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ute pneumonitis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18초

Definitive radiotherapy with or without chemotherapy for clinical stage T4N0-1 non-small cell lung cancer

  • Kim, Yeon Joo;Song, Si Yeol;Jeong, Seong-Yun;Kim, Sang We;Lee, Jung-Shin;Kim, Su Ssan;Choi, Wonsik;Choi, Eun Kyung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3권4호
    • /
    • pp.284-293
    • /
    • 2015
  • Purpose: To determine failure patterns and survival outcomes of T4N0-1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treated with definitive radi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Ninety-five patients with T4N0-1 NSCLC who received definitive radiotherapy with or without chemotherapy from May 2003 to October 2014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standard radiotherapy scheme was 66 Gy in 30 fractions. The main concurrent chemotherapy regimen was $50mg/m^2$ weekly paclitaxel combined with $20mg/m^2$ cisplatin or AUC 2 carboplatin. The primary outcome was overall survival (OS). Secondary outcomes were failure patterns and toxicities. Results: The median age was 64 years (range, 34 to 90 years). Eighty-eight percent of patients (n = 84) had an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performance status of 0-1, and 42% (n = 40) experienced pretreatment weight loss. Sixty percent of patients (n = 57) had no metastatic regional lymph nodes. The median radiation dose was EQD2 67.1 Gy (range, 56.9 to 83.3 Gy). Seventy-one patients (75%) were treated with concurrent chemotherapy; of these, 13 were also administered neoadjuvant chemotherapy. At a median follow-up of 21 months (range, 1 to 102 months), 3-year OS was 44%. The 3-year cumulative incidences of local recurrence and distant recurrence were 48.8% and 36.3%, respectively. Pretreatment weight loss and combined chemotherapy were significant factors for OS. Acute esophagitis over grade 3 occurred in three patients and grade 3 chronic esophagitis occurred in one patient. There was no grade 3-4 radiation pneumonitis. Conclusion: Definitive radiotherapy for T4N0-1 NSCLC results in favorable survival with acceptable toxicity rates. Local recurrence is the major recurrence pattern. Intensity modulated radiotherapy and radio-sensitizing agents would be needed to improve local tumor control.

Preliminary results of entire pleural intensity-modulated radiotherapy in a neoadjuvant setting for resectable malignant mesothelioma

  • Hong, Ji Hyun;Lee, Hyo Chun;Choi, Kyu Hye;Moon, Seok Whan;Kim, Kyung Soo;Hong, Suk Hee;Hong, Ju-Young;Kim, Yeon-Sil;Multidisciplinary Team of Lung Cancer in Seoul St. Mary's Hospital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7권2호
    • /
    • pp.101-109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afety and efficacy of the multimodality treatment with neoadjuvant intensity-modulated radiotherapy (IMRT) for resectable clinical T1-3N0-1M0 malignant pleural mesothelioma (MPM).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eleven patients who received neoadjuvant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between March 2016 and June 2018 were reviewed. Patients received 25 Gy in 5 fractions to entire ipsilateral hemithorax with helical tomotherapy. Results: All of patients were men with a median age of 56 years. Epithelioid subtype was found in 10 patients. All patients received neoadjuvant chemotherapy with pemetrexed-cisplatin regimen. Ten patients (90.9%) completed 25 Gy/5 fractions and one (9.0%) completed 20 Gy/4 fractions of radiotherapy. IMRT was well tolerated with only one acute grade 3 radiation pneumonitis. Surgery was performed 1 week (median, 8 days; range, 1 to 15 days) after completing IMRT. Extrapleural pneumonectomy was performed in 4 patients (36.3%), extended pleurectomy/decortication in 2 (18.2%) and pleurectomy/decortications in 5 (63.6%). There was no grade 3+ surgical complication except two deaths after EPP in 1 month. Based on operative findings and pathologic staging, adjuvant chemotherapy was delivered in 7 patients (63.6%), and 2 (18.2%) were decided to add adjuvant radiotherapy. After a median follow-up of 14.6 months (range, 2.8 to 30 months), there were 3 local recurrence (33.3%) and 1 distant metastasis (11.1%). Conclusion: Neoadjuvant entire pleural IMRT can be delivered with a favorable radiation complication. An optimal strategy has to be made in resectable MPM patients who would benefit from neoadjuvant radiation and surgery.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look at long-term outcomes.

절제 불가능한 식도암에서 고선량 외부조사 방사선 치료의 결과 (Treatment Results of Increased Dose External Beam Radiation Therapy for Unresectable Esophageal Cancer)

  • 이승헌;이석호;이규찬;신동복;심선진;이재익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49-56
    • /
    • 2009
  • Purpose : To evaluate the treatment outcome for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unresectable esophageal cancer treated with relatively high dose radiation therapy(RT). Materials and Methods :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08, 32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unresectable or medically inoperable esophageal cancer were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RT) with or without concurrent chemotherapy. Ten patients were excluded from analysis because of distant metastasis and drop off. Patient distributions according to AJCC stages II, III IVa were 7(31.8%), 12(54.6%), 3(13.6%) respectively. The locations of tumor were cervical/upper thorax 3 (13.6%), mid thorax 13(59.1%), and lower thorax/abdominal 6(27.3%), respectively. Eleven patients received RT only, and 11 patients received cisplatin based concurrent chemoradiotherapy(CCRT). Median radiation dose was 65 Gy(range 57.6~72 Gy). Results : The median follow-up was 9.1 months(range 1.9~43.8 months). The response rates for complete response, Partial response, stable disease and Persistent disease were 6(27.3%), 11(50.0%), 4(18.2%) and 1(4.5%), respectively. Two patients(9.1%) suffered from esophageal stenosis and stents were inserted. Two patients(9.1%) had Grade 3 radiation pneumonitis and one of them expired due to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ARDS) at 36 days after completion of radiation therapy. The recurrence rate was 11(50.0%). The patterns of recurrence were persistent disease and local progression in 5(22.7%), local recurrence 3(13.7%) and concomitant local and distant recurrence in 3(13.7%). The overall survival(OS) rate was 32.1% at 2 years and 21.4% at 3 years(median 12.0 months). Disease free survival(DFS) rate was 17.3% at 2 and 3 years. All patients who had no dysphagia at diagnosis showed complete response after treatment and 100% OS at 3 years(p=0.0041). The OS for above 64.8 Gy group and 64.8 Gy or below group at 3 years were 60.6% and 9.1%(p=0.1341). The response to treatment was the only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OS(p=0.004). Conclusion : Relatively high dose radiation therapy in unresectable esophageal cancer tended to have a better outcome without increased complication rate. Further study with more patients is warranted to justify improved result.

  • PDF

N2 종격동 림프절 전이가 있는 제 III A 병기 비소세포폐암에 있어 수술전 동시화학방사선요법 후 폐적출술의 조기 성적 (Early Result of Surgical Resection after Pre-Operative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for N2-Positive Stage IIIA NSCLC)

  • 차대원;김진국;심영목;김관민;박근칠;안용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8호
    • /
    • pp.662-668
    • /
    • 2000
  • Background: Many recent results of clinical trials show that pre-operative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and surgical resection could increase the survival of N2 positive stage IIIA non-small cell lung canc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feasibility, toxicity, and affect rates of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and surgical resection in N2 positive stage IIIA non-small cell lung cancer. Material and Method: Thirty-one patients who underwent preoperative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for N2 positive stage IIIA non-small-cell lung cancer from May 1997 to April 1999 were entered into the study. Mean age was 61 yrs(43∼70 yrs), There were 24 men and 7 women. The confirmation of N2 disease were achieved through mediastinoscopic biopsy(24) and CT scans(7). Induction was achieved by two cycles of cisplatin and etoposide(EP) plus concurrent chest radiotherapy to 45 Gy. Resections were done at 3 weeks after the complection of preoperative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Resections were performed in 23 patients, excluding 5 refusals and 3 distant metastasis. Result: All patients were compled the thoracic radiotherapy except one who had distant metastasis. Twenty three patients were completed the planned 2 cycles of EP chemotherapy, and 8 patients were received only 1 cycle for severe side effects(6), refusal(1), and distant metastasis(1). There was one postoperative mortality, and the cause of death was ARDS. Three patients who had neutropenic fever and one patient who had radiation pneumonitis were required admission and treatment. Esophagitis was the most common acute side effect, but relatively well-tolerated in most patients. The complection rate of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was 74%, resection rate was 71%, pathologic complete remission rate was 13.6%, and pathologic down-staging rate was 68%. Conclusion: Morbidity related to each treatment was acceptable and many of the patients have benefited down staging of its disease. Further prospective, preferably randomized, clinical trials of larger scale may be warranted to confirm the actual benefit of preoperative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and surgical resection in N2-positive stage IIIA non-small cell lung cancer.

  • PDF

표재성 방광암 환자에서 방광내 BCG 주업치료 후 발생한 폐합병증 2예 (Two Cases of Pulmonary Complications Following Intravesical Bacillus Calmette-Guerin Immunotherapy in Patients with Superficial Bladder Cancer)

  • 이계성;이기용;윤재철;나동집;정성수;설종구;김선영;김주옥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6호
    • /
    • pp.869-878
    • /
    • 1999
  • 표재성 방광암의 치료는 경요도적 절제술 후 방광내 BCG 투여가 표준적인 치료로 알려져 있다. 방광내 BCG 투여 후 가장 흔한 부작용은 방광자극, 빈뇨감, 배뇨 곤란 등이며 항결핵제를 사용해야 할 정도의 전신적인 부작용은 5% 이하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표재성 방광암 환자에서 경요도적 절제술 후 방광내 BCG 주입치료 후 폐합병증이 발생한 2예를 경험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절제 불가능한 비소세포 폐암의 다분할조사 방사선 치료 (Hyperfractionated Radiotherapy with Concomitant Boost Technique for Unresectable Non-Small Cell Carcinoma of the Lung)

  • 전하정;이명자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9권2호
    • /
    • pp.221-225
    • /
    • 1991
  • 25예의 절제 불가능한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다불할조사 방사선 치료 및 추가 조사 기술로 치료하였다. 전에 수술이나 항암제 치료를 받았거나 늑막삼출 및 심 한 체중 감소(체중의 $10\%$이상)가 있는 환자는 이 연구에서 제외했다. 처음 3주에 걸쳐 27Gy를 15번에 나누어 large field에 조사하였다. 그 후에 large field에 1.8Gy를 준 후 cone down boost field에 1.4Gy를 하루에 두번 주어 총 49.4 Gy를 주었다. 49.4 Gy를 준 후 추가조사 영 역에 하루에 두번 1.8 Gy와 1.4 Gy를 주었다. 총 조사량은 12명의 환자에서는 62.2Gy, 13명의 환자에서는 65.4Gy였다. 추적관찰 기간은 6개월에서 24개월 사이였다. 실질적인 생존율은 6, 12, 18개월에 각각 $88\%,\;62\%,\;38\%$였다. 무병 생존율은 $88\%,\;41\%,\;21\%$였다. 집합적 국소 재발율은 9, 12, 15개월에 각각 $36\%,\;43\%,\;59\%$이었다. 24개월간 추적관찰한 결과 급성 합병증이나 후기 합병증의 증가는 없었다. 더 긴 기간의 추적관찰이 필요하지만, 절제 불가능한 비소세포 폐암의 다분할조사 방사선 치료 및 추가 조사기술의 효과를 판정하는데는 무작위 추출법을 사용하여 prospective 연구를 시행함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

수술이 불가능한 편평상피성 폐암의 방사선치료 성적 (Outcomes after Radiotherapy in Inoperable Patients with Squamous Cell Lung Cancer)

  • 안성자;정웅기;나병식;남택근;김영철;박경옥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9권3호
    • /
    • pp.216-223
    • /
    • 2001
  • 목적 : 수술적 절제가 불가능한 편평상피성 폐암환자들의 방사선치료 결과를 분석하고 생존율에 관계되는 예후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8년 11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본원에서 편평상피성 폐암으로 진단 받은 석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방사선 치료 선량은 $30\~70.2\;Gy$ 였고, 항암제는 72명의 환자$(17.5\%)$에서 병행하였으며 병용 항암약제의 종류나 투여 횟수는 다양하였다. 환자들의 추적기간은 $1\~l13$개월이었으며(중앙값:8개월), 381명의 환자$(90.7\%)$에서 생존확인이 가능하였다. 생존율은 Kaplan-Meier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 전체 411명 환자의 평균생존기간은 8개월로, 1년, 2년, 5년 생존율은 각각 $35.6\%,\;12.6\%,\;3.7\%$ 였다. 병기별로는 IA환자의 평균생존기간 및 5년 생존율은 각각 29개월과 $33.3\%$이었고, IIIA와 IIIB환자는 각각 13개월, $6.3\%$와 9개월 $3.4\%$였다(p=0.00). 치료방법에 따른 생존율을 비교해보면 근치적 방법으로 치료한 환자의 평균생존기간은 11개월이었고 고식적 방법으로 치료한 환자는 5개월이었다(p=0.00).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완료한 환자 247명의 평균생존기간은 12개월인 반면, 중도에 치료를 포기한 환자 97명은 5개월이었다(p=0.00).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완료한 247명을 대상으로 생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여러 예후 인자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원발종양의 위치, 쇄골상부림프절전이, 상대정맥증후군, 늑막액, 무기폐, 애성의 유무가 단변량 및 다변량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예후인자였으며 항암제의 병용은 다변량분석에서만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치료 중 급성 방사선식도염 증상으로 진통제를 처방하였던 환자는 49명$(11.9\%)$ 이었고 입원치료를 시행한 환자는 2명$(0.5\%)$이었다. 방사선폐렴 소견으로 투약하였던 환자는 62명$(15.1\%)$ 이었고, 입원을 시행한 환자는 2명$(0.5\%)$이었다. 방사선치료 후 1개월에서 87개월사이 (중앙값: 10개월) 114명$(27.7\%)$의 환자에서 국소진행 소견이 관찰되었고, 원격전이는 $1\~52$개월사이 (중앙값 : 7개월) 49명$(11.9\%)$에서 확인되었다. 이차암은 11명의 환자에서 확인되었다. 결론 : 국소적으로 진행된 편평상피성 폐암의 일반적 방사선치료 후 생존율은 매우 불량하였다. 따라서 병기 및 환자의 신체적 상황에 따라 방사선치료의 목적을 정하고 예후가 불량한 환자 군은 치료에 의한 삶의 질이 저하되지 않는 치료방법을 취하고, 반면 생존기간이 비교적 길다고 예견되는 환자는 보다 적극적인 치료방법을 선택하도록 해야 하겠다.

  • PDF

N2 병기 비소세포 폐암의 수술 전 동시화학방사선요법 (Pre-operative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for Stage IlIA (N2) Non-Small Cell Lung Cancer)

  • 이규찬;안용찬;박근칠;김관민;김진국;심영목;임도훈;김문경;신경환;김대용;허승재;이종헌;이경수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7권2호
    • /
    • pp.100-107
    • /
    • 1999
  • 목적: N2 병기 비소세포폐암에서 수술 전 동시화학방사선요법과 수술을 적용하여 급성 부작용, 수술 절제가능성 및 수술 후 병기 강하율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5월부터 1998년 6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N2 병기 비소세포폐암으로 진단 받은 15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 연령의 중앙값은 61세(45~67세), 남녀 성비는 12:3 이었으며 세포 조직형은 편평상피암종이 11명, 선암종이 4명이었다. 치료 전 임상적 T병기는 T1, T2, 및 T3가 각각 2명, 12명, 및 1명씩이었으며 모든 환자들이 N2 병기로서 이중 10명은 종격동내시경을 통한 조직생검을 통하여 종격동 림프절 전이를 확인하였고 나머지 5명은 흉부 CT 영상 상 종격동 림프절 전이가 강력히 의심된 경우였다. 수술 전 방사선치료는 흉부 CT영상을 기준으로 하여 원발 병소, 동측 폐문부 및 종격동 림프절에 대하여 10MV X-선을 이용하여 45Gy를 5주간에 걸쳐서 조사하도록 계획하였다(일회 선량 1.8 Gy, 일일 1회, 주 5회). 수술 전 복합화학요법은 cis-Platin(100mg/m$^{2}$)을 제 1일에 급속 정주하고 Etoposide(50mg/m$^{2}$/day)를 제 1일부터 제 14일까지 경구로 2회에 분복하도록 하였으며, 첫번째 화학요법은 방사선치료의 시작일에, 두 번째 화학요법은 4주 후에 시행하도록 계획하였다. 수술은 방사선-복합화학요법의 완료 3주째에 흉부 CT 영상을 얻어 병변의 진행이나 원격전이의 소견이 없음을 확인한 후 시행하였다. 결과 : 방사선치료는 15명 모두에서 계획된 목표 선량 45Gy를 조사하였으며, 복합 화학요법은 11명의 환자에서는 계획대로 2회를, 나머지 4명에서는 1회만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치료 방법과 관련하여 1명의 환자가 수술 15일만에 급성 호흡부전으로 사망하였으며 입원치료를 요하는 정도의 급성 부작용의 발현은 방사선폐렴과 호중구 감소로 인한 발열이 각각 1명, 2명이었다. 급성 식도염은 RTOG grade 1이 9명, grade 2가 3명으로 대체로 경미한 편이었다. 총 26회의 복합 화학요법과 관련된 급성 부작용으로 grade 3 이상의 백혈구 감소증, 혈소판 감소증, 및 빈혈이 각각 26.9%, 7.7%, 3.8%에서 나타났다. 수술을 시행한 환자는 13명으로 이 중 12명에서 근치적 절제술이 가능하여 수술절제율은 92.3%(12/13) 이었다. 한 명에서는 수술 시 늑막 전이가 확인되어 절제 수술을 시행하지 못하였다. 다른 2명은 수술을 거부하였다. 수술 후 병리학적 T병기는 T0, T1, 및 T2가 각각 3명, 6명, 및 3명이었으며 N병기는 N0, N1, 및 N2가 각각 8명, 1명, 및 3명이었다. 병리학적 완전 관해는 모두 3명의 환자에서(27.3%) 확인되었으며, 수술 전 임상적 병기와 비교하여 볼 때 병기 강하, 불변, 상승이 각각 8명(61.5%), 4명(30.8%), 1명(7.7%) 이었다. 결론 : N2 병기 비소세포폐암에 대한 동시화학방사선요법은 대체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보다 많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장기간의 추적 관찰을 요한다.

  • PDF

조직학적으로 확진된 두개내 배아종의 전보조화학요법 후 방사선치료의 성적 - 예비적 결과 (Efficacy of Neoadjuvant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for the Histology-confirmed Intracranial Germinoma - Preliminary Report)

  • 노영주;김학재;허대석;신희영;김일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0권2호
    • /
    • pp.93-99
    • /
    • 2002
  • 목적 : 두개내 배아종은 방사선치료 단독으로도 완치율이 높은 종양이나 방사선치료로 인한 부작용의 감소를 위해 현재 서울대학교 병원에서는 전보조화학요법 후 방사선치료를 하고 있으며 이 환자들의 치료 성적과 부작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에서 2001년까지 치료를 받은 두개내 배아종으로 조직학적으로 진단된 1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12명은 BEP (bleomycin, VP-16, cisplatin) 항암치료, 5명은 9921A (cisplatin, cyclophosphamide, VP-16, vincristine) 항암치료, 1명은 EP (VP-16, cisplatin) 항암치료를 받았고 5명은 두개척수조사, 1명은 두개방사선조사, 12명은 종양 부위에만 방사선치료를 받았다. 원발 종양에 조사된 방사선량은 39.6에서 54 Gy였다. 결과 : 남자는 16명, 여자는 2명이었고 중간 나이는 16세였다. 자기공명영상 상 12명은 송과체에, 각각 1명에서 안상, 시상, 대뇌기저핵에 원발성 종괴가 있었고 3명에서 다발성 종괴가 있었다. 6명은 뇌실 내 전이 소견이 보였고 3명은 뇌척추액검사 상 종양 세포가 관찰되었고 2명에서는 척수 자기공명영상에서 전이 소견이 있었다. 종양지표검사 상 1명에서 $\beta-human$ chorionic gonadotropin의 수치가 44 mlU/mL로 상승되어 있었다. 항암치료 후 5명은 완전 관해, 12명은 부분 관해를 보였고, 1명은 반응이 없었다. 현재 중앙 추적 기간 20개월로 17명은 무병 상태로 관찰되고 있고 1명은 bleomycin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는 폐의 부작용으로 사망하였다. 사망한 환자를 제외한 다른 환자들은 방사선치료 후 모두 완전 관해 상태이다. 6명에서 백혈구 감소로 인한 감염이 발생하였으며 $3\~4$도의 혈액학적 부작용이 11명에서 발생하였다. 방사선조사 중 두개척수조사를 받은 5명의 환자를 제외한 나머지 환자에서는 2도 이상의 부작용은 보이지 않았다. 결론 : 서울대학교병원에서의 전보조화학요법 후 방사선치료는 기존의 보고와 마찬가지로 높은 관해율을 보이고 있고 항암치료로 인한 치료 중이나 치료 후의 부작용의 정도와 빈도는 다른 보고와 비슷하였다. 방사선이나 항암치료로 인한 만성 부작용에 대해서는 좀더 관찰이 필요하며 이 결과가 나온 후에 두개내 배아종에서 가장 적절한 치료에 대해 결론을 내릴 숱 있을 것으로 보인다.

흉선종에 대한 방사선치료 성적 및 예후인자분석 (Analysis of the Radiation Therapy Outcomes and Prognostic Factors of Thymoma)

  • 이석호;이규찬;최진호;이재익;심선진;조은경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8권1호
    • /
    • pp.1-8
    • /
    • 2010
  • 목 적: 흉선종환자에서 방사선치료 효과를 평가하고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를 파악하기 위하여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3월부터 2008년 1월까지 본원에서 흉선종으로 진단 받고 방사선치료를 시행 받은 21명의 환자를 분석하였다. 대상환자의 추적관찰 기간은 3~89개월(중앙값, 37개월)이었다. 남녀 구성비는 4:3이었고 연령분포는 24~77세(중앙값, 57세)이었다. Masaoka병기는 II기 10명(47.6%), III기 7명(33.3%), IVa기 4명(19.1%)이었다. 전체 21명 중 15명(완전절제[흉선절제술], 14명; 불완전절제, 1명)에서 수술이 시행되었고, 시험적 개흉술(exploratory thoracotomy), 경부림프절 생검 등을 포함한 조직검사만 시행한 경우는 6명(28.6%)이었다. 병리학적으로 WHO 세포형 A 1명(4.8%), B1-3 10명(47.6%), C 10명(47.6%)이었다. 방사선치료는 3차원입체조형기법으로 시행하였고 총 방사선선량은 52~70.2 Gy (중앙값, 54 Gy)이었다. 성별, 연령, 종양의 크기, 병리학적 분류, Masaoka 병기, 수술시행 여부, 근무력증 유무 및 방사선량 등에 따른 전체 및 무진행생존율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 과: 전체 환자에서 3년 생존율은 80.7%이었고 3년 무진행생존율은 78.2%이었다. WHO 세포형 C 10명에서 완전절제를 시행한 4명 중 3명(75%)이 생존하였고, 조직검사만 시행한 6명 중 3명(50%)이 생존하였다. 수술을 시행받은 15명 중 방사선조사 범위 내에서의 재발은 없었다. 4명(19.1%)에서 원격전이가 확인되었다. 조직검사만 시행받은 6명의 치료반응은 부분관해 4명(66.6%), 불변 1명(16.7%) 그리고 진행 1명(16.7%)이었다. 치료 후 방사선폐렴이 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 (RTOG) grade 1이 1명(4.8%), grade 2가 2명(9.5%), grade 3과 grade 4가 각각 1명(4.8%) 있었다. 단변량 분석상 생존율에 유의한 예후인자는 연령(60세 이상, 58.3%; 60세 미만, 100%; p=0.0194), 병리학적 분류(WHO 세포형 A-B3, 100%; C, 58.3%; p=0.0194), 수술시행여부(시행, 93.3%; 미시행, 50%; p=0.0096)이었다. 결 론: 수술 후 보조적으로 방사선치료를 시행 받은 15명 모두 방사선치료 조사야 내 재발이 없었고 WHO 세포형 C에서 방사선치료 전 수술이 시행된 경우 조직검사만 시행된 경우보다 좋은 성적을 보였다. 이에 저자들은 흉선종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방사선치료 경험을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