있다. 저자들은 급성 하행 대동맥 박리 혹은 외상성 하행 대동맥 파열에서 적용된 TEVAR 후 발생한 2예의 역행성 대동맥 박리의 치료 경험을 문헌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체외순환을 이용한 흉부 하행대동맥의 급성 박리증 수술 (Surgical Treatment with Extracorporeal Circulation for Acute Dissection of Descending Thoracic Aorta)

  • 최종범;정해동;양현웅;이삼윤;최순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5호
    • /
    • pp.481-487
    • /
    • 1998
  • 하행대동맥의 급성박리에 대한 외과적 치료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다. 하행대동맥의 급성 박리병변이 수술적응이 될 경우 대동맥 차단시간은 30분 이상 소요될 수 있으므로 척수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대동맥 차단부위 하방에 혈류를 유지하기 위한 여러 방법이 소개되었다. 저자들은 파열(혈흉) 및 쇼크의 합병증을 동반한 하행 대동맥의 급성 박리증 8예를 체외순환법을 이용하여 수술하고 그 방법에 대한 안전성과 효용성을 찾고자 하였다. 체외순환방법에 있어서는 대동맥병변의 상하에 2개의 동맥카뉼라를 넣어 대동맥 차단으로 수술 도중 상하체의 혈류공급을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였고, 산화기로 정맥혈의 환류를 위해 우심방이나 좌대퇴정맥에 정맥관을 삽입하였다. 비교적 장시간의 대동맥 차단에도 불구하고 수술후 8예 모두에서 척수손상은 없었다. 2예(25%)의 병원사망(각각 술후 31일과 41일)은 비교적 고령에서 지연성 합병증인 폐농양, 호흡부전증 등에 의해 발생했다. 주위조직의 부종 및 연약함 때문에 수술시간이 연장될 수 있는 급성 하행동맥 박리증에서 체외 순환방법하의 인공혈관 대치술은 대동맥 차단시간의 연장에 의한 척수 허혈손상을 피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외과적 치료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he Frozen Elephant Trunk Technique: European Association for Cardio-Thoracic Surgery Position and Bologna Experience

  • Marco, Luca Di;Pantaleo, Antonio;Leone, Alessandro;Murana, Giacomo;Bartolomeo, Roberto Di;Pacini, Davide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0권1호
    • /
    • pp.1-7
    • /
    • 2017
  • Complex lesions of the thoracic aorta are traditionally treated in 2 surgical steps with the elephant trunk technique. A relatively new approach is the frozen elephant trunk (FET) technique, which potentially allows combined lesions of the thoracic aorta to be treated in a 1-stage procedure combining endovascular treatment with conventional surgery using a hybrid prosthesis. These are very complex and time-consuming operations, and good results can be obtained only if appropriate strategies for myocardial, cerebral, and visceral protection are adopted. However, the FET technique is associated with a non-negligible incidence of spinal cord injury, due to the extensive coverage of the descending aorta with the excessive sacrifice of intercostal arteries. The indications for the FET technique include chronic thoracic aortic dissection, acute or chronic type B dissection when endovascular treatment is contraindicated, chronic aneurysm of the thoracic aorta, and chronic aneurysm of the distal arch. The F ET technique is also indicated in acute type A aortic dissection, especially when the tear is localized in the aortic arch; in cases of distal malperfusion; and in young patients. In light of the great interest in the FET technique, the Vascular Domain of the European Association for cardio-thoracic Surgery published a position paper reporting the current knowledge and the state of the art of the FET technique. Herein, we describe the surgical techniques involved in the FET technique and we report our experience with the F ET technique for the treatment of complex aortic disease of the thoracic aorta.

급성 B형 대동맥 박리의 혈관내 스텐트-그라프트 삽입이 초기성적 및 대동맥 벽의 변화 (Endovascular Repair of Acute Type B Aortic Dissection: The Early Results and Aortic Wall Changes)

  • 허균;원용순;신화균;양진성;백강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6호
    • /
    • pp.648-654
    • /
    • 2010
  • 배경: 급성 B형 대동맥 박리 환자들에게 시행한 혈관 내 스텐트-그라프트 치료의 초기 성적 및 대동맥 벽의 변화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7월부터 2009년 5월까지 본원을 방문한 급성 B형 대동맥 박리 환자들을 대상으로 혈관 내 스텐트-그라프트를 13일 이전에 삽입하였다. 수술전과 수술 후 약 6개월에 혈관조영 컴퓨터 단층촬영을 시행하였고 하행 대동맥을 근위부, 중위부 그리고 원위부로 나눈 뒤 각 부위별로 진성내강과 가성내강 그리고 대동맥 전내강의 내경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남녀 비는 4:1이였으며 평균나이는 $59.4{\pm}20.1$세 (37~79세)였다. 수술 전에 혈관조영 컴퓨터 단층촬영을 시행하였으며 수술 후 7일 후와 6개월에 추적검사를 시행하였다. 5명 모두에게 일차성 내막 파열(primary entry tear)의 폐쇄가 완벽하게 이루어 졌으며 신경학적 후유증이나 말초의 허혈은 관찰되지 않았고 수술로 인한 사망은 없었다. 진성내강의 변화는 근부위에서 수술 전 20.4 mm에서 33.5 mm로 증가하였으며 중위부와 원위부에서도 각각, 19.5 mm에서 29.8 mm, 15.2 mm에서 23.5 mm로 증가하였으며 (p<0.05), 가성내강의 변화는 근위부에서 18.7 mm에서 0 mm로 감소하였고 중위부와 원위부에서도 감소하는 추세로 관찰되었다. 대동맥 전내강의 변화는 수술 전 보다 수술 후 증가하였다(p<0.05). 3명의 환자에서 6개윌 후 가성내강의 완벽한 소실이 관찰되었고 2명의 환자에게서는 복부대동맥 부위에서 가성대동맥이 지속적으로 관찰되었다. 결론: 급성 B형 대동맥 박리 환자들에게 시행한 혈관 내 스텐트-그라프트의 초기 결과는 매우 효과적이였으며 스텐트-그라프트 삽입 후 대동맥 벽의 변화 역시 매우 긍정적이라 할 수 있겠다.

고위험군의 대동맥류 환자에서 경피적으로 삽입이 가능한 스텐트 그라프트를 이용한 치료: 조기 및 중기성적 (Percutaneous Endovascular Stent-graft Treatment for Aortic Disease in High Risk Patients: The Early and Mid-term Results)

  • 최진호;임청;박계현;정의석;강성권;윤창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2호
    • /
    • pp.239-246
    • /
    • 2008
  • 배경: 고위험환자에서 대동맥 수술은 사망률 및 합병증 발생률이 높으며, 악성종양이 동반된 환자에서는 기대여명이 짧으므로 대동맥 수술의 필요성에 대해 의문을 가질 수 있다. 대동맥내 스텐트 그라프트의 삽입은 대동맥 수술에 비해 침습도가 떨어지며, 회복기간이 짧아 고위험 환자 및 악성종양 환자에게 고려될 수 있다. 특히, 경피적으로 삽입 가능한 스텐트 그라프트는 전신마취의 필요성이 없어 고위험 환자에서 더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7월부터 2007년 9월까지 근치적 절제술이 불가능한 악성종양을 가진 환자 또는 동반질환으로 인해 대동맥 수술시 합병증 발생의 위험도가 높은 12명의 환자에서 경피적으로 대동맥 스텐트 그라프트의 삽입이 시행되었다. 삽입의 적응증이 된 대동맥 질환은 복부대동맥류가 5례, 흉부대동맥류가 6례, 급성대동맥 박리증이 1례이었다. 동반질환으로 악성종양이 3례, 호흡기 질환이 6례, 고령 및 신경계 질환이 6례, 베체트 병이 1례, 만성 신부전증이 1례이었다. 결과: 전례에서 경피적으로 스텐트 그라프트의 삽입이 가능하였다. 이 중 4례에서 원내사망이 있었고, 추적관찰 기간 중 3례의 만기사망이 있었다. 원내사망 1례를 제외하고는 대동맥 질환으로 인한 사망은 없었다. 합병증으로는 경도의 뇌졸중이 1례가 발생하였으며, 급성 신부전증 및 허혈성 장괴사가 각각 2 및 1례에서 발생하였다. 그라프트 주위유출 (endoleak)은 스텐트 그라프트 삽입 직후 2명에서 경도의 1형의 주위유출이 관찰되었고, 2형 그라프트 주위유출이 1명에서 발견되었다. 외래추적기간 중 1명에서 새로운 1형의 그라프트 주위유출이 발생하였다. 결론: 고위험 환자 및 기대여명이 짧은 악성종양 환자의 대동맥 질환에서 경피적 스텐트 그라프트의 사용은 비교적 안전한 방법으로 고려해 볼만한 치료법이나, 아직 적응증이나 장기성적에 대해서는 더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