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ute dermal toxicity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초

레피멕틴(Lepimectin)의 독성평가와 일일섭취허용량 설정 (Toxicity Assessment and Establishment Acceptable Daily Intake of Lepimectin)

  • 정미혜;홍순성;박경훈;박재읍;곽승준;김용범;한범석;손우찬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18-229
    • /
    • 2011
  • 레피멕틴은 살충제이다. 레피멕틴에 대한 독성을 평가하고 일일섭취허용량을 설정하기 위하여 다양한 인축독성 시험성적서를 검토하였다. 레피멕틴의 대사시험결과, 주로 대변을 통해 배설되었으며, 급성독성은 낮았고, 피부, 안점막자극성과 피부감작성은 없었다. 90일 반복투어경구독성(랫드, 개, 마우스), 만성독성(랫드, 개), 발암성시험(랫드)에서 혈액 및 혈액 생화학적변화를 나타냈으나, 번식독성, 유전독성, 발암성 및 기형독성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레피멕틴의 최대무작용량(NOAEL)은 랫드 2년 발암성시혐의 최대무작용량 2.02 mg/kg bw/day로 안전계수 100을 설정하여 일일섭취허용량 0.02 mg/kg bw/day로 설정하였다.

피리미설판(Pyrimisulfan)의 독성평가와 일일섭취허용량 설정 (Toxicity Assessment and Establishment Acceptable Daily Intake of Pyrimisulfan)

  • 정미혜;박경훈;박재읍;곽승준;김용범;한범석;손우찬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08-217
    • /
    • 2011
  • 피리미설판에 대한 독성을 평가하고 일일섭취허용량을 설정하기 위하여 다양한 인축독성 시험성적서를 검토하였다. 대사시험결과, 주로 대변을 통해 배설되었으며, 급성독성은 낮았고, 피부, 안점막자극성과 피부감작성은 없었다. 랫드 90일 반복투여 경구독성시험결과에서 피리미설판 투여에 따른 영향은 혈액학적지표 및 간장에서 확인되었고 발암성은 없었으며, 번식독성, 기형독성 등에서 번식능력 몇 기형에 대한 영향 및 유전독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최대무작용량은 개 90일 반복투여 경구독성시험 10 mg/kg/day였으며, 안전계수 100으로 나눈 0.1 mg/kg/day을 일일섭취허용량(ADI)으로 설정하였다.

Santalum album Linn wood and its oil: An aromatic Unani traditional medicine with versatile pharmacological activities

  • Sultana, Arshiya;Rahman, Khaleequr
    • 셀메드
    • /
    • 제8권3호
    • /
    • pp.14.1-14.6
    • /
    • 2018
  • Santalum album Linn. [Family: Santalaceae] is commonly known as white sandalwood, sandal safaid and safed chandan. It is one of the most valuable trees and second costliest wood in the world. Sandalwood and its oil is extensively used in the Unani and other traditional systems of medicine as it has blood purifier, anti-inflammatory, analgesic, exhilarant, cardiotonic, antiseptic, nervine tonic and expectorant properties. It is used in skin, cardiac, liver, gastrointestinal, respiratory, integument and urogenital disorders. These uses are supported and proven by many in vitro or in vivo studies. The proven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S. album are antimicrobial,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timutagenic and anti-fatigue. The research has proven that sandal oil or its constituents have anti-microbial activity. Sandalwood oil showed skin cancer preventive effect in mice and its constituent alpha santalol showed the anticancer property. The methanolic extract of wood was confirmed for antioxidant, free radical scavenging,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alpha}$ and ${\beta}$ santalols present in sandal oil showed sedative effects. Sandalwood tea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eart muscles of frog and showed increased myocardial contractility. Its oil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hepatic xenobiotic metabolizing enzymes. Sandalwood oil and its major constituents showed less acute oral and dermal toxicity in laboratory animals. Hence, the aforementioned studies justify the uses of sandalwood and its oil mentioned in the classical Unani literature. However, further clinical trials are suggested to confirm its efficacy and safety in humans.

코코넛 오일로부터 유래된 카르복실레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합성 및 계면 특성에 관한 연구 (Synthesis of Carboxylate-Based Anionic surfactant from Coconut Oil Source and Characterization of Interfacial Properties)

  • 이예진;박기호;신희동;임종주
    • 공업화학
    • /
    • 제32권3호
    • /
    • pp.260-267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코코넛 오일로부터 카르복실레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SLEC-3을 합성하였으며, 합성된 계면활성제의 구조를 FT-IR, 1H-NMR 및 13C-NMR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합성한 계면활성제 SLEC-3에 대하여 임계 마이셀 농도, 정적 및 동적 표면장력, 유화력, 거품 안정성 등의 계면 물성을 측정한 결과, 기존 세제 제품에서 널리 사용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SLES와 비교하여 계면 활성이 보다 우수하고 계면 에너지를 낮추는데 더 효과적이었다. 또한 SLCE-3에 대한 생분해성, 급성 경구 독성 및 급성 피부자극 시험을 실시한 결과, 저자극 및 저독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세제 및 세정제 제품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파라벤류의 독성과 내분비계장애 효과 (Toxicity and Endocrine Disrupting Effect of Parabens)

  • 안혜선;나원흠;이재은;오영석;계명찬
    • 환경생물
    • /
    • 제27권4호
    • /
    • pp.323-333
    • /
    • 2009
  • 파라벤은 p-하이드록시 벤조산(p-hydroxybenzoic acid)의 알킬에스테르로, 비교적 빠르게 흡수, 대사 및 배설되는 살균성 보존제로 식품, 화장품, 약품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실제 인체는 파라벤 복합물에 노출된다. 파라벤의 안전성에 관한 연구결과들에 대한 고찰 결과 파라벤 종류에 따라 다양한 독성종말점을 대상으로 파라벤의 급성, 아급성 및 만성독성 영향은 비교적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파라벤은 에스트로젠 유사활성을 가지며 화장품을 통한 경피흡수를 통해 유방암과의 상관성이 보고되었으나, 이와 상반된 견해도 있다. 파라벤의 항안드로젠성은 남성생식기계의 장애를 유발할 수 있으나 이와 상반된 견해도 있다. 파라벤은 정자의 미토콘드리아 기능 및 남성호르몬 생성을 저해할 수 있으나 이와 상반된 견해도 있다. 배아발달에는 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독성으로는 세포용혈, 미토콘드리아 막투과성 변화, 세포사멸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수환경에서 파라벤은 환경에스트로젠으로 작동하여 어류에서 내분비장애 효과를 발휘한다. 결론적으로 파라벤은 저독성물질로 분류할 수 있으나, 인체 및 수생동물들에서 파라벤의 노출경로 및 농도, 사용기간 등에 따른 독성과 내분비계장애 효과에 대하여는 다양한 종말점을 대상으로 좀 더 구체적인 독성자료들이 요구된다.

열가소성 수지의 단량체 분석 및 유해성 분류 (Analysis and hazard classification for the monomers in thermoplastic resins)

  • 이권섭;조지훈;최진희;최성봉;이종한;양정선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22-334
    • /
    • 2007
  • This study covers the investigation of the actual condition in the workplace to produce plastics products using synthetic resins and the investigation on the trends amount of the domestic production of thermoplastic resins. To analyze the monomers included in thermoplastic resins frequently used in the workplace, we analyzed thermal characteristics for test compounds using thermogravimetric analysis and did the qualitative analysis using Pyrolyzer GC-MSD & TDS GC-MSD. And then we classified the health hazard of monomers based on GHS classification criteria using information toxicity & carcinogenicity. The number of the workplace to produce plastics products among all domestic manufacturers of 73,884 was 4,391 (5.94%). The number of workers to produce plastics products among all workers of 2,522,750 in all domestic manufacturers was 104,971 (4.16%). The amount of production per year for thermoplastic resins is in the order of PP, HDPE, LDPE, PVC, ABS, PS and such compounds was producing over 1 Million ton per year each. The classification result based on GHS classification criteria for 22 main compounds included thermoplastic resins says 2 compounds of acrylonitrile, naphthalene are in Acute oral category 3 and benzene is in Acute dermal category 1. The classification results of health hazard of carcinogenicity based on IARC & ACGIH carcinogen classification says 2 compounds of benzene, vinyl chloride are in category 1A (known to be human carcinogens).

코코넛 오일로부터 유래된 당계 비이온 계면활성제 합성 및 계면 특성 연구 (Synthesis of Saccharide Nonionic Biosurfactants from Coconut Oil and Characterization of Their Interfacial Properties)

  • 조선희;이예진;박기호;임종주
    • 공업화학
    • /
    • 제30권4호
    • /
    • pp.435-44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코코넛 오일을 원료로 사용하여 2종의 비이온 당계 생체계면활성제 GP-6 및 GP-7을 합성하였으며, FT-IR, $^1H-NMR$$^{13}C-NMR$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구조를 규명하였다. 합성한 계면활성제에 대하여 임계 마이셀 농도, 정적 및 동적 표면장력, 계면장력, 유화 작용, 습윤성 및 거품 안정성 등과 같은 계면 물성을 측정한 결과, GP-6 및 GP-7 모두 우수한 계면 특성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Terg-o-tometer를 사용하여 평가한 세척력 측정 결과에 의하면 GP-6 및 GP-7 모두 세제 제품에서 사용되는 기존 계면활성제들과 비교하여 양호한 세척력을 나타내었다. 생분해성, 급성 경구 독성, 급성 피부 자극 및 급성 안자극 검사 결과, GP-6 및 GP-7 모두 저 독성, 저자극성 및 우수한 환경친화성을 가지고 있어서 세제 제품에 적용 가능함을 나타냈으며, 특히 GP-6가 GP-7보다 계면활성이 우수하고 저자극성이고 쉽게 생분해 될 수 있기 때문에 세제 제조에 더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Experiment on the effect of Artemisia sieversiana extract on hair loss prevention and cell growth

  • Yang, Seungbo;Jin, Chul;Kwon, Seungwon;Cho, Seung-Yeon;Park, Seong-Uk;Jung, Woo-Sang;Moon, Sang-Kwan;Park, Jung-Mi;Cho, Ki-Ho;Ko, Chang-Nam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8-32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safety, effects on proliferation of hair papilla cells, and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mechanisms of Artemisia sieversiana Ehrh. ex Willd. (AS) extract. Methods: Safety tests through purity testing, acute toxicity tests, and repeated toxicity tests were performed using AS extract (ASE) which had been dried for over two years. Cell culture and proliferation tests were conducted; VEG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bFGF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and EGF (epidermal growth factor) and protein exp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for mechanistic evaluation; and inhibitory effects of ASE on the RNA expression of testosterone, 5𝛼-reductase, and aromatase was assessed. The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efficacy of ASE was confirmed by measuring the levels of nitric oxide, inflammatory mediators (TNF-𝛼 and PGE2), inflammatory cytokines (IL-1𝛽, IL-6, and IL-8), and chemokine MCP-1. Results: The safety of ASE was confirmed. The mechanism of cell proliferation in human hair follicle dermal papilla cells involved the promotion of VEGF, bFGF, and EGF expression. ASE decreased mRNA expression of testosterone, 5𝛼-reductase, and aromatase-1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PGE2 and TNF-𝛼 production by inflammatory mediators was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nd inflammatory cytokine and chemokine expression was inhibited. Conclusions: ASE is suggested to promote papillary cell growth at the cellular level, to suppress expression of various enzymes involved in hair cycle and cell death, and to inhibit hair loss through anti-androgen,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effects.